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

 1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
 2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2
 3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3
 4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4
 5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5
 6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6
 7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7
 8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8
 9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9
 10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0
 11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1
 12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2
 13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3
 14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4
 15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5
 16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6
 17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7
 18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8
 19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19
 20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선거론] 미디어선거- 군소정당의 진입장벽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매스미디어와 선거
(1) 선거와 미디어
(2) 정치 커뮤니케이션
(3) 인터넷과 선거

3. 미디어 보도에서의 군소정당 차별
(1) 신문
① 경향신문
② 한겨례신문
(2) TV토론회

4. 선거법상 제도와 운용상의 문제(3월 9일 선거법개정이후)
(1) 신문, 방송을 통한 선거운동
(2) ① 대담. 토론회 중계방송의 의무화
②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정책토론회
(3) 합동연설회의 폐지
(4) 전자우편 발송
(5) 기타

5. 녹색사민당의 선거운동대안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이번 17대 총선은 1인 2투표제 및 민주노동당의 원내진입여부, 탄핵정국이라는 특수상황 속에서의 전개 등의 여러 가지로 화제를 몰고 왔다. 게다가 미디어에서 언급된 ‘박풍과 노풍’, 삼보일배 등이 신조어가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고 유권자의 투표에까지 영향을 준 것을 보면 우리가 ‘미디어정치’안에 있음을 더욱 실감하게 했다.
1997년 제 15대 대통령선거를 계기로 등장한 ‘미디어정치’는 후보자와 유권자가 직접적인 교류나 만남을 통해 의견을 교환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등장하였고, 미디어가 선거운동 및 정치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므로 유권자의 선택에 그만큼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TV, 텔레비전,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언론이 어떤 주제나 문제선택을 강조할수록 수용자에게 그 중요성의 인지도가 커진다는 언론의제설정이론(agenda-setting theory)이 더욱 막강해졌다고 하겠다.
선거법개정으로 이번 총선부터 운동장 합동연설회가 금지되고 국회의원 선거에 있어 지역방송이나 케이블TV 등을 통한 텔레비전 토론이 처음 도입되어서 유권자들은 후보자와 정당에 대한 자료를 언론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매스미디어의 활용을 통한 정치적 역량 다지기가 정권획득의 성공을 좌우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신문과 TV토론회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으며, 살펴보는 과정에서 개정 선거법상의 문제점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리고 여러 면에서 불리한 소수정당들이 미디어선거에서 어떻게 대처해나갔는지를 녹색사민당의 참여관찰을 통해 생각해보았다. 마지막으로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2. 매스미디어와 선거

(1) 선거와 미디어

민주주의에 있어서 대안과 결정은 하나의 큰 요소이다. 즉 대중이 사회가 가지고 있는 경쟁적인 대안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이를 위해서는 그 대안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니는 것이다. 이러한 취사선택은 민주주의의 큰 핵심 중 하나로서 선거라는 모양으로 대중은 그 국민적 권리의 행사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거에 있어서 매스미디어는 정보원으로서 더불어 개인과 개인을 이어주는 연결 고리이다. 바쁜 현대 도시인은 더 이상 거리 유세에 직접 가서 열변을 토하는 후보자를 볼 수 없으며 후보자 역시 그러한 선거유세가 대중에게 많은 호응을 얻어낼 수 있으리라 생각하지 않는다.
선거가 민주주의의 꽃이 되기 위해서는 독재 권력이나 부패한 권력의 집권을 합리화하는 속임수를 유식한 유권자(informed electorate)를 요구한다. 즉 선거에 관한 정보, 후보자의 자질과 이념, 정당의 정강정책 등에 대한
참고문헌
◆ [세미나] 2004 총선보도 평가와 개선방향
◆ 대통령선거와 미디어 (한국언론재단2003)
◆ 한국대통령선거와 커뮤니케이션 정상태 (커뮤티케이션북스 2002)
◆ 한국재단사이트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선거방송의 평가와 전망
◆ 「언론과 민주정치」 - 이효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한국 선거보도의 기호학」- 백선기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한국언론학회 세미나」2000, 2001
◆「미디어 선거의 이론과 실제」- 권혁남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
◆「미디어크러시의 바람직한 방향」- 권혁남 (뉴미디어저널, 2000)
◆「TV토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김정탁 (방송문화KBS, 1997)
◆「신문과 방송」(4월호)-총선보도기준위반사례들, 다양해진 언론사총선기재
◆「신문과 방송」(5월호)-정책인물검증실종된 총선보도,
◆「신문과 방송」(5월호)-새미디어선거법적용과 문제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