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문화] 악성 댓글

 1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1
 2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2
 3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3
 4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4
 5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5
 6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6
 7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7
 8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8
 9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9
 10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터넷문화] 악성 댓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주제 선정 이유

2. 악성 댓글의 개념 정의

3. 현상의 배경

*본론

1. 악성댓글의 실태

2. 악성댓글의 원인

3. 악성댓글의 문제점

4. 악성댓글의 해결방안

*결론


본문내용
*본론

1. 악성댓글의 실태
1) 댓글에서의 악성댓글 비율
동아일보 산업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과 공동으로 인터넷 댓글에서의 악성 댓글의 비율을 조사하기 위해 댓글 32만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댓글 추출 및 분류 작업은 인터넷조사업체인 코리안클릭이 진행했다. 조사는 지난해 8월 18일∼11월 23일에 걸쳐 진행 되었고, 네이버, 다음, 야후 등 3개 포털에 실린 기사의 댓글을 분석했다. 이 32만개의 댓글은 모두 하나의 기사당 댓글이 200개 이상인 것을 기준으로 정했다. 일반적으로 기사에 200개 이상의 댓글이 붙으면 해당 기사가 누리꾼의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32만개 중 14.3%의 댓글이 자신의 의견이나 논리를 제시하기보다 욕설, 협박 등의 ‘악성 댓글(악플)’이었다. 또한 악성댓글 10000개에 대해서 따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단순한 욕설과 협박을 담은 글이 65.3%, 명예훼손 및 허위사실 유포가 5.0% 음란·스팸성 악플은 1.9%였다.
분야별로는 정치 기사의 댓글에 악플이 가장 많았다. 정치 분야 댓글 중 악플의 비중은 21.2%로, 사회(14.1%)나 연예(13.0%) 분야보다 높았다. 스포츠(8.5%), 국제(6.0%), 과학 및 문화(4.5%), 경제(3.8%) 분야는 상대적으로 악플이 적었다.

참고문헌
1. 박순미,「초등학생의 사이버 악성댓글의 실태분석을 통한 법교육 개선방안」, 부산교육대 교육대학원, 2009, 4~9쪽.
2. 차현주,「사이버공간 게시판에서의 정보통신윤리 준수 현황 및 그 개선방안」, 경성대 교육대학원, 2007, 33~38쪽.
3. http://securityproof.net/zboard/bbs/view.php?id=free&no=278
4. http://blog.naver.com/zeussj/110068950005
5. 김혜연, 『월간(논주니어)』, 초암네트웍스, 2007, 116~121쪽.
6. 정승민, 「악성댓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 2007, 17~24쪽
7. http://blog.naver.com/90jjang?Redirect=Log&logNo=10020212331
8. http://cafe.naver.com/mykimbeom.cafe?iframe_url=/ArticleRead.nhn%3
Farticleid=1892


학술지, 뉴스기사
http://securityproof.net/zboard/bbs/view.php?id=free&no=278
- 국민일보, 인터넷실명제 약인가 독인가, 2003.2.23
http://www.kukinews.com/news2/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91891352
2&code=11161200/
- YTN,인터넷 실명제 힘 받는다! ,2006.1.24
http://news.naver.com/tv/read.php?mode=LOD&office_id=052&article_id=0000106098
- 디지털타임스 "제한적 본인확인제 악플 근절 효과 없다“, 2007.8.7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7080702010531727003
- 빅뉴스, "MBC PD수첩 해명보도 진전성 없다", 2008.7.16
-전자신문, 新인터넷 규제 7대 제언, 2008.8.1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807310079
- 서울신문, [인터넷 실명제 논란] 악플 통제 싸고 ‘시끌’, 2008.10.7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081007009006
세계일보, [단독]도넘은 ‘악성댓글’ 어떤 수준 이길래…, 2008.10.14 http://www.segye.com/Articles/NEWS/SOCIETY/Article.asp?aid=20081003001930&subctg1=&subctg2
- 인터넷 실명제: 익명성 폐해, 자정만으론 해결 어렵다 , 김재범 , 국회보 통권 465호 (2005.8)
- 손태운/ 관광 경영학과/ 인터넷 악성 댓글이 사회에게 미치는 영향과 분석 및 해결방안-인터넷 실명제 중심으로-
- 사이버폭력의 원인과 제한적 실명제가 업계에 미치는 영향, 2005, 김경달 본부장, 다음커뮤니케
이션 미래전략본부
- 인터넷 실명제의 헌법적합성에 관한 연구, 2005,한림대학교 법학부 황성기 교수
- 언론 자유와 인격권, 2006,이재진
- 読売新聞 (요미우리신문), 2009.3.29
- 구글한국공식블로그, 인터넷 상의 표현의 자유에 대해서, 2009.4.9
http://googlekoreablog.blogspot.com/2009/04/blog-post_07.html
-베타뉴스, 구글 "실명제 원칙 변함없어"... 실명제 거부 방침 재확인, 2009.4.23
http://www.betanews.net/article/453259
-프레시안, 美 언론 "한국도 중국 같은 인터넷 검열국"…나라 망신!, 2009.4.23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090423104606
-독립신문, 인미협 ´진중권·김보라미, 거짓말 마!´ 구글에 대한민국 국적으로 동영상 못 올린다?´, 2009.4.25
http://www.independent.co.kr/
-동아일보, [토론마당]인터넷 제한적 실명제 도입 ,2009.5.4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905040037
-디지털데일리, 방통위 - 본인확인제 거부한 구글 ‘정면 비판’, 2009.5.13
http://www.ddaily.co.kr/news/news_view.php?uid=49846
-너무나 제한적인 '제한적 본인 확인제' (네트워커 37호(200609)) http://networker.jinbo.net/zine/view.php?board=networker_4&id=169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