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동법과 피동표현

 1  피동법과 피동표현-1
 2  피동법과 피동표현-2
 3  피동법과 피동표현-3
 4  피동법과 피동표현-4
 5  피동법과 피동표현-5
 6  피동법과 피동표현-6
 7  피동법과 피동표현-7
 8  피동법과 피동표현-8
 9  피동법과 피동표현-9
 10  피동법과 피동표현-10
 11  피동법과 피동표현-11
 12  피동법과 피동표현-12
 13  피동법과 피동표현-13
 14  피동법과 피동표현-14
 15  피동법과 피동표현-15
 16  피동법과 피동표현-16
 17  피동법과 피동표현-17
 18  피동법과 피동표현-18
 19  피동법과 피동표현-19
 20  피동법과 피동표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피동법과 피동표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발표의 개관
1.1. 발표의 목적
1.2. 피동의 연구사
2. 피동의 개념과 범주
2.1. 피동의 정의
2.2. 피동의 범주
2.3. 피동의 특성
3. 피동의 문법형태
4. 접미 피동법과 문법형태
5. 피동성 표현과 문법형태

덧붙임 1 - 남북한 피동의 비교
덧붙임 2 - 방언에서의 피동

참고문헌
본문내용
2. 피동의 개념과 범주
2.1. 피동의 정의
어떠한 행위나 동작이, 주어로 나타내어진 인물이나 사물이 제 힘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남의 행동이나 다른 사물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행위를 피동이라 하고, 이러한 피동의 표현법을 문법적으로 피동법이라 한다. 피동에 대해 남의 동작이나 행위를 입어서 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행하는 행위나 동작을 능동이라 한다.

1) a. 경찰이 도둑을 잡았다.
b. 도둑이 경찰에게 잡혔다.

1a)는 주어인 경찰이 제 힘으로 도둑을 잡은 것이므로 능동이라 보고, 1b)는 주어인 도둑이 제 힘이 아닌 경찰의 행동에 의해서 행위가 이루어지므로 피동이라 할 수 있다. 대체로 피동은 피동사, ‘(에)게, 한테, 에 의하여’와 같은 조사를 포함하는 부사어 명사구를 가진다. 이러한 국어 문법에서의 피동은 그 형성 방식 및 기술 태도나 관점에 따라 크게 다음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2. 피동의 범주
2.2.1 접미 피동법과 피동성 표현
접미 피동법과 피동성 표현은 피동법을 이루는 방식에 따른 구분이다. 접미 피동법이란 피동 접미사에 따라 이루어지는 피동형을 가리킨다. 피동성 표현이란 ‘-어 지다’, ‘-되다’, ‘-받다’, ‘-당하다’등 여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피동적 표현을 두루 가리킨다.
참고문헌



- 단행본
국립국어연구원 편(1999),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남기심·고영근(1993),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남기심(2001), 「현대국어 통사론」, 태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연구회(1990),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권재일(1998), 「한국어 문법사」, 박이정.
고영근·구본관(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우인혜(1997), 「우리말 피동 연구」, 한국문화사.
이정택(2004), 「현대 국어 피동 연구」, 박이정.
이상억(1999), 「국어의 사동·피동 구문 연구」, 집문당.
양동휘(1990), 「지배-결속 이론의 기초」, 신아사.
이익섭·임홍빈(1983), 「국어문법론」, 학연사.

- 학술논문
우인혜(1995), “국어 피동의 범위”, 「국어학」 26, 국어학회.
양동휘(1979), “국어의 피·사동”, 「한글」 166, 한글학회.
정승철(2007), “피동사와 피동접미사”, 「진단학보」 104, 진단학회.
최형강(2006), “피동문의 조건과 ‘받다, 당하다, 되다’구문의 재고”, 「어문학」 92, 한국어문학회.
이정택(2004), “피동의 개념과 피동 서술어”, 「한국어학」 22, 한국어학회.
김원경(2007), “피동은 문법 범주인가?”, 「한국어학」 35, 한국어학회.
고창수·시정곤(1991), “목적어 있는 피동문”, 「주시경학보」 7, 탑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