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

 1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1
 2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2
 3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3
 4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4
 5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5
 6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6
 7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7
 8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8
 9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9
 10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10
 11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11
 12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러시아 에너지 안보전략 -러시아 국내의 에너지 현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_ 보랏빛 소가 (이미) 왔다!
{본론_ 뜨거운 러시아 자원
1. 러시아의 자원 현황
(1) 에너지 자원
(2) 식량 자원
2. 대내적인 러시아 자원 개발
- ‘극동-자바이칼 개발 계획’과 ‘러시아 에너지 전 략 2020(RES2020)’
3. 러시아 에너지를 향한 동북아의 움직임
(1) 한국의 투자
(2) 중국의 투자
(3) 일본의 투자
(4) 한국과 러시아의 자원 협력 현황
4. 우리가 러시아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들
(1) 에너지 자원 - 석유와 천연가스
(2) 식량 자원
{결론_ 더욱 더 remarkable한 보랏빛 소를 위해
본문내용
러시아가 주목받는 또 다른 이유로는 ‘식량 자원’을 재배할 수 있는 ‘광대한 땅’을 들 수 있다. 중국의 산업화와 제3세계 경제 성장에 의한 곡물 수요의 지속적 증가, 자연 재해 빈발 등 기상 이변의 심화, 다국적 곡물 메이저들에 의한 농산물 시장 지배력 강화, 바이오 에너지 원료 수요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세계 곡물시장의 불안정한 상황, 흔히 오늘날의 ‘애그플레이션(Agflation)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은 (쌀을 제외한) 밀, 옥수수, 콩 등의 자급률이 낮은 나라의 경우, 적합한 토양을 분석하고 농사를 짓기 위해 진출하는 등의 시도가 진행 중이다. 가장 대표적인 곳은 ‘연해주’로서, 기상 및 토지환경 조건상 벼농사에 적합하고 수자원이 풍부 조명철, ‘러시아 극동을 주목하라’, 대외정책연구원
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해주의 나호트카 시는 자유경제지대(FEZ)로 설정되어 있으며, 한국 기업이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는 곳 중 하나다. 그러나 아직도 기반시설과 생산요소의 부족, 지방과 중앙의 법률-법규 상치 등으로 외국인 직접 투자가 커다란 진전을 보이고 있지는 않은 상태 박정민, A.스타리치코프, ‘러시아 극동을 주목하라’, 한울, 2005, pp. 57-61
이다. 하지만 러시아 내에서 연해주가 속해있는 극동과 시베리아는 낙후된 지역이라는 이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푸틴 정부가 들어서고 동부 지역의 중요성을 깨달은 후 러시아 정부는 ‘극동-자바이칼 개발 계획’과 ‘러시아 에너지 전략 2020’을 수립했다.

2. 대내적인 러시아 자원 개발

- ‘극동-자바이칼 개발 계획’과 ‘러시아 에너지 전략 2020(RES2020)’
러시아 정부의 극동 개발 계획은, 극동지역의 에너지 개발은 물론 병행하되 오일머니에 의존하는 경제구조를 바꿔 성장 엔진을 마련하기 위한 조치, 즉 푸틴플랜의 구체적인 실현이라고 볼 수 있다.
에너지 자원 수출 의존형 경제는 러시아의 큰 특징이며 현재의 GDP 성장 역시도 세계적인 고유가로 인한 영향이 크다. 그러나 일방적인 부문에 의존하는 경제는 그만한 위험을 갖는다. 한 실증분석에서는 국제유가가 10% 하락할 경우 러시아 GDP는 2.2% 감소한다는 결과 또한 제시 J.Rautava, ‘러시아 경제에 있어 국제유가와 실질환율의 역할’, 2002
되었다. 또한, 이어지는 유가의 고공행진 속에서 관련 기업의 경영은 방만해지며 구조조정의 강도 또한 느슨 박상남 외, ‘푸틴의 러시아 : 권력과 시장 그리고 비즈니스’, 한울, 2007, pp.262-270
해지고 있다. 이를 깨달은 푸틴 정부는 현재 ‘장기 경제개발 전략’의 일환으로 시베리아의 대규모 기반 시설 구축 및 자원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이대로 둔다면 극동은 세계 원료시장으로 전락할 것이며 동북아 지역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RES2020의 경우, 전략 사업에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경영권을 위한 투자를 제약하고 있으며 각종 자원 산업의 국영화 및 통폐합을 추진하고 있다.




RES2020의 극동-시베리아 개발과제 中 주요 프로젝트 및 전망
- 치타주 동남지역 및 BAM 철도 지역의 광물자원 개발을 위한 수송 인프라 건설, 남부 야쿠츠크지역의 복합 개발, 야쿠치야 공화국의 탄광 개발
- 에벤키 수력 발전소 및 비팀 수자원 캐스케이드 건설, 베르카키트-야쿠츠크 철도 건설
- 하바로프스크 임가공 단지 개발 등
- 장기 발전의 제3시나리오에 따르면 2020년까지 시베리아의 GDP 성장률은 2.7~2.9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우선적 개발 대상 : 연료 에너지, 운수, 전력, 목재 분야 등 30개에 달하는 산업 시설물 건설 예정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