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

 1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1
 2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2
 3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3
 4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4
 5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5
 6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6
 7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7
 8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8
 9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9
 10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10
 11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11
 12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12
 13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도림역에 대한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타당성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도입

II. 연구방법
1) 선행연구 검토
2) 연구방법

III. 연구내용
1. 연구결과
1) 태양광전지
2) 발전마루
3) 전기브레이크
2. 결과에 대한 논의

IV 맺음

본문내용
Ⅱ. 연구방법
1) 선행연구검토
본문에서 다룰 세 가지 신재생에너지 생산체인 태양광전지, 발전마루, 전기 브레이크에 대한 선행연구를 찾아보았다.
태양전지에 관한 선행연구는 , , , 등의 새로운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연구가 많았으며, 태양전지를 어느 분야에 쓰는 것이 가장 이득인지에 대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압전소자를 이용한 발전마루의 경우 , , , 등 역시 압전소자 자체의 기술 향상에 관한 연구 논문들이 많았으며, 아직까지 실용화에 대한 구체적인 선행연구는 없었다.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전기브레이크 관련 논문은 존재하지 않았다. 다만 한국인 엄용수씨가 박사논문으로 동경대에 제출한 와전류 브레이크에 관한 논문(電磁式うず電流ブレ-キにおける磁界の計測手法と評價法の確立に關する硏究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Measuring Method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Magnetic field on the Electromagnetic Type Eddy Current Brake / 嚴龍洙.)만 존재했을 따름이다. 와전류 브레이크란 전기브레이크의 일종이지만 모터로 발전을 하는 것이 아니라 따로 도체 원판을 두어 제동 시에 이 원판에 말굽자석을 접근시켜 발전을 일으키는 브레이크이다. 따라서 국내 연구 사례 중에는 이런 전기브레이크에 도움이 되는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세 가지 신재생에너지 모두 실용화에 대한 연구보다는 기술 자체에 대한 연구 개발 논문이 많았다.

참고문헌
1) 매일경제, 배한철 기자, 지하철 바람으로 에너지 만든다, 2008.10.29
그림 1. 중앙일보, 최선욱 기자, 지하철 환기구 풍력발전 한다, 2008.10.30
2) 에너지관리공단 (http://www.energy.or.kr/NC/NC101500.jsp)
3), 4) 해외의 신재생 에너지이용 철도역사 구축사례 (http://www.irail.net/webzine/y2008/11_12/preface/20090115/1_17064.html)
5),6) 2008 서울대 정시논술 문항
7) 광주 지방 기상청
(http://gwangju.kma.go.kr/participation/qa_02.jsp?page=15&num=7885&mode=view&field=&text =&order=&dir=&bid=QNA&ses=)
8) 네이버 백과사전 (두산백과사전), 검색어 ‘압전효과’ (http://100.naver.com/100.nhn?docid=108002)
9) 다큐멘터리 sbs스페셜 117회 , sbs, 2008.03.23
10) 디자인플럭스 [풍력발전 기술의 현재]
(http://www.designflux.co.kr/other_sub.html?code=139&board_value=design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