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

 1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
 2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2
 3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3
 4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4
 5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5
 6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6
 7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7
 8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8
 9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9
 10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0
 11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1
 12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2
 13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3
 14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4
 15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5
 16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6
 17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7
 18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8
 19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19
 20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술 교육학] 미술의 정체성과 미술교육을 통한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가. 미술의 교육적 정체성
1) 미술교과의 일상적인 영역 - 배움의 단계
가) 7차 교육과정에서 바라본 미술교과의 배움의 단계
나) 미술교육과 일상의 삶
2) 미술의 학문적인 영역 - 탐구단계

나. 미술의 교육적 역사성
1) 미술의 역사성
2) 한국 미술교육의 역사
3) 발전과제

다. 미술교과 교육속의 교육철학


3. 결론
가. 자기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학습
나. 영역의 전이
다. 과정 중심적 학습

본문내용
 몬드리안은 추상화된 위의 작업과정을 통해 모든 조형적 문제를 해결했다. 수직과 수평선 그리고 절제된 색을 이용하여 완전하고도 이상적인 상태로 표현했다. 또한 회화는 황금비율이 적용된 절대적 조화와 균형만이 존재하는, 어떠한 재현 가능성도 배제된 정신세계로 보고 이에 맞게 표현하였다.

2) 미술의 학문적인 영역 - 탐구 단계
미술의 학문적 영역은 작품제작을 위주로 활동하는 순수미술인 회화  조소  한국화  판화, 상업 미술인 디자인 공예의 전공 외에도 이론적인 학문인 미술사학  미학  미술비평  박물관학  미술치료  미술교육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회가 변화하고 산업과 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새로운 학문이 속속들이 생겨나고, 인기 있는 직업도 달라진다.
미술을 전공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교사가 되기 위해 미술을 전공한 것이 아니다. 단지 미술이 좋아서, 그리고 디자이너  조각가  화가가 되기 위해 공부한다. 화자 역시 그림 그리는 것이 좋다는 이유로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학교와 화실에서 그림을 배워왔고 고등학교도 미술고등학교를 나왔다. 그 당시 함께 다녔던 학교친구  화실친구들을 생각해 보면, 학교 선생님이 된다는 친구는 거의 없었다. 모두가 디자이너나 작가가 되는 것이 꿈이었다. 대학교 친구들도 마찬가지다. 13명의 서양화 전공자 중에서 선생님이 되고자 준비한 친구는 단 한 명뿐이었다. 그때의 꿈은 입학동기 90%가 작가가 되는 것이었다. 지금은 나를 포함한 동기들 중 미술학원 선생님이 되어있거나 중등미술선생님이 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친구는 절반이 넘는다. 나머지 친구들도 순수미술 보다는 사회와 타협하며 상업 미술을 한다. 영화세트장 제작을 하거나 무대디자인, 홈페이지 제작, 큐레이터 등의 직업을 가지며 말이다. 심지어 작가가 되고자 프랑스에서 유학 가 있는 한 친구도 이번년도에 한국에 오자마자 교육대학원부터 시험 볼 계획이라고 한다. 그 만큼 한국 미술계는 작가로 활동하기에는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이 순수 미술을 전공한 학생들의 오늘날의 현실이다.
이런 회의 속에서 화자가 선택한 것은 미술 교사이다. 의 수업을 듣기 전까지 만해도 교사가 되려는 동기는 부끄럽기 짝이 없었다. 상업미술은 죽어도 하기 싫었던 화자는 원하는 그림을 맘껏 그리고, 물감 값도 벌 수 있고, 방학 때면 한 달 동안 자유롭게 해외여행도 가고, 또 연금으로 노후까지 경제적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교사란 직업이 너무나도 매력적이게 느껴졌다. 이러한 생각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렇다! 가장 중요한 교육의 의미가 빠져있던 것이다. 학생을 중심으로 사고하고, 학생들에게 인생의 모범이 될 수 있는 선생님이 되기 위해서 노력하는 그리고 학문적으로도 끊임없는 연구 통해 실존하는 선생님이 되는 것을 잊고 있었다. 위의 문제를 깨달은 지금은 사회와 소통하고 아이들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수업은 무엇인지, 항상 학생입장에 서서 생각하고, 대화와 해결책을 찾아주며 동기부여를 주는‘깨어있는 선생님’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절실하다.
참고문헌
 최철병, 「탈피, 삶의 양식과 앎의 질서」,철학과 현실사, 2003
 김춘일, 「중등미술교육론」, 교육과학사, 2006
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미술교육 이론의 탐색」, 애경, 2003
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미술교육의 동향과 전망」, 학지사, 2003
 김정희 외 공저,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 2003
 심광현, 「문화연대 문화교육위원회 발족식 자료집 - 문화교육위원회 발족
취지 및 기본방향」
 김정, 「한국미술교육 定立을 위한 기초적 硏究」,교육과학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