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학] 7장 문학에 대한 사색과 열정

 1  [중국문학] 7장 문학에 대한 사색과 열정-1
 2  [중국문학] 7장 문학에 대한 사색과 열정-2
 3  [중국문학] 7장 문학에 대한 사색과 열정-3
 4  [중국문학] 7장 문학에 대한 사색과 열정-4
 5  [중국문학] 7장 문학에 대한 사색과 열정-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문학] 7장 문학에 대한 사색과 열정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색과 열정의 교차

(1) 사색과 열정의 시작

(2) 사색과 열정의 대상

2. 사색과 열정의 분출

(1) 중국 최고의 문학비평이론서,《문심조룡 文心雕龍》
(2) 시인의 등수를 매겨보자.《시품 詩品》

3. 사색과 열정의 표현과 감상

(1) 어떻게 표현할까, 문체(文體)

(2) 어떤 느낌을 받았을까. 성정(性情) ; 성질과 심정

(3) 느낌을 언어로, 창작구상

(4) 문학의 쓰임새

(5) 문학적 감동과 오묘한 깨달음


4. 참된 자아를 찾아서

(1) 어린이의 마음

(2) 문학에 빠져 나를 잊다

(3) 중국문학이론 및 비평의 특징과 한계
본문내용
 작가 유협(劉勰)
- 선진시기부터 자기가 살던 바로 앞 시기까지 중국의 대표적 문학가과 그 작품이 갖는 특징과 가치를 살펴보려 함
-《문심조룡》총 50편은 시초(蓍草) -《주역 周易》으로 점칠 때 쓰는 풀-줄기 50개에 맞춘 것
☞《문심조룡》에 우주 운행에 따른 인간 삶의 원리를 담아내려고 하였음
- 유협은 우주의 원리인 도(道)가 현상계로 나타난 것이 바로 무늬(文) 있는 자연이라고 보고 이 러한 원리를 인간에게 적용시켜, 인간의 마음(心)이 밖으로 드러난 것이 바로 문학이라고 봄
- 유협은 우주의 원리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사람이 ‘성인(聖人)’이며
성인은 경전(經典)에 자신이 파악한 우주의 원리를 밝혀놓았다고 봄
이렇게 ‘도-성인-경전’의 관계를 밝히는 내용이 바로 《문심조룡》의 핵심이 되는 제 1, 2, 3 편인 , , 편임. 이는 ‘자연-작가-작품’의 관계를 철학적으로 풀이한 것으로, 다시 ‘(자연 -작가-)작품-독자-비평’의 관계로 확장될 수 있음

(2) 시인의 등수를 매겨보자.《시품 詩品》
 종영 - 한(漢)나라부터 양(梁)나라까지 오언시의 명수들을 뽑아 등수를 매김
122명의 시인을 뽑아 이들을 上品 11명, 중품 39명, 하품 72명으로 늘어놓음 즉, 독자들은 1등부터 122등가지의 시인의 등수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됨
- 시인들의 계승관계도 밝힘
ex) 안연년은 육기로부터 영향을 받았고, 육기는 조식의 영향을 받았음
- 종영은 이러한 계승관계를 밝히기 위해 시인의 풍격을 구분, 분류하는 작업을 함
① 시에 수사법이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살핌 - 흥기연상법이라고 할 수 있는 ‘흥 (興)’과 비유법이라고 할 수 있는 ‘비(比)’와 열거법이라고 할 수 있는 ‘부(賦)’가 잘 쓰인 시를 높게 침
② 시에 꿋꿋한 주제의식(風骨) 이 있는 시를 높게 침
③ 시에 맛(滋味)이 있는 시를 높게 침
④ 시에 도드라지고 멋진 표현의 시구가 있는지를 살핌
- 일부에서는 종영이 시인의 등수를 매길 때 합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채 인상적으로, 또는 개인적인 원한 관계가 있어서 훌륭한 시인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하기도 함. 대표적 증거가 도연명과 심약
도연명 - 시의 담박한 맛이 종영의 입맛에는 맞지 않았기 때문. 종영의 시대는 아직 담박 한 시의 맛을 느끼지 못하는 시대였음
심약 - 양나라 최고의 문인. 한 때 심약을 찾아가 자신을 높이 평가해 줄 것을 요청한 종 영이 심약으로부터 거절당하자, 사람들은 이에 앙심을 품고 종영이 심약을 중품 가 운데 꼴찌로 놓았다고도 생각함

3. 사색과 열정의 표현과 감상
(1) 어떻게 표현할까, 문체(文體)
- 고대 중국의 문체는 한나라 때 대체적인 줄기가 마련됨
-《한서 漢書 · 예문지 藝文志》: 문체를 특징에 따라 분류만 한 것
- 조비(曺丕)의 《전론 典論· · 논문 論文》 : '주,의,서,논,명,뇌,시,부' 8종류 문체 특징 제시
* 주(奏)와 의(議) : 신하가 황제에게 올리는 건의문의 일종 (치우치지 않고 반듯해야 함)
* 서(書)와 논(論) : 일반적인 문서와 논설문 (논리적이어야 함)
* 명(銘) : 사실에 따라 공덕을 기록한 것 / 뇌(誄) : 죽은 사람을 애도하고 기리는 글
(있는 그대로를 기록, 사실을 중시해야 함)
* 시(詩) : 상징적, 함축적 언어로 표현한 글 / 부(賦) : 사물의 외형적 아름다움 표현
(아름다워야 함)
- 육기(陸機)《문부 文賦》: '시,부,비(碑),뇌,명,잠(箴),송(頌),논,주,설(說)' 10가지 문체 제시
- 유협의 《문심조룡》: 33종류의 문체 제시
- 소통(蕭統) 《문선 文選》: 38종류의 문체 제시
- 청나라 《문체정변 文體明辯》: 127종의 문체 제시
- 이는 문체의 종류가 번잡스러워졌음을 뜻하나, 다른 측면에서 보면 옛사람들이 인간의 감정 을 표현해 내기 위하여 얼마나 문체 개발에 심혈을 기울였는지 알 수 있음

(2) 어떤 느낌을 받았을까. 성정(性情) ; 성질과 심정
- 고대중국인들은 인간이 감정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문학행위를 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함
- 인간 감정의 종류에는 희노애락(喜怒哀樂),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五慾) 또는 희노우사 비경공(喜怒憂思悲驚恐)을 들기도 함
- 고대 중국인들은 그 중 걱정, 근심, 원망 등의 슬픈 감정이 문학 행위를 이끌어낸다고 보았음
- 굴원(屈原)의 《구장 九章 · 석송 惜誦》, 사마천(司馬遷)의 《사기 史記》, 당대 한유(韓愈)의
《송맹동야서 送孟東野序》, 명나라 이지(李贄)의 《분서 焚書 · 잡설 雜說》

(3) 느낌을 언어로, 창작구상
- 사람이 사물과의 접촉을 거쳐 감정이 일어나고 그 감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