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

 1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1
 2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2
 3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3
 4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4
 5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5
 6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6
 7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7
 8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8
 9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9
 10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경제론] 중국의 자원 확보 행태 및 전략과 한국적 시사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중국의 자원 확보 유형, 배경, 전략

1. 자원 확보의 배경

1) 경제성장에 따른 자원 필요 충당

2) 전략적 상황에 따른 특정지역 집중도 완화

2. 자원 확보 유형

1) 인수 및 투자형

2) 공급 계약형

3) 차관 외교형

3) 자원 확보 전략

(1) 현재의 문제점

➀ 미국과의 경쟁
➁ 수송로의 전략적 문제
(2) 중국 자원 확보 전략의 특징

① 에너지 공급원의 다각화를 통한 중동 비중의 축소

➁ 다자주의 틀 안에서 양자주의 구사
➂ 막대한 외환보유고를 바탕으로 국영기업 중심의 자원 확보 전략

Ⅲ. 중국의 자원 확보의 영향

1. 원자재 가격 급등

2. 자원보유국의 자원 무기화

Ⅳ. 정책적 시사점

1. 한국적 현황
2. 대응방안의 모색

1) 기본적 방향 : 정책의 일관성 견지

2) 자원 공급선의 다각화 시도

3) 일본식 자원개발 모델의 활용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중국의 자원 확보 유형, 배경, 전략
1. 자원 확보의 배경
1) 경제성장에 따른 자원 필요 충당
중국 경제는 상당한 기간동안 연 8% 에 이르는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는데, 이는 세계 평균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러한 성장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에너지 소비의 증가가 필연적이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액체연료 및 천연가스의 세계소비 대비 중국소비의 비중은 2010년 각각 9.9%, 2.3%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지만, 2030년 경에는 15.7%, 4.1% 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어 앞으로도 지속적인 자원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전략적 상황에 따른 특정지역 집중도 완화
중국의 지속적 경제성장을 위해서는 석유 · 철광석 등이 필수적이나, 현재 이러한 자원의 해외 의존도가 40% 정도에 이르고 있다. 특히 중국에 있어 석유는 이란· 사우디에 대한 의존도가 약 59%에 달하고, 철광석은 호주 · 브라질 의존도가 63% 에 이르는 등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가 과도한 것은, 향후 미국과의 분쟁에 있어 수송로의 위협(남중국해 해로 통제)만으로도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중국이 서부 아프리카 등의 자원 확보를 위한 공격적 투자의 원인이 되고 있다.



2. 자원 확보 유형
1) 인수 및 투자형
자원 개발 회사나 개발권의 지분 인수로 자원 공급권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단시간에 자원 공급을 확보 할 수 있는 가장 손쉬운 형태로 중국은 일본과 함께 해외 자원 인수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이다. 현재 중국이 보유한 막대한 외환보유고(?)는 다른 나라와의 인수 경쟁에서 유리한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2) 공급 계약형
장기간 일정량의 자원 공급 계약을 통하여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석유 자원과 같이 현실적으로 인수가 쉽지 않은 자원의 공급원을 확보하는 형태로 주로 중동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3) 차관 외교형
저개발, 신흥경제국가에 차관을 제공하는 대가로 자원의 현물 상환이나 자원 개발의 우선권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주로 아프리카의 저개발 국가 및 중남미의 신흥 경제 국가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유 형
전 략
해외자원확보유형
인수 및 투자형
공급 계약형
차관 외교형
해외자원
확보전략
기존 공급원의 공급 안정성 확보
호주, 브라질
중동, 브라질
브라질
脫 서방화
이란, 아프리카
아프리카
아프리카, 베네수엘라
수송경로의 다각화


러시아,
중앙아시아


< 중국의 자원확보 유형>

3) 자원 확보 전략

참고문헌
1. 김주현, [세계자원 블랙홀 파장과 시사점], {VIP REPORT}, 09-27(제409호), 현대경제연구원
2. 박진호, [중국의 자원 확보를 위한 해외투자 현황], {해외경제정보}, 2009-63호, 해외조사실 아주경제팀
3. 김정기, [중국과 일본의 에너지 자원 정책과 에너지 외교], 원광대학교
4. 탁승문, [새로운 자원냉전, 그리고 중국의 미래], 포스코 경영연구소
5. [글로벌 경제위기에도 가속 페달 밟는 중국 에너지 개혁], LG 경제연구원
6. 박창현, [고유가가 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해외경제정보}, 2009-63호, 해외조사실 아주경제팀
7. [글로벌 자원위기의 의미와 영향], LG 경제연구원
8. [중국발 에너지 위기 가능성과 에너지 안전보장], 삼성경제연구소
9. 이태환, [중국의 에너지 문제]
10. [한국의 자원 확보 전략], 삼성경제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