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

 1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1
 2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2
 3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3
 4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4
 5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5
 6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6
 7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7
 8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8
 9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9
 10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10
 11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교육론] 매체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매체언어의 개념
3. 매체언어의 양상과 특성
4. 매체언어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5. 매체언어와 국어교육의 거리
6. 외국의 미디어 교육 모델
7. 매체언어교육의 설계
8. 매체언어 교육의 이론적 구상
9. 매체교육을 통해 얻을 것과 잃을 것
10.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현대인의 일상적 삶은 매체라는 광장 안에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신문이나 잡지, 라디오나 TV라는 매체가 일상에 침투한 지는 오래 전이고, 지금도 대중매체의 이미지와 담론 및 토론이 정치․경제․사회․문화면 등 모든 사회현상에서 중심적 기호로 행세하고 있다. 미디어 기자재가 급속한 발달과 함께 우리는 하루의 시작과 끝을 매체 속에서 지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정보화 홍수 속에서 컴퓨터의 인터넷 생활은 필수가 되었고, 공정성과 객관성이 결여된 채 통신언어가 마치 바른말이 된 것처럼 착각하는 청소년들과 벤처사업자들도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후기 산업 사회, 또는 정보화 사회라고 일컬어지는 오늘날,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공간은 실재의 현실적․물리적 공간개념이 허물어지고 ‘전자광장(electronicagoras)’의 개념으로 새롭게 형성되고 있다. TV나 컴퓨터, 사진과 영화 등 영상매체의 발달은 삶의 공간 축소와 동시성의 장을 마련해 주었고, 자아와 타자와의 관계도 일대일의 직접적 관계가 아니라 매체언어와 이미지가 위주가 되는 다중적 매개관계로 바뀌었으며, 그에 부응하여 세계 인식의 개념도 매체가 제공하는 이미지와 담론의 위상에 의해 결정되는 환상적 공간이 되었다. 그런데 매체언어도 ‘말’과 ‘글’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체언어의 교육은 국어교육의 몫이며,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즉, 국어교육의 논의에 있어서도 매체 환경의 변화를 배제할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러면 지금부터 이러한 매체 환경의 변화와 국어교육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2. 매체언어의 개념

매체 환경의 변화를 살펴보려면 먼저 매체언어의 개념을 드러내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매체의 사전적 정의는 ‘어떤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여기서는 보다 한정적으로 텔레비전, 라디오, 신문처럼 뉴스와 정보 등을 다수의 사람들로 하여금 즐기게 하고 전파하는 매체, 즉 미디어(media)의 번역어로 사용하기로 한다.
이러한 매체들은 그 각각의 특질에 차별성이 없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전달기능상의 공통성이 매우 강하여 하나의 동질적 그룹으로 간주되기에 이르렀고, 그 용어가 외래어 수준으로 인식되어 ‘미디어’로 사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서 전달 기능상의 공통성이란 多衆(다중)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가리키며, 다중의 구조적 특질이 무차별성이라는 점과 관련하여 대중매체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매체에 포함되는 것이 어떤 것들인가. 혹은 그것들 사이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가를 살필 필요가 있다. 여기에도 여러 관점이 있을 수 있지만, 다음의 견해(Hart, Andrew : 1991, pp. 4~6)는 우리의 논의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참고 문헌-

● 박인기 외 8인,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삼지원, 2000
● 최현섭 외 6인, 「국어교육의 새로운 지평」, 『국어교육학개론』, 삼지원, 1999
● 스가야 아키코, 안해룡․안미라 옮김,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참고 논문-

● 김대행,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序說)」, 『국어교육』97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98. 6
● 김정자, 「국어교육에서의 미디어 교육의 수용-미디어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제15집, 국어교육학회, 2002. 12
● 최인자, 「비판적 대중매체 교육과정 연구」, 『국어교육학연구』제13집, 국어교육학회, 200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