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

 1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1
 2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2
 3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3
 4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4
 5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5
 6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6
 7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7
 8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8
 9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9
 10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10
 11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11
 12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12
 13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13
 14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14
 15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국어교육] 국어과 `읽기` 교과서 분석과 수업 설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본론

Ⅱ.1. 도입학습

Ⅱ.2. 원리 + 적용학습

Ⅱ.2.1 소단원

Ⅱ.2.1 소단원

Ⅱ.3 발전학습 - 보충․심화학습

Ⅲ. 나가며

본문내용
Ⅱ.1. 도입학습

도입 학습은 대단원명과 대단원의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대단원의 학습내용이 암시적으로 드러나는 그림 자료나 문자자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단원에서는 ‘농부와 구두쇠’의 이야기를 그림 자료로 제시하여 대단원의 학습목표인 「주장에 대한 근거의 적절성을 판단하며 글을 읽을 수 있다.」를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구체적인 학습활동을 예상하도록 되어있다. 즉, ‘농부와 구두쇠’ 그림 자료를 이용하여 각 소단원 학습의 도입학습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의 교수학습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문제 상황 파악하기, 문제의 해결방법탐색하기, 대단원학습목표확인하기대단원 학습활동 안내하기로 되어 있다.
먼저 구두쇠가 농부에게 고기냄새를 맡았으니 돈을 내놓으라는 억지주장을 하고 있는 그림을 제시하고 구두쇠의 주장과 근거가 적절하지 못함을 말하여 볼 수 있도록 하고, ‘내가 농부라면 구두쇠의 주장에 대하여 어떤 주장을 내세울까요?’라고 질문을 넣어 학습자들이 문제 상황을 인식하여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탐색 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 쪽에서는 학생들이 농부의 입장에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토의하여 주장을 하고, 적절한 근거를 마련하는 그림을 제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실제 학습자들 역시 이와 같은 모습으로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탐색해 보도록 할 수 있겠다. 이와 함께 대단원 학습목표가 제시되어 있으므로 대단원의 학습목표를 확인하고 넷째마당에서 이와 관련된 활동들을 할 것임을 안내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본 단원에서 도입 학습은 대단원 체재의 학습내용을 쉽게 짐작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Ⅱ.2. 원리 + 적용학습
본고에서 설정한 단원은 ‘1.말과 글에 담긴 생각 2.헤아리고 살피며’라는 두 개의 소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소단원들의 내용은 대단원의 학습목표인「주장에 대한 근거의 적절성을 판단하며 글을 읽을 수 있다.」에 대한 구체적인 활동들이므로 각 단원의 원리학습과 적용학습에 대해 분석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 박수자 外, 읽기수업방법, 초등국어학회,1999
 초등학교 교육과정해설 3,교육인적자원부,1999
 최정환, 제7차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허재영, 국어과 교육의 탐색, 도서출판 박이정,2001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초등학교교사용지도서 국어 6학년 1학기, 교육인적자원부,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