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

 1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1
 2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2
 3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3
 4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4
 5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5
 6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6
 7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7
 8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8
 9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9
 10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10
 11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11
 12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12
 13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13
 14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 연행가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개

2. 의 작가, 홍순학 연구
2.1. 인물탐구
2.2. 작가 홍순학의 성장 배경 및 성향

3. 작품 연구
3.1. 역사 현장을 통한 현실 인식
3.2. 서양인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각
3.3. 반청숭명의식
3.4. 청나라의 풍습 소개
3.5. 작가의 애민정신

4. 결론
본문내용
작품의 세부 내용 정리 - 김주한(1991)에서 인용
1. 호인의 복색에 대한 인상
2. 여인의 복색과 모습
3. 가옥구조에 대한 인상
4. 식생활에 대한 기록
5. 짐승치기에 대한 인상
6. 육아법에 대한 인상
7. 청의 도심 심양에 대한 인상
8. 도화동 인상
9. 동악묘, 천불사, 대성전에 대한 인상
10. 몽고의 홍의상에 대한 인상
11. 각종 풀이 형식의 관찰기
12. 동물 풀이
13. 상 · 혼례에 대한 인상
14. 정소경의 집차림 · 음식접대
15. 문필외교와 필담




2. 의 작가, 홍순학 연구


2.1. 인물탐구 - 홍순학(洪淳學) (1842~1892 헌종~고종29)

조선의 문장가. 자는 덕오(德五), 기종(夔鍾)의 아들, 족숙 같은 일가(一家)로서 유복친 안에는 들지 않는, 아저씨뻘의 항렬(行列)이 되는 남자(男子). 유복친이란 복제(服制)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가까운 친척을 뜻한다.
관계인 석종(奭鍾)에게 입양(入養). 1857년(철종 8)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정언(正言)·수찬(修撰)을 거쳐 1866년(고종 3) 주청사(秦請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장편 기행가사(長篇紀行歌辭) 「연행가(燕行歌)」를 지었다. 대사헌·대사간·예조 참의(禮曹參議)를 거쳐 1884년(고종21) 감리인천항통상사무(監理仁川港通商事務)가 되고, 이듬해 인천 부사(仁川府使)를 겸임했으며, 그 뒤 협판교섭통상사무(協辦交沙通商事務)를 지냈다.
참고문헌
공혜정(2003), “연행가에 나타난 홍순학의 사대부의식과 대외관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김유경(2005), “19세기 연행 문학에 나타난 중국 체험의 의미”, 열상고전연구회
김주한(1991), “燕行錄을 通해 본 韓中文化交流”, 동아인문학회
유정선(2008), “19세기 중국 사행가사에 반영된 기행체험과 이국취향”, 한국고전연구
이동일(2007), “병인연행가에 나타난 서술자의 복합적 시선과 그 의미”, 강원대학교
임기중(1987), “연행가사의 연구”, 한국문학연구소
정영문(2002), “홍순학의 硏究”, 숭실어문학회
정한기(2008), “기연행가에 나타난 객수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홍종선(2005), 『연행가』, 신구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