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

 1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
 2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2
 3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3
 4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4
 5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5
 6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6
 7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7
 8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8
 9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9
 10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0
 11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1
 12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2
 13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3
 14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4
 15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5
 16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6
 17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7
 18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8
 19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19
 20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문학사] 1900-1910년 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시, 소설, 비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개화기 문학 태동의 배경
1) 역사·사회적 배경
2) 문화적 배경
3) 문학적 배경

2. 1900~1910년 문학
1) 1900~1910년 시가
(1) 개화기 애국독립가
① ≪독립신문≫의 애국·독립가
② ≪大韓每日申報≫와 ≪경향신문≫의 애국·독립가
(2) 개화가사
① ≪독립신문≫의 개화가사
② ≪大韓每日申報≫의 개화가사
③ 항일의병가사
(3) 전통시가
① 한시형 ② 시조형 ③ 민요·잡가형 ④ 언문풍월형 ⑤ 망명지시가
(4) 변형시가
① 애국·독립가의 변형
② 단가의 변형
(5) 창가

2) 1900~1910년 소설
(1) 표기형태
① 현토식 한문체 ② 국한문혼용체 ③ 순국문체
(2) 소재의 유형
① 儒·佛·仙 사상 ② 치안사건류 ③ 역사·전기문학
(3) 작품의 변모양상
① 개화기 한문소설 ② 전환과정의 소설
③ 몽유록의 재현 ④ 동물우화 형식의 토론문
⑤ 시사토론문의 양상 ⑥정치류 소설
(4) 의고적인 창작물
① 필사본 ② 활자본
(5) 신소설과 구습타파
(6) 계모형·쟁총형 소설

3) 1900~1910년 비평
(1) 서발비평
① 역사·전기문학의 서발
② 신소설의 서발
③ 시 서발
(2) 실천비평
(3) 이론비평
(4) 비평사적 의의와 한계

Ⅲ. 결 론
◆ 참고문헌 ◆
본문내용
2. 1900~1910년 문학
1) 개화기 시가
1894년 갑오경장을 전후한 시기부터 일제에 의해 국권이 상실된 1910년까지를 개화기 또는 애국계몽기라고 부르기로 한다. 근대의 기점문제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김현(1780년 영·정조시대 이후): “근대문학의 기점은 자체 내의 모순을 언어로 표현하겠다는 언어 의식의 대두에서 찾지 않으면 안된다. (중략)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이조사화의 구조적 모순을 문자로 표현하고 그것을 극복하려 한 체계적인 노력이 싹을 보인 영·정조 시대를 근대 문학의 시작으로 잡으려 한다.”(김현, 『한국문학의 위상/문학 사회학』, 문학과지성사(1995), 32쪽)
•김윤식(19세기 말): “19세기 후반 근대화의 움직임은 어느 정도의 피동성은 부인할 수 없지만은 근대 자본주의의 접촉과 자아각성에 의한 일반 민중의 참여를 얻어 지속적으로 발전·성장해 오고 있기 때문에, 이 시기를 좀 더 본격적인 근대화의 시발점으로 보려는 관점은 많은 학자들의 호응 내지 동조를 얻고 있는 것이다.”(전관용 편, 『韓國現代小說史硏究』, 민음사(1984), 11쪽)
•구인환(1910년 전후): “韓日合邦 전후에 雜誌의 刊行과 민중계몽운동의 文學的인 求心作用으로 小說의 모습 보게 되어, 西歐의 文藝思潮의 屈折的인 受容으로 近代小說의 대두와 그 成長을 가져오게 된다.”(구인환, 『韓國近代小說硏究』, 삼영사(1980), 14쪽)
이때의 시대적 특징은 반봉건, 반외세이다. 따라서 문학인들은 내적으로는 외국문학을 수용함으로써 우리 문학의 전통을 근대적으로 탈바꿈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외적으로는 민중계몽을 통해 전근대적인 사회현실을 개혁함으로써 국권회복을 도모했다. 그러나 근대적인 지향성에도 불구하고 예술적 심미성이나 완성도보다는 정치 사회적 인식의 고취가 강조되는 등 아직 충분히 문학정신에서 근대에 이르렀다고 보기 어려웠다.
개화기 시가는 정형을 완전 탈각하지 못한 채 전통음수율을 답습하였으며, 반외세와 반봉건의 문제가 주로 취급되었다. 민중교화와 현실비판이라는 개화기 정신은 한시를 비롯한 가사, 시조, 민요, 잡가 등 전통자생시형이나 창가, 신체시 등 외래시형에 모두 공통되는 정신바탕이었던 것이다.

(1) 개화기 애국독립가
최제우의 1860년대에 창작된 8편의 가사와 劍歌 한편이 전해지고 있으며, 4·4조의 전통가사체를 계승하고 있으나, 내용은 ‘전통성의 모순과 비판’, ‘외세배격과 저항정신’, ‘이조말기의 타락사상과 변혁의 기도’ 등 사람을 하늘같이 섬기고 평등한 삶을 이룩하려는 人乃天 사상을 담고 있다.
의 영향으로 형성되었으며, ≪독립신문 한국 최초의 민간 신문으로 서재필이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급받아 1896년 4월 7일에 창간했다. 19세기 말 한국사회의 발전과 민중의 계몽을 위하여 지대한 역할을 수행한 한 시대의 기념비적인 신문으로 평가받고 있다.
≫, ≪大韓每日申報≫, ≪경향신문≫에 발표되었다. 4·4조 또는 3·4조의 전통 음수율을 답습하고 있으며 행의 구분 없이 連綴되어 있다. 전통시가와의 차이는 各聯 同數의 시행으로 分聯되어 있다는 것이며, 주제의식과 표현이 다양하다. ≪독립신문≫의 애국·독립가와 ≪大韓每日申報≫ 영국인 ‘베델’이 신문을 소유하고 있어서 통감부의 통제를 덜 받았으나, 합방 후에 일제는 ‘베델’을 국제재판에 회부해 구속하고 신문사는 총독부 기관지가 되었다. ‘사조’, ‘잡보’, ‘광고’, ‘기타논설’, ‘奇書欄’에 약 50편의 애국·독립가가 실려 있다.
는 1904년 7월 18일부터 1910년 8월 28일까지 발행된 적극적인 항일 노선의 신문이었다. 박은식, 신채호, 양기탁 등이 편집에 참여하고 논설을 써서 국권 상실 과정에 있는 시기에 항일 구국의 논지를 펴고 민족의 각성을 열렬하게 주장했다. 그렇게 하는 데 기사나 논설만으로 부족하다고 생각해서 문학작품을 적극 활용했다. 여러 갈래의 문학작품을 다양하게 게재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파지하고, 내용에서나 표현에서나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이 가사이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4』, 지식산업사, 2003, 277쪽)
, ≪경향신문≫ 천주교회에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발간한 순한글 표기의 신문으로 약 40편의 애국·독립가가 실려 있다.
의 애국·독립가 두 유형이 있는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독립신문≫의 애국·독립가
• 관념적 자주독립과 맹목적 문명개화로 주제가 획일화되어 있다.
• 몇 가지 용어와 구절의 반복으로 표현이 유형화되어 있다.
• ‘외국통신’, ‘잡보란’에 독자추고 형식으로 발표되었다.
• 작자의 직업은 교원, 학생, 말단공무원, 민간인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