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

 1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1
 2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2
 3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3
 4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4
 5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5
 6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6
 7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7
 8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8
 9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9
 10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10
 11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11
 12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12
 13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13
 14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14
 15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15
 16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16
 17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문학론] 서거정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거정에 대하여
1) 서거정의 생애
2) 대표문집

2. 서거정의 작품분석
1) 관각문인으로서의 면모
2) 관각문인으로서의 여유로움
3) 관각문인의 눈으로 본 백성

3. 동인시화
1) 시론
2) 시평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1. 서거정에 대하여

1) 서거정의 생애

서거정은 조선 세종 2년(1420)에 대구에서 출생하였다. 본관은 달성, 자는 강중(剛中), 호는 사가정(四佳亭), 정정정(亭亭亭),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안주목사 미생의 아들로, 어머니는 양촌 권근의 딸이었고 그의 누이도 최항에게 출가하는 등 그의 집안은 당시의 공신들과 인척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그의 집안은 당시 명문으로 꼽혔다. 여섯 살 때부터 글을 읽고, 시를 지어 신동이라고 불렸다. 19세(1438년)에 진사과와 생원과에 잇달아 합격하여 관료로서의 포부를 펼쳐 나갔다.
서거정의 생애에 있어서 가장 큰 사건은 34세(1453년)에 일어난 계유정난이었다. 계유정난에는 당시 집현전의 학자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서거정은 당시 모친상으로 인해 복상 중이었기 때문에 현실의 극한 갈등을 다소 피하기는 했지만, 결국 그는 절의를 지키는 사육신과 생육신을 따르지 않고 계유정난의 주역인 한명회․신숙주․권남의 편에 서서 현실적인 노선을 택한 이후 순탄한 벼슬살이를 계속하게 된다.
그는 48세부터 예문관 대제학을 겸직하였는데, 이때부터 죽기 전까지 23년간 문형의 자리에 있었다. 이에 나라의 전책과 사명이 모두 그의 손에서 쥐어지게 되었으며, 주요 관찬서도 그의 주도 아래 이루어지게 되었다. 서거정은 후대 조선정치의 기초가 되는 여러 전적들, 『경국대전』(1469년), 『삼국사절요』(1476년), 『동문선』(1478년), 『동국여지승람』(1481년) 등이 그의 손을 거쳐 완성되었다.(김기림, 「서거정 記文과 그 의미」,2002.)
관찬서 이외에도 그는 동인시화(東人詩話),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필원잡기(筆苑雜記)와 같은 개인문집을 남기는 등 생전에 남긴 저술의 양은 실로 엄청나다. 이처럼 방대한 양의 저술을 남긴 서거정은 특히 문장에 재능을 보인 관료로서, 당시 중국 최고의 문장가 기순에 대응할 만한 조선 최고의 문장가로 통하였다.
참고문헌
- 단행본 -

서거정「독외조양촌집」,『서사가전집』, 시집보유편 권6.
서거정 원저, 성백효 번역. 『사가명저선-동인시화』, 이회문화사, 2000
이종묵 외, 『서거정 문학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전형대 외, 『한국고전시학사』, 홍성사, 1979.


- 논 문 -

곽상우, 「『동인시화』연구」, 세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김기림, 「서거정 記文과 그 의미」,송담대 대학원 석사논문, 2002.
박신옥, 「동인시화에 나타난 서거정의 시론 연구」, 공주대 대학원 석사논문,
백연태, 「서거정의 유람시 고찰」,『인문학연구』Vol.30 No.2, 2003.
백연태, 「서거정의 愛民詩 考察」,『어문연구』, Vol.34, 2000.
윤인현, 「한국 한시 이론으로서의 용사론과 점화론 연구」, 서강대 대학원 박사논문, 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