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1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
 2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2
 3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3
 4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4
 5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5
 6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6
 7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7
 8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8
 9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9
 10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0
 11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1
 12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2
 13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3
 14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4
 15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5
 16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6
 17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7
 18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8
 19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19
 20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기독교교육]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연구 -신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글
A. 연구동기
B. 연구범위
C. 연구방법 및 한계

Ⅱ. 기독교교육의 정의
A. 기독교교육을 신학의 하위학문으로 보는 입장
1. 기독교교육은 신학이다
2. 기독교교육은 신학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B. 기독교교육을 신학과 상호 영향을 주는 관계로 보는 입장
C. 신학을 기독교교육적으로 바라보는 입장
1. 기독교교육으로 신학을 재구성하는 입장
2. 기독교교육으로 신학을 연구하는 입장
D. 기독교교육은 신학과 무관하다는 입장
1. 기독교교육은 경험을 중시해야 한다
2. 기독교교육은 사회과학이다

Ⅲ. 정체성의 정의
A. 고유성
B. 창의성
C. 정체성의 판단 기준
1. 현재성
2. 대중성
3. 주체성

Ⅳ.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A. 기독교교육의 정의 비판
B.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Ⅴ. 나가는 글
A. 요약
B. 제언


본문내용
A. 기독교교육을 신학의 하위학문으로 보는 입장

1. 기독교교육은 신학을 하는 것이다

이 입장은 기독교교육을 신학의 한 분야로 보는 입장이며, 기독교교육은 성경으로부터 그 내용과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은 주로 전통주의자들에게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학자로는 호온(Herman H. Morne)이 있다. 호온은 그의 저서 『위대한 교사 예수』(Jesus, the Master Teacher) (New York: Association Press, 1920). 이 책은 1964년에 Kregel Publications House에서 Teaching Techniques of Jesus라는 제목으로 다시 출판되었다. 한국에서는 박영호 역,『예수님의 교육방법론』(서울: 예수교문서선교회, 1980)과 고봉환 역,『예수의 교육 원리』(서울: 요나, 1993)라는 제목으로 발행되었다.
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서 가르치신 방법을 기초하여 우리의 교육 방법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즉 호온은 신약성서가 예수의 교육 방법에 대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발견하고자 노력하였다.
은준관 역시 기독교교육을 신학으로 본다. 그는 복음이라는 내용과 인간의 전달 행위인 교육의 변증법적인 사건이며, 기독교교육은 바로 이 신앙과 교육이 만나는 장에 관심을 갖는다. 은준관,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기초”, 15.
즉 신과 인간의 관계와 인간과 세계의 관계의 양상이 있고, 그 두 관계가 만나는 장에 대한 탐구가 기독교교육이라는 것이다. Ibid., 25-26.
결국 은준관은 기독교교육은 신학으로부터 그 내용과 방법이 나와야 하며, 신학이 기독교교육의 실마리가 된다는 입장을 견지한다. 그래서 기독교교육의 탐구영역은 신학이 되며, 신학 안에서 기독교교육의 탐구영역을 교육신학적 구조, 인간이해, 교육목적, 교육방법, 교육현장의 구조로 재구성한다. 이처럼 은준관은 기독교교육의 학문성을 신학에 근거하며, 교육적인 신학을 추구한다. 기독교교육은 신학을 교육화하기 위해 신학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것이다. 박종석, 「기독교교육학과 학문성」, (서울: 만남과 나눔, 2001)p. 36.

이와 유사한 입장은 리처즈에게서 발견된다. 그는 기독교교육이 신학의 영향을 받아야 한다고 말한다. Lawrence O. Richards, “Experiencing Reality Together: Toward the Impossible Dream”, Norma H. Thompson, ed., Religious Education and Theology (Birmingham, Ala.: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2), 198-217; 손승희 역, 『종교교육과 신학』(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0).
또한 기독교교육의 세 가지 근거를 성서로부터 도출하는데, 그것은 구약의 쉐마 교육(신 6:4-9)과 예수의 제자교육, 그리고 주의 교양 및 훈계 교육(엡 6:3)이다. 이것들은 학습자 안에 성경에 계시된 실재를 내면화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리처즈에게 기독교교육은 성서 안에 나타난 계시된 실재의 인격적 형상화이며, 기독교교육은 성도들로 하여금 실재로서의 진리를 경험하도록 부르는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제자로 부르심을 받는다는 것이 바로 이러한 실재의 경험으로 부름 받는 것이기 때문이다.

2. 기독교교육은 신학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두 번째로 기독교교육은 신학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입장이 있다. 이러한 입장의 대표적인 학자들은 쉐릴, 스마트, 밀러이다. 이들의 공통점은 첫째, 신정통주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교육학자들이며 미국의 기독교교육에서 신학적 단계라고 명칭되는 시대를 차지한다. D. Campbell Wyckoff, Theory and Design of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1), 50, 국역, 김국환 역, 『기독교 교육과정의 이론과 설계』(서울: 성광문화사, 1990); James D. Smart, The Creed in Christian Teaching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2), 18.
둘째, 기독교교육은 신학의 일부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신학을 기독교교육에 적용 및 수용하는 영역은 각각 다른 입장을 취한다.
먼저 쉐릴의 경우, 인간을 신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고, 교육의 대상을 인간으로 보았다. 쉐릴은 인간을 땅으로부터 이해하기보다는 하늘로부터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 후에 하늘로부터 이해되어진 내용을 바탕으로 땅으로부터 이해를 시도한다. 여기서 땅으로부터의 이해라 함은 심리학적 이해를 통칭한다. 결론적으로 쉐릴에게 있어서 교육은 신학을 보다 더 잘 이해하거나 단순히 돕기 위해 존재하는 보조적 역할에 불과하며, 이러한 신학이 없으면 교육은 곧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참고문헌



탁석산, 「한국의 정체성」,(서울:책세상)
박종석, 「기독교교육학과 학문성」, (서울: 만남과 나눔)
탁석산, 「한국의 주체성」, (서울:책세상)
손원영, 「기독교교육의 재개념화」,(서울:대한기독교서회)
박종석,「기독교교육의 선구자들」,(서울: 만남과 나눔)
강용원,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서울:한국기독교교육학회)




Lawrence O. Richards, “Experiencing Reality Together: Toward the Impossible Dream”, Norma H. Thompson, ed., Religious Education and Theology (Birmingham, Ala.: Religious Education Press, 1982), 198-217; 손승희 역, 『종교교육과 신학』(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0)
D. Campbell Wyckoff, Theory and Design of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61), 50, 국역, 김국환 역, 『기독교 교육과정의 이론과 설계』(서울: 성광문화사, 1990)
Randolph C. Miller, Christian Nurture and the Church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1961), 34; 서광선․박형규 공역, 『기독교교육과 교회』(서울: 대한기독교교육협회, 1980)
Randolph C. Miller, Education for Christian Living (Prentice-Hall, Inc., 1956), 68; 장병일 역, 『기독교 교육개론』(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1)
Thomas H. Groome,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haring Our Story and Vision (San Francisco: Harper & Row Pub., 1980), 227-230; 이기문 역, 『기독교적 종교교육』(서울: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교육부, 1983)
Nels F. S. Ferre, A Theology of Christian Education (Philadelphia: Westminster, 1967); 이정기 역,『기독교교육신학』(서울: 보이스사, 1979).




은준관, “기독교교육의 신학적 기초” 「신학논문총서:실천신학.25」
박종석, "기독교교육과 신학의 관계",「기독교교육의 시선」
강희천,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신학논문총서:실천신학.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