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

 1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
 2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2
 3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3
 4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4
 5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5
 6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6
 7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7
 8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8
 9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9
 10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0
 11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1
 12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2
 13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3
 14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4
 15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5
 16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6
 17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7
 18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1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디어교육] 영국의 미디어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미디어 교육의 태동배경
2. 영국 미디어 교육의 특징
3. 영국의 미디어 교육 현황
4. 영국 미디어 교육의 문제점과 한계
5. 외국의 미디어 교육이 주는 시사점
6. 결론
본문내용
2) 문화연구와 대중예술

미디어 교육 역사의 다음 단계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반인 영국 문화 연구의 초창기로 넘어간다. 레이몬드 윌리엄스와 리차드호가트의 연구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는 접근법은 앞서 설명했던 소수 특권층의 지적 성과나 위대한 문화적 전통을 수호하는 리비스주의적 ‘문화’의 개념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있다. 여기서 ‘정전’인 문화 텍스트와 같이 일련의 특권을 부여 받은 가공물이 아니라, 삶의 일상 영역으로 개념이 확대된 전반적인 삶의 방식이므로 문화적 표현은 고상한 것 부터 일상적인 것까지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된다. 이처럼 ‘영국 문화연구’는 문화를 예술의 영역에만 한정시키는 편협한 해석에서 벗어나 좀더 포괄적인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차별, 궁극적으로는 일상생활에서 얻는 살아 있는 경험과 예술의 구별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와 성과에도 불구하고 ‘영국 문화연구’적 접근법은 여전히 근본적인 문화적 차별을 유지하려는 한계를 드러냈다.
또한 뉴섬(Newsom))이 쓴 영어 교육에 관한 보고서인 는 중등학교안에서 대중 저널리즘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영화와 텔레비전을 문학 수업의 교수 보조자료로 쓰도록 제안했다. 아이들이 경험하는 세상 외의 다른 세상에 대해 조금이나마 알수 있도록 돕는다는 텔레비전의 역할을 인정했고 아이들의 일상생활에서 대중매체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인식했다는 점에서 대중매체에 대한 뿌리 깊은 의심과 우려를 나타냈던 이전의 교육 관련 백서와는 다소 다르지만 여기서 미디어 교육은 여전히 ‘좋은’ 미디와 ‘나쁜’ 미디어를 구별하는 능력을 키워 ‘좋은’ 미디어의 내용만을 알고 활용해 교육의 질을 높이고, 새로운 형식의 대중 오락으로부터 아이들을 지켜 낼 수 있게 하는 ‘예방접종’의 차원에 머물고 있었다. 물론 이처럼 리비스주의적 ‘문화’의 개념에서 조금씩 탈피하게 되면서 점차 학교에서 영화, 특히 유럽 영화나 영국 영화를 다룰 수 있게 되기는 했으나 당시 지배적인 대중매체로 떠오르고 있었던 텔레비전은 아직 본격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