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

 1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
 2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2
 3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3
 4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4
 5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5
 6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6
 7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7
 8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8
 9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9
 10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0
 11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1
 12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2
 13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3
 14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4
 15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5
 16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6
 17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7
 18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8
 19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19
 20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중국근세문학사] 공안파(복고)와 경릉파(반복고)를 중심으로한 중국문학사의 흐름에 관한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序論

I-1. 복고주의(復古主義)와 반복고주의(反復古主義)란
I-2. 중국문학사(中國文學史)의 흐름
- 복고(復古)와 반복고(反復古)를 중심으로

Ⅱ. 本論

II-1. 明代文學史 槪觀 - 正反合의 觀點에서
II-2. 공안파와 경릉파의 형성배경(形性背景)
II-3. 공안파와 경릉파
II-4. 공안파와 경릉파의 비교
II-5. 작품분석
II-6. 후대(後代)에 끼친 영향(影響)

Ⅲ.結論

III-1. 공안파와 경릉파의 의의
III-2. 보고서를 마치며

Ⅳ. 參考文獻
본문내용
명대 산문과 문학유파는 복고를 주장하는 큰 흐름과 이에 반발하는 조류로 대별할 수 있으나 정반합의 관점에서 보면 세 개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그 대표적인 문학유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정(正)의 단계란 그 자신 속에 실은 암암리에 모순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모순을 알아채지 못하고 있는 단계

명나라는 이민족 왕조였던 원(元)을 쫓아내고 한족에 의해 다시 건립된 왕조로 이전의 몽고풍의 문화를 쇄신하여 한족의 문물과 제도를 재정비하려는 복고의 움직임이 강했다. 문학에 있어서도 원의 문풍에서 탈피해 그 이전 시대의 한족 정통 문학을 되찾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으로는 당시에 관직에 나아가려면 주자학(朱子學) 북송(北宋)의 정호(程顥)는 천리(天理)를 논하였고 그 아우 정이(程)는 ‘성즉리(性卽理)’의 학설을 폈으며, 그 밖에 주돈이(周敦)·장재(張載)·소옹(邵雍) 등이 여러 학설을 편 것을 남송(南宋)의 주희(朱熹:朱子)가 집성(集成)·정리하여 철학의 체계를 세운 것이 성리학으로, 일명 주자학(朱子學)이라고도 한다. , 네이버 백과사전
과 팔고문(八股文) 중국 명·청대(明淸代)의 과거에 관한 특별한 형식의 문장. 파제(破題)·승제(承題)·기강(起講)·입제(入題)·기고(起股)·허고(虛股)·중고(中股)·후고(後股)·결속(結束)의 8단의 엄격한 형식을 갖춰야 했음.
에 능하여 과거시험에 합격하는 수밖에 없었고 사상적 통제를 엄격히 하여 ‘문자옥(文字獄)’을 일으켜 문인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풀지 않았기 때문에 창작의 폭이 자유롭지 못했다.
명초의 문단을 주도했던 대표적인 작가로는 유기(劉基), 송렴(宋濂), 고계(高啓)를 댈 수 있다. 유기는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책읽기를 좋아하여 천문·기상·역법·군사 등의 분야에 정통하였다. 시풍은 질박하고 웅장했으며 산문에도 뛰어나 원나라 말기 사회의 여러 가지 모순과 부조리를 풍자한 글을 많이 썼다. 저서로는 《성의백문집(誠意伯文集)》과 우언체 산문집 《욱리자(郁離子)》가 있다. 송렴은 특히 전기문(傳記文)과 기서문(記敍文)에 뛰어나 산문의 대가로 인정받았다. 당시 조정의 제사·조회·조유·봉사 등의 의식에서 사용한 문장은 대부분 송렴이 쓴 글들이라고 한다. 그는 유가 윤리를 존중하고 주원장의 은덕을 칭송하는 글을 많이 써 대각체(臺閣體)의 선구자(先驅者)라고 할 수 있겠다. 고계는 한대(漢代)에서 송대(宋代)에 이르는 모든 옛 시의 형식과 정신을 본받고 따르고자 하였다. 의고주의 경향의 싹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단행본

1. 《이야기 중국문학사 下》, 지세화, 일빛
2. 《공안파와 조선후기 한문학》, 강명관, 소명출판
3. 《中國文學史》, 金學主, 2008
4. 《양반전》, 朴趾源
5. 《焚書》, 李贄


◆ 논문
1. , 남정희, 2006
2. , 구교현, 2005
3. , 김학주, 1986
4. , 권정원,
2005
5. , 남덕현, 1996
6. , 구교현, 2003
7. , 이우일, 1996
8. , 권정원, 2006
9. , 구교현, 2006
10. , 남덕현, 2002
11. , 이제우, 2004
12. , 고인
덕, 2001
13., 고인덕, 1998
14. , 권응상, 1989
15. , 金榮鎭, 2003
16. , 金光永, 2001
17. , 강명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