[담수생물학 및 실험] 부착조류 채집 및 부착조류 현미경 관찰

 1  [담수생물학 및 실험] 부착조류 채집 및 부착조류 현미경 관찰-1
 2  [담수생물학 및 실험] 부착조류 채집 및 부착조류 현미경 관찰-2
 3  [담수생물학 및 실험] 부착조류 채집 및 부착조류 현미경 관찰-3
 4  [담수생물학 및 실험] 부착조류 채집 및 부착조류 현미경 관찰-4
 5  [담수생물학 및 실험] 부착조류 채집 및 부착조류 현미경 관찰-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담수생물학 및 실험] 부착조류 채집 및 부착조류 현미경 관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실험제목

Ⅱ. 실험목적

Ⅲ. 현장채집 준비물

Ⅳ. 부착조류 채집 현장 특징

-중랑천-

-채집구간 (구 장안교~용비교)-

Ⅴ. 부착조류 채집 방법

Ⅵ. 부착조류 채집 현장 사진

Ⅶ. 부착조류 채집 사진

Ⅷ. 채집한 부착조류 현미경 관찰

Ⅸ.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Ⅲ. 현장채집 준비물
: 야장, 채스트, 사진기, 방형구( 5X5 cm) 3개, 칫솔, 플라스틱 비커, 증류수(2차), 200ml Bottle, 고무장갑

Ⅳ. 부착조류 채집 현장 특징
-중랑천-
중랑천은 전형적인 도시하천이다. 대규모 취락지구로 조성된 아파트 단지가 중랑천 좌, 우로 밀집해 있다. 중랑천의 근간을 이루는 도봉천, 우이천 등 13개 지천들은 취락지구를 지나면서 대부분이 복개된 상태에서 하수도와 연결되어 실제적으로 지천의 역할보다는 하수도로 오, 폐수를 이동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행정구역상 서울 지역에만 6개 지자제 관리 하에 놓여 있기 때문에 하천 둑은 각 지자제 관리에 따라 자연형 하천 둑과, 콘크리트블록, 화강석둑 등 다양한 형태를 갖고 있다.
중랑천의 가장 큰 특징은 도심을 가로지른다는 것이며, 서울 구간의 하천 주변은 동부간선도로가 하천변을 따라 상류에서 하류까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람들의 이동통로가 차단되어 시민들이 중랑천을 이용하기가 힘들며, 비가 오면 차량바퀴 마모로 인한 오염물질과 차량에서 떨어진 휘발유 등 각종 중금속이 도로에 스며 있다가 하천으로 스며들어 중랑천을 오염시키는데 한몫을 하고 있다.
중랑천은 홍수방지를 위한 수로의 채널화(Channelization), 하천바닥의 준설공사, 고수부지 개발, 하천변 도로공사, 하도정비사업 등으로 하천의 직강화가 만들어져 하천 바닥의 유속이 일정해 지며, 생물의 서식처를 파괴시킴으로써 하천의 생물은 모두 사라졌다. 이로 인해 하천의 자정능력이 없어짐으로써 하천은 급격하게 오염되었다.
중랑천은 이, 치수를 위해 매년 하천 준설공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로 인한 하천생물이 사라졌으며, 생태계가 파괴된 지 오래이다. 최근엔 자연형 하천복원을 위해 야자섬유망을 만들어 버드나무를 식재하고 있다. 동대문 구역엔 버드나무 식재가 성공하여 2m 이상의 나무로 성장하여 중랑천의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어주기도 한다.

-채집구간 (구 장안교~용비교)-
구 장안교와 용비교 사이는 총 2.5km 구간이다. 이 구간에 장안철교, 내부순환로 교량2개, 살곶이 다리, 성동철교, 성동교, 성수교, 우회교량, 용비교등 9개 교량이 집중적으로 모여있다. 우안 구 장안교 아래로 전농 제1, 2 빗물펌프장이 있고, 청계천이 유입되는 곳이다. 청계천 유입 하천부지에는 콘크리트로 운동장과 주차장 시설이 있다.
유속은 중랑하수종말처리장 수량이 유입되고, 청계천 수량이 유입되면서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