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 민속축제와 놀이정신 -탈놀이를 중심으로

 1  [한국문화] 민속축제와 놀이정신 -탈놀이를 중심으로-1
 2  [한국문화] 민속축제와 놀이정신 -탈놀이를 중심으로-2
 3  [한국문화] 민속축제와 놀이정신 -탈놀이를 중심으로-3
 4  [한국문화] 민속축제와 놀이정신 -탈놀이를 중심으로-4
 5  [한국문화] 민속축제와 놀이정신 -탈놀이를 중심으로-5
 6  [한국문화] 민속축제와 놀이정신 -탈놀이를 중심으로-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화] 민속축제와 놀이정신 -탈놀이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민속축제의 놀이정신
2. 탈놀이
3. 산대 탈놀이
Ⅲ. 결론
본문내용
탈놀이는 여러 가지 목적과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그 놀이의 바탕은 우선 자기를 숨기고 그 신통력과 마력을 구사할 수 있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얼굴에 가면을 쓰게 됨으로써 이미 그는 他自가 되며, 타자가 됨으로써 그는 이미 그가 아닌 他力을 얻게도 된다. 이것은 일종의 연극에 있어서의 변신과도 같은 영향력이라고나 할까. 어쨌든 고대에 있어서의 주술놀이나 현재까지 전승되는 민속놀이에서 가면은 그만큼 많은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이를 추는 사람의 심리상에도 그만큼 많은 영향을 주는 것이 또한 사실이다. 가령 사자의 탈을 쓰면 사자의 위력을 얻게 되고, 양반 혹은 백정의 탈을 쓰게 되면 그와 같은 몰골 뿐 아니라 그와 같은 인물로 화신하는 듯한 착각을 스스로 갖게 되는 것이 또한 인간이다. 때문에 탈놀이에는 근본적으로 어떤 마력을 얻게 되고 연기자가 이 마력을 소지하게 됨으로써 완전 자유인이 되는 것이다. 탈놀이의 놀이정신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으로 자신의 신분을 망각하고, 망각함으로써 그는 그 무엇에도 구애받지 않으며 따라서 일종의 초인적인 힘을 얻게도 된다. 장한기, 『21세기를 향한 한국인의 가능성』, 一念출판사, 1984, pp.294-295.

한국의 고유어 탈은 한자어 가면(假面 혹은 面)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탈놀이는 가면희, 가면무 혹은 가면극을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가면을 이용한 놀이를 통칭 가면희라 하고, 가면을 이용한 본격적인 연극을 가면극이라 한다. 탈을 쓰고 노는 사람을 탈꾼, 탈광대라고 하였다. 고대의 기록에는 탈과 탈꾼을 괴뢰, 귀두, 귀뢰, 면구, 가두, 대면, 가수 등으로 통칭하였다. 이는 탈이 지닌 허구적 인격성, 얼굴에 쓰는 도구, 귀신이나 변환을 퇴치하는 종교성, 그리고 탈을 쓰고 노는 연희자 등을 포괄시킨 의미이다. 일반적인 의미로는 탈을 도구로 해서 노는 놀이는 모두 탈놀이라고 할 수 있다. 서연호, 『한국 가면극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02, pp.161-162.

가면은 탈놀이에서 아주 중요한 구실을 한다. 가면은 문자 그대로 원래의 얼굴 모습을 가장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형상을 가리킨다. 가면은 무엇보다도 신분을 감추는 데에 가장 많이 그리고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니까 가면은 곧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가면을 얼굴에 씀으로써 사람들은 인간에서 신으로, 신에서 인간으로, 生者에서 亡者로 또는 남성에서 여성으로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다. 처음에는 오로지 이 상징적인 원리로 주술적인 목적으로만 사용하던 가면이 점차 연극과 같은 예술에서 오락적인 기능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놀이마당이 지니는 공간적 가변성을 살펴보면, 마당극에서의 마당은 일터, 쉼터, 놀이터, 집회의 광장이다. 즉 이런 삶을 재생산하는 열려진 동참의 현장이다. 또 한편 우리 마당의 뜻에는 거룩한 곳이라는 종교적 뜻이 담겨 있기도 하다. 마을굿이 벌어지는 마당은 평소에는 일상 생활공간이지만 굿터로 정해지면 각종 금기가 지켜지는 성스러운 곳으로 닫힘의 체계를 갖는다. 이 점에서 일년 내내 속된 것이 범접하지 못하는 교회나 법당과는 다르다. 그리고 놀이를 중단하면, 그러한 것들이 다시 허용되어 자연 상태가 다시 열린다. 일단 탈놀이가 연행되는 장소가 정해지고 이 장소에서 놀이가 시작되면 이 탈놀이판은 곧 신성한 놀이의 공간이 된다. 적어도 탈놀이를 연행하는 동안에는 일상 세계를 지배하는 어떤 법칙이나 규범도 그 힘을 발휘할 수 없는 일종의 치외 법권적인 공간이 된다. 여기에서는 오직 탈놀이 특유의 질서나 법칙 또는 규범이 지배할 따름이다. 이 공간에서는 하인의 말뚝이나 쇠뚝이가 양반들을 조롱하고 매도할 수 있고, 하급 승려들인 상좌나 팔먹중들이 노승인 노장을 비판할 수도 있다. 탈놀이판에서는 가부장 제도의 엄격한 규
참고문헌

권영빈 역, 『놀이하는 인간』, 홍성사, 1985.
김욱동, 『탈춤의 미학』, 현암사, 1994.
김흥우, 『한국의 놀이와 축제Ⅰ』, 집문당, 2002.
류정아 역, 『축제와 문명』, 한길사, 1998.
비교민속학회 편, 『민속과 예술』, 민속원, 2002.
서연호, 『산대 탈놀이』, 열화당, 1993, pp.6-8.
, 『한국 가면극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02.
이문웅 역, 『문화의 개념』, 일지사, 1984.
임동권 외 2명, 『민속놀이론』, 민속원, 1997.
장한기, 『21세기를 향한 한국인의 가능성』, 一念출판사, 1984.
정한모, 『한국의 축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87.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기린원, 199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