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위진남북조 시기 고구려의 대 중국관계

 1  [한국고대사] 위진남북조 시기 고구려의 대 중국관계-1
 2  [한국고대사] 위진남북조 시기 고구려의 대 중국관계-2
 3  [한국고대사] 위진남북조 시기 고구려의 대 중국관계-3
 4  [한국고대사] 위진남북조 시기 고구려의 대 중국관계-4
 5  [한국고대사] 위진남북조 시기 고구려의 대 중국관계-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고대사] 위진남북조 시기 고구려의 대 중국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조위ㆍ서진 시기의 대 중국 관계
3. 북조와의 관계 - 모용 “연”과 탁발 “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4. 남조와의 관계
5. 나오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위만조선 멸망 이후 한반도와 만주지방의 가장 큰 과제는 옛 고조선의 영역(領域) 내에서 한족 세력을 몰아내는 것 이었다. 고구려뿐만 아니라 백제와 부여 등 여러 국가들이 대 한족 투쟁을 벌였다. 한사군은 한무제(漢武帝) 이후 신(新), 후한(後漢), 위(魏)와 진(晉)에게 복속하였다가 선비(鮮卑)의 지배를 받게 되었으나 고구려 광개토왕대를 기점으로 요동을 완전히 장악하게 되었다.
또한 고구려는 314년에 낙랑군 남부도위였던 대방군도 공격해서 얼마 후 이를 함락하였는데, 《자치통감(資治通鑑)》에 의하면 이때 낙랑 ·대방의 두 군에 거점을 두고 있던 요동인(遼東人) 장통(張統)이 고구려 미천왕(美川王)과 연년(連年) 공방전을 벌이다가 민호(民戶) 1,000여 가를 이끌고 요서(遼西)의 모용씨(慕容氏)에게로 귀속하였다 하여 낙랑과 대방에서 마지막으로 물러나는 한족의 모습을 그리고 있다.
고구려는 한사군(漢四郡)이 설치될 때, 현도군의 일개 속현(屬縣)으로 출발하였으나, 전한 말에는 이미 그 군주가 한(漢)의 군주로부터 고구려왕으로 책봉(冊封)받을 정도로 성장하였고, 후한대(後漢代)에는 현도군의 대부분과 낙랑군의 동부, 그리고 요동군의 동부 일부를 침탈하여, 요동의 동부에서 광대한 영토를 영유하였다. 김한규, 『한중관계사』 v.1. 아르케 , 1999, p.122.
이렇게 중국세력과의 전쟁을 통하여 고구려는 흥망성쇠를 겪었다.


2. 조위ㆍ서진 시기의 대 중국 관계

후한 말 반 독립 세력으로 유주(幽州) 지방에서 군림하던 공손씨(公孫氏) 세력을 멸망시킨 조위(曹魏)는 고구려에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하였다.
고구려는 신흥 강국인 위나라와의 우호를 위하여 오왕(吳王) 손권(孫權)이 화친을 위하여 보낸 사신의 목을 베어 위나라에 보냈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동천왕 10年條.
또한 위나라의 공손연(公孫淵) 토벌에 군사를 지원하는 등 우호적인 외교정책을 펼쳤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동천왕 12年條.
그러나 고구려가 어떤 이유에서였는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곧 서안평(西安平)을 공격하자 위나라에서는 유주자사 관구검을 보내어 고구려를 깨트리고. 환도성을 함락ㆍ도륙하는 등 고구려를 멸망 직전까지의 상태로 몰고 갔다.
서진(西晉) 말기의 정치적 혼란을
참고문헌
공석구, 『고구려 영역확장사 연구』, 서경문화사, 1998

김영하. 「고구려의 발전과 전쟁」. 『대동문화연구』 32.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8,

김한규, 『한중관계사』 v.1. 아르케 , 1999

노태돈,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와 고구려의 대외관계」,『高句麗史論文選集』v.5 ,불함문화
사 ,1995,

______,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이기동, 「고구려서 발전의 획기로서의 4세기 - 모용 연과의 항쟁을 통해서」, 『동국사학』 v.30, 동국사학회,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