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곽 레포트

 1  한국의 성곽 레포트-1
 2  한국의 성곽 레포트-2
 3  한국의 성곽 레포트-3
 4  한국의 성곽 레포트-4
 5  한국의 성곽 레포트-5
 6  한국의 성곽 레포트-6
 7  한국의 성곽 레포트-7
 8  한국의 성곽 레포트-8
 9  한국의 성곽 레포트-9
 10  한국의 성곽 레포트-10
 11  한국의 성곽 레포트-11
 12  한국의 성곽 레포트-12
 13  한국의 성곽 레포트-13
 14  한국의 성곽 레포트-14
 15  한국의 성곽 레포트-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의 성곽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성곽의 개념과 기원
1. 성곽의 개념
2. 성곽의 기원
Ⅱ. 성곽의 구분
1. 축성재료에 의한 구분
① 목책(木柵)
② 토성(土城)
③ 석성(石城)
④ 전성(磚城)
⑤ 토석혼축성
2. 축성지형에 따른 구분
① 산성
② 평지성
③ 평산성(平山城)
3. 축성기능에 의한 구분
① 치성(治城)
② 군성
Ⅲ. 성곽의 시기별 특징
1. 고구려의 성곽
2. 백제의 성곽
3. 신라의 성곽
4. 고려의 성곽
5. 조선의 성곽
Ⅳ. 성곽의 구성요소
1. 성문
2. 성벽
본문내용

1. 축성재료에 의한 구분

① 목책(木柵 : 나무를 땅에 박아 종횡으로 엮어 만든 방어시설)
삼국시대 초기의 성은 나무를 둘러 울타리를 치는 목책성(木柵城)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의하면 부여의 작성책(作城柵), 진한의 유성책(有城柵), 고구려의 책성(柵城), 신라 오책(五柵)을 설치했다는 기록이 있다.
책(冊)은 본래 죽간(竹簡)을 모아서 끈으로 묶은 모습의 상형 문자인데, 나무를 책처럼 늘어세우고 가로질러 엮은 것이 바로‘책(柵)’이다. 이러한 원시적인 형태의 목책은 백제의 몽촌토성에 그 흔적이 남아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청해진에도 목책의 자취가 남아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까지도 계속 활용되었는데 임진왜란 행주산성전투에서도 목책이 사용되었다.

② 토성(土城)
목책성의 다음 단계로 발전된 형태가 바로 토성이다. 토성은 석성과 함께 우리나라 성곽의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른 시기에 구릉지대를 중심으로 축조되었는데 후대에도 석재를 구하기 힘든 지방에서는 토성이 축조되었다. 성(城)이라는 글자 자체가 ‘흙으로 이루었다’는 뜻인데 앞의 흙을 파서 뒤에다 쌓으면 성의 높이가 더 올라가는 효과를 주게 되고 흙을 판 곳에 물을 채우면 해자(垓子)가 형성되는 효과도 겸하게 되었다. 삼국시대의 도성(都城)은 거의가 토성이었다. 고구려의 평양나성과, 백제의 풍납토성․몽촌토성․공산성․부소산성, 신라의 월성 등이 그러하다. 토성을 축조하는 방법으로는 삭토법(削土法) 산의 성벽이 통과할 지역의 내부를 파서 성벽으로 축조하는 방법.
․판축법(版築法) 진흙과 모래 등을 차례차례 다져 넣어가며 쌓아올리는 방법.
․성토법(成土法) 다른 지역에서 흙을 가져다 성벽을 쌓는 방법.
․보축법(補築法) 최대한으로 지형을 이용하면서 취약 지점만을 보강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었다.

③ 석성(石城)
한국 성곽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석성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 성곽의 보편적인 축조방법으로 발전되었다. 한국 성곽에서 토성이 석성으로 변화되기 시작한 시기는 삼국시대였다. 삼국시대에 이르러 국경지역에 국가의 방어나 공격을 위한 성곽을 축조하면서 대개 석성의 축조방법을 택했던 것으로 보인다. 토성은 빠른 시일에 적은 인력과 경비를 들여서 쌓을 수 있지만 견고하지가 못하였다. 세월이 오래 지나면 비바람에 무너져 내리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석성은 초축부터 석성인 경우도 있으나 토성이었던 것을 석성으로 개축한 것도 있다. 고려시대에 흙으로 쌓았던 읍성들은 조선시대에 와서 다시 석성으로 고쳐 쌓았다. 조선왕조 건국 과정에서 급하게 쌓느라 절반 이상을 토성으로 쌓았던 한양 도성도 세종 때에 석성으로 고쳐 쌓았다. 석성을 축조함에는 성돌을 자연 그대로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정연하게 다듬어 축조하는 경우가 있다. 산성에서는 자연석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읍성 등의 치성에서는 돌을 다듬어 사용하고 있다. 성벽을 축조할 때에는 협축법(夾築法) 성벽의 안과 밖을 모두 돌로 쌓는 방법.
․편축법(片築法) 셩벽 밖의 벽면만을 돌로 쌓고 안은 흙이나 잡석으로 채우는 방법.
등이 이용되었는데 우리나라 산성 대부분이 편축법을 채용하고 있으며 협축법은 평산성, 평지성에서 채택되었다. 그러나 산성에서도 중요도에 따라 협축의 방법이 채택된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

허경진 『한국의 읍성』대원사, 2001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답사여행의 길잡이12-충북』돌베개, 1998
반영환 『한국의 성곽』대원사, 1991
유봉학 외 『정조시대 화성 신도시의 건설』백산서당, 2001
김동욱 『조선시대 건축의 이해』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최홍규 『정조의 화성 건설』일지사, 2001
이동신 『한국 산성의 특징과 안동의 산성』안동문화 연구회, 2001

>

차용걸 충북대학교 사학회, 2006
심광주 고구려 연구회, 2005
송파굉륭, 서길수 옮김 고구려 연구회, 1999
박성현 서울대학교 역사연구소, 20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