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

 1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1
 2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2
 3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3
 4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4
 5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5
 6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6
 7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7
 8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8
 9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도덕철학] 공리주의(utilitarianism)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공리주의(utilitarianism)란?

♦ 공리주의를 대표하는 철학자와 그들의 주장

♦ 사례를 통해서 본 공리주의 입장

♦ 공리주의에 대한 비판점과 옹호론

♦ 정리하면서...

본문내용
공리주의 윤리학의 기본원리는 ‘옳은 것은 좋은 것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한 행위가 도덕적으로 옳은가는 그 행위의 결과가 무엇인지를 찾아내고 또 그것이 본래적으로 좋은지 또는 나쁜지를 결정함으로써만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좋은 것(good)이면 옳은 것(right)이 된다.
그렇다면 옳은 행위의 결과를 좋다고 판단하는 ‘본래적 가치의 표준’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해 고전적 공리주의자들은 두 가지 다른 대답을 한다.
고전적 공리주의자인 벤담은 ‘쾌락’이라고 했고 또 다른 고전적 공리주의자인 밀은 ‘행복’이라고 말하면서 행복이란 단순히 쾌락의 종합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20세기 공리주의자 ‘무어’는 본래적 선(좋음)은 쾌락 또는 행복 그 어느 것에 의해서도 정의 될 수 없는 독특한 속성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각각 쾌락주의적 공리주의, 행복주의적 공리주의, 이상주의적 공리주의라고 한다.
쾌락주의적 공리주의는 만약 한 행위가 쾌락을 가져다준다면 그것은 옳다. 그러나 고통을 초래한다면 그것은 그르다는 입장이다.
행복주의적 공리주의는 쾌락주의적 공리주의에서 쾌락을 행복으로 고통을 불행으로 바꾸어 놓기만 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이상주의적 공리주의는 쾌락을 본래적 선으로 고통을 본래적 악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공식화될 수 있다.
하지만 위의 세 가지 입장의 공통점은 쾌락, 행복, 본래적 선이 모두 ‘모든 사람’을 위한 것이라고 말한다.
벤담은 원래 법학자인 동시에 변호사였다. 프리스틀리의 ⌜정부론⌟을 읽고 크게 감동하였으며 이 논문에 나타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표현에서 영감을 받아 공리주의를 구상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벤담의 쾌락주의는 개인적 차원인 에피쿠로스와 달리 사회윤리 측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에피쿠로스 윤리학이 형이상학적이라면 벤담의 윤리학은 과학적이다. 쾌락계산이란 방법을 소개하고 ‘쾌락과 고통의 양을 수량화’하여 측정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래서 그를 양적 공리주의라고 부른다.
이러한 비판에 대처하기 위해서 밀이 수정하여 나온 것이 질적 공리주의이다. 크게 3가지 특징으로 구분하면, 쾌락(=행복)주의적, 보편적, 목적론적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밀은 쾌락을 좀 더 넓은 뜻으로 사용하여 ‘행복’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고 믿고 단순히 양적으로만 측정할 것이 아니라 ‘질적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함으로써 벤담의 입장을 파격적으로 수정했다.
육체적이고 관능적인 ‘낮고 천박한 쾌락’을 피하고 정신적이고 지성적인 ‘높고 고상한 쾌락’을 추구함으로써 인간의 고유한 행복을 확보해야 하며 이것이 곧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이기도 하다고 주장했다.
쾌락의 질을 측정하는 기준은 여러 종류의 쾌락을 경험한 사람이 어떠한 쾌락을 택하느냐에 따라 규정된다고 하였다. 즉, 경험을 쌓은 자의 ‘직관력’에 호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밀의 공리주의가 갖는 ‘보편성’이라는 특징은 인간이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적인간관에 바탕을 두고 인간을 단순히 이기적인 존재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본성 가운데에는 남의 행복을 보고 즐거워하는 쾌락도 포함되어 있다고 보는 것으로 칸트의 경우에서처럼 ‘내 행위의 원천이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행위하라’는 뜻을 함축하고 있다는 것이다.
밀의 공리주의의 ‘목적론적’ 특징은 옳고 그름을 판정할 때 동기나 의도보다 행위의 결과를 더 중요시해야 된다는 것으로 동기가 행위자의 가치와 관계가 깊다는 것은 사실이지만 행위의 도덕성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주장한다.


♦ 사례를 통해서 본 공리주의 입장

< 제1의 사례 : 안락사 >
매튜 도넬리는 30년 동안 x-레이를 다루어 온 전문 의사였다. 지나치게 x-레이에 노출된 결과로 암에 걸려 신체의 일부분을 잃어버리게 되고 실명까지 하게 되었
참고문헌
⌜도덕철학⌟ (서광사) 제임스 레이첼즈 지음.

⌜윤리학의 기본원리⌟ (서광사) 폴 테일러 지음.

⌜도덕 행위론⌟ (지성의 샘) 존 호스퍼스 지음.

⌜지혜의 윤리학⌟ (벽호) 엄정식 지음.

⌜두산대백과사전⌟

⌜브리태니커백과사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