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 고소설의 사상

 1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1
 2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2
 3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3
 4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4
 5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5
 6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6
 7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7
 8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8
 9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9
 10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10
 11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11
 12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12
 13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13
 14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14
 15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15
 16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소설] 고소설의 사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고소설에 나타난 유교사상
고소설에 나타난 불교사상
고소설에 나타난 도교사상
고소설에 나타난 무격사상
텍스트 분석 - 「구운몽」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고소설 주제의 배경으로서의 사상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곧 내용에 대한 고찰과 직결된다. 그리고 그 사상은 우리 선조들의 삶의 토대이자, 모든 영역의 뿌리가 된다고 할 수 있는 ‘종교 사상’에 바탕을 두고 발전해 왔다고 본다. 그러므로 이 발제문에서는 그러한 판단에 입각하여 고소설에 나타난 유교, 불교, 도교, 무격사상의 내용과, 그것이 우리의 고소설에서 어떤 형태로 발현되었는가를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우리에게 잘 알려진 고소설 중에 「구운몽」을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불교적 측면에서 고찰과 당대 정치 현실과의 관계, 그리고 실제 작품에서 도교적 측면을 살펴 볼 것이다. 텍스트에 대한 분석은 사상적인 측면에 관계한 부분에만 집중할 것이고, 주제나 소설의 서사구조에 대한 언급은 일체 피할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대로 우리 고소설에 영향을 미친 사상은 위의 네 가지 정도로 볼 수 있고, 대개의 작품이 네 가지 사상 혹은 두, 세 가지가 혼융(混融)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조선 사회의 사조가 유교로 입장이 강황 되는 형태를 보였기 때문에, 유교적 사상을 근본으로 작품에 반영시키려는 의도가 강했다. 하지만 유교의 현실주의가 드러내는 모순과 한계를 다른 사상으로 극복하려는 이면을 보였던 것이 사실이다. 이렇듯 유불도(濡佛道)가 확고한 체계를 잡혀가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격사상은 미묘한 위치를 가진다. 즉, 표면적으로는 정식 사상으로써의 대우를 못 받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이면을 살펴보면 무격신앙은 사람들의 사고방식 저변에 위치하여, 행동을 좌우하고, 여타의 사상을 표방하는 작품에도 그러한 요소가 삽입되기도 한다. 즉 유불도가 수용되는 과정에서 무격적 사고의 영향을 입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Ⅱ 본론

1. 고소설에 나타난 유교사상

1-1. 忠孝
① 충효의 중요성
참고문헌
김만중 ․ 송성욱 옮김, 『구운몽』, 민음사, 2003

【 참 고 자 료 】

崔三龍, 『韓國文學과 道敎思想』,새문사, 1990.
崔三龍, 『韓國初期小說의 道仙思想』,형설출판사, 1987.
한국고전소설편찬위원회 편, 『韓國古典小說論』, 새문사, 2002.
朴三緖, 『韓國文學과 道敎思想』, 국학자료원, 1998.
김현룡 외, 『한국문학과 윤리의식』, 도서출판 박이정
박성의, 『九雲夢의 思想的 背景硏究 : 韓國古典文學 背景論의 一環으로서』, 東亞出版社, 1970.
이원수, 『고전소설작품세계의 실상』,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6
이상택, 『한국고전소설의 이론 1』, 새문사, 2003
김광순, 『한국고설사』, 국학자료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