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

 1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
 2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2
 3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3
 4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4
 5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5
 6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6
 7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7
 8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8
 9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9
 10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0
 11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1
 12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2
 13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3
 14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4
 15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5
 16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6
 17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7
 18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8
 19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19
 20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근세문학사] 명대 전기 복고주의(전후7자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論
1. 復古文學의 形成 背景
2. 復古主義의 登場

Ⅱ. 明代 前期 復古主義
1. 明代 文學史 槪觀
1) 明代 初期
2) 明代 中期
3) 明代 末期

2. 復古主義의 文學史的 位置

3. 前後七子
1) 前七子
2) 後七子
3) 前後七子가 후세에 끼친 影響

4. 唐宋派

5. 明代 復古主義의 意義 및 限界

Ⅲ. 結論

Ⅳ. 參考文獻
본문내용
다릉시파의 뒤를 이어 前後七子가 등장하여 대각체를 무너뜨리고 복고를 주장하며 秦漢의 문장과 盛唐의 시를 표준으로 하였다. 전칠자의 영수는 李夢陽인데, 『明史』에서는 그에 대하여 “이몽양은 才思가 뛰어나고 굳어서 復古를 자신의 사명으로 삼았다. 홍치 연간에 재상 李東陽이 문단의 실권을 장악하자 천하의 사람들이 모여들어 그를 으뜸으로 삼았는데, 유독 이몽양만이 그의 유약함을 비난하면서 문장은 반드시 진 ․ 한의 문장이어야 하며 詩는 반드시 성당의 시이어야 한다고 부르짖으며, 이것이 아니면 말하지 않았다.” 라고 기술되어 있다. 이동양도 원래 대각체 詩文의 유약함을 인식하였지만 이동양의 시문은 내용에서 풍격에 이르기까지 모두 대각체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날 수 없었으므로 이몽양이 그 유약함을 비난한 것이다. 그는 대각체의 유약한 문풍을 대신하여 보다 확고한 復古主義를 구축하고자, ‘文必秦漢, 詩必盛唐’ 이라는 제한적인 복고를 주장하였다. 이러한 그의 復古主義는 하경명의 힘을 얻어 더욱 위세를 떨쳤으며, 급기야 전칠자가 문단을 주도하게 되었다.
전칠자가 秦 ․ 漢 ․ 盛唐의 시문에 대한 모방과 표절이 많고 형식을 추구한 작품을 양산하게 되자, 嘉靖 연간에 이르러 王愼中 ․ 唐順之 ․ 歸有光 ․ 茅坤 등을 중심으로 하는 이른바 ‘唐宋派’의 비판을 받게 되었다. 당송파는 전칠자의 형식적인 擬古 옛것을 본뜸.
를 반대하였으며, 先秦 이래 특히 唐宋八大家의 문학사상을 폭넓게 수용하여 古人의 참뜻을 작품에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당송파의 노력도 결국 오래가지 못하고 문단은 다시 한 번 전칠자의 뒤를 이은 이반룡과 왕세정을 중심으로 하는 후칠자에 의하여 주도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1 중국 문학의 발생과 그 변화의 궤적/ 徐敬浩/ 문학과지성사 /2005
2 중국문학의 이해/ 李哲理/ 신성출판사
3 明代詩選/ 金學主/ 明文堂

♣학위논문

1 조선후기 문인들의 전후칠자에 대한 대응 양상 연구 / 이병순 / 단국대 대학원 / 2007 / 박사
2 이몽양의 문학이론 연구 / 한선규 / 부산대 대학원 / 2006 / 석사
3 이덕무의 문학 비평에 관한 연구 / 이학당 / 성균관대 대학원 / 2005 / 박사
4 건안풍골론의 형성과 발전 연구/ 文承勇 / 韓國外國語大 大學院 / 1999 / 박사
5 고염무의 시론 연구/ 김화진 / 高麗大 大學院 / 1999 / 석사
6 錢謙益 文學論 硏究/ 姜正萬 / 成均館大 大學院 / 1996 / 박사
7 沈德潛 시론 연구/ 李富慶 / 韓國外國語大 大學院 / 1994 / 석사
8 袁中郞 文學理論 연구/ 朴承圭 / 忠南大 大學院 / 1990 / 석사
9 明代前後七子의 詩論 硏究/ 元鍾禮 / 서울大 大學院 / 1989 / 박사
10 袁宏道의 문학론연구/ 申旻也 / 淑明女大 大學院 / 1995 / 석사
11 계곡장유의 文論硏究/ 崔昌久 / 국민대 / 1984 / 석사
12 명대 방작에 관한 연구/ 지요상 / 홍익대 대학원 / 2003 / 석사
13 명말 복고주의와 동기창의 작풍에 관한 연구/ 양수정 / 동국대 대학원 / 2000 / 석사
14 귀유광 기문 연구/ 李定恩/ 한국외국어대 대학원/ 1998/ 석사

♣학술지

1 復古의 유형과 그 문학사적 기능 :明代 李夢陽과 李卓吾를 중심으로 / 梁會錫 / 2003 / 中國文學. 제39집 (2003. 5), pp.123-136 / 韓國中國語文學會
2 朝鮮後期 詩文選集에 나타난 明代 文學의 수용 양상 / 崔恩周 / 2003 / 東方漢文 學. 제24집 (2003. 6), pp.271-296 / 東方漢文學會
3 前後七子의 受容과 朝鮮中期 文苑의 反響 / 申承勳 / 2002 / 東洋漢文學硏究 제 16집 (2002. 10) pp.105-142 / 東洋漢文學會
4 언어와 문장 구성을 통해 본 '文必秦漢'說 :復古와 擬古를 넘어서 / 박영희 /
2002 / 中國語文學誌 제12집 (2002. 12) pp.349-369 / 中國語文學會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