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

 1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1
 2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2
 3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3
 4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4
 5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5
 6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6
 7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7
 8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8
 9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9
 10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10
 11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11
 12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12
 13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에 따른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이공계 기피 현상의 대두
1.2. 용어의 정의
1.3. 이공계 기피 현상의 문제점
1.4. 논문의 주제와 의의

2. 이공계 기피 현상의 일차적 원인
2.1. 처우 문제
2.1.1. 과학기술인들의 낮은 처우
2.1.2. 공급의 과잉
2.1.3. 의약계에 비한 상대적인 박탈감
2.2. 사회적 지위와 인식 문제
2.2.1. 낮은 사회적 지위
2.2.2. 사회적 인식의 문제점
2.2.3. 약한 정치적 권력

3. 한국의 역사적 특수성
3.1. 과학사의 비교 분석 개요
3.2. 서양의 과학사
3.2.1. 16세기 이탈리아의 르네상스까지
3.2.2. 17세기 영국의 과학혁명
3.2.3. 18세기 프랑스의 과학기술인의 지위 향상
3.2.4. 19세기 독일의 과학 전문직업화
3.2.5. 20세기 미국의 현대 과학기술
3.3. 한국의 근현대사와 과학기술
3.3.1. 조선시대와 일제 강점기
3.3.2. 개발 독재 시대와 IMF
3.4. 각국의 현재 상황

4. 결론

참고문헌, 사이트
본문내용
2. 이공계 기피 현상의 일차적 원인

2.1. 처우 문제

2.1.1. 과학기술인들의 낮은 처우
서론에서 밝혔듯이 이공계 기피 현상의 가장 현실적인 일차적인 이유는 낮은 처우 때문이다. 특히 이는 과학기술계에 직접 종사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니 더 신빙성이 있다. 다음은 2002년 3월 www.scieng.net에서 회원 중 주로 과학기술 종사인 66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http://www.scieng.net/zero/view.php?id=pds&page=6&category=&sn=off&ss=on&sc=on&keyword=&sele
ct_arrange=headnum&desc=asc&no=23
결과의 일부인데, 대부분의 과학기술인들이 이공계 기피 현상의 원인과 대책 중 가장 중요한 게 처우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을 보여준다.

1. 이공계기피현상의 근본적 원인과 본질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교차지원 허용과 이과과목의 어려움등 교육과정과 입시제도의 문제 - 32 표 (4%)
과학기술인의 처우와 불투명한 미래 문제 - 581 표 (86%)
산업사회 발전 단계와 수요공급문제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 - 26 표 (3%)
학부모의 법대, 의대 선호와 청소년의 가치관 변화에 따른 일시적 유행 현상 - 26 표 (3%)
잘 모르겠다 - 4 표 (0%)
2. 이공계기피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교차지원 축소, 폐지 - 14 표 (2%)
이공계 대학생 장학금 지원 - 7 표 (1%)
이공계 대학원생 생계 지원 - 9 표 (1%)
병역특례 확대 - 27 표 (4%)
과학기술인의 사회적 처우와 인식 개선 - 585 표 (87%)
연구비 증액 - 27 표 (4%)

얼마나 대우가 열악하기에 그러는 것인가? 과학기술인들의 임금은 의약계는 말할 필요도 없고, 금융계와 같은 분야보다 초봉이 낮다고 한다 서지우, 누가 이공계를 죽이는가, 은행나무, 2002, pp. 151-156.
. 7~8년 늦게 사회에 진출하는 박사급의 고급인력조차 초봉이 금융계의 초봉 수준이라고 한다. 프로젝트에 치여서 매일 밤새 일하고 주말도 없는 대부분의 연구원들에게는 그들의 국가적인 역할로 보아서 너무나 비합리적인 대우라고 할 수 있다. 프로젝트 결과 나오는 성과급 또한 기대 이하여서 연구하고자 하는 욕구를 떨어뜨린다.
거기에 과학기술계의 특성상, 학업을 마치고도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익혀야 하기에 사람들이 느끼는 체감정년도 40대로 낮다 Ibid., p. 21.
. 젊은 나이에 열심히 연구하고 난 결과가 조기은퇴다. 40대가 되면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분명 잘못된 것인데 그 이유는 경험많은 과학기술인은 젊은사람들처럼 머리는 안돌아도 그들 나름의 역할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경쟁력이 없고 생산성이 떨어진다고 퇴출 당하고 만다.

2.1.2. 공급의 과잉
과학기술인들의 미래가 불투명하고 대우가 낮은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지금까지 이공계에 너무 많은 인력이 공급돼 왔다는 것이다. 다음 자료는 한국을 비롯한 OECD의 몇몇 국가의 전공분야별 대학생 배출 비율이다 http://www.scieng.net/zero/view.php?id=pds&page=1&category=&sn=off&ss=on&sc=on&keyword=&sele
ct_arrange=headnum&desc=asc&no=150
.


이공계
의료보건
인문사회교육
OECD 평균
26.3
11.5
61.5
프랑스
29.1
2.0
65.9
독일
36.1
14.6
49.3
일본
29.3
4.9
62.1
영국
27.9
12.2
59.9
미국
18.4
10.2
71.2
한국
41.7
6.9
51.7


전체적으로 선진제국들에 비해 이공계의 비율이 매우 높고, 비슷한 산업구조인 일본과 독일과 비교해도 높다. 이는 현재 대학생의 배출 비율이지만 이를 통해 이전에도 이공계 진출자가 과도 하게 많았음을 예상할 수 있다. 과학기술인들이 많이 필요하고 특히 고급인력을 대량으로 요구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이공계에 지나치게 많은 인력이 공급되어 왔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영식․임경순, 과학사신론, 다산출판사, 1999.
서지우, 누가 이공계를 죽이는가, 은행나무, 2002.
임재춘,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마이넌, 2003.

참고사이트
www.joins.com
www.scieng.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