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

 1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1
 2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2
 3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3
 4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4
 5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5
 6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6
 7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7
 8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8
 9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조선 멸망][고구려 멸망][백제 멸망][신라 멸망][발해 멸망][고려 멸망][고구려][백제][신라][발해][고려]고조선의 멸망, 고구려의 멸망, 백제의 멸망, 신라의 멸망, 발해의 멸망, 고려의 멸망 심층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고조선의 멸망

Ⅲ. 고구려의 멸망

Ⅳ. 백제의 멸망

Ⅴ. 신라의 멸망

Ⅵ. 발해의 멸망

Ⅶ. 고려의 멸망
1. 신흥사대부의 진출
2. 공민왕의 개혁
3. 국제정세의 변화와 위화도 회군
4. 전제개혁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개요

세상의 모든 사물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자연도 사회도 사람들의 행동 양식이나 생각도 변한다. 세상에서 변하지 않는 것이라고는 ‘모든 것은 변한다’는 사실뿐이다. 우리가 몸담고 있는 현실도 변하지 않고 마냥 계속되는 완결체가 아니다. 인류 역사의 긴 과정에서 볼 때 현실은 변화 발전해 가는 과정의 일부다. 역사가 끊임없이 변화 발전해 왔고 앞으로도 변화 발전할 것이라면, 역사는 과연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할까? 역사가 우연의 반복으로 제멋대로 움직여 왔을까? 역사의 변화 발전에도 자연의 법칙과 꼭 같지는 않지만 어떤 법칙과 원리가 있다. 역사의 법칙과 법칙성은 사람들이 그것을 의식하건 의식하지 않건, 바라건 바라지 않건, 개인이나 집단의 뜻과는 독립하여 작용한다. 다만 역사가 변화 발전하는 과정에 때로는 반도의 시기가 있고, 발전이 더 오랫동안 정체된 듯 보이는 때도 있다. 그렇다고 해도 역사가 거꾸로 돌아가는 경우는 없다.

Ⅱ. 고조선의 멸망

진․한 교체기 동안 중국으로부터 고조선지방으로 많은 유이민이 들어왔는데, 이 때 연왕의 부하인 위만(衛滿)이 1000여 명을 이끌고 고조선으로 망명하여 왔다. 고조선의 준왕(準王)은 북쪽의 변경(邊境)을 수비하겠다는 그의 약속에 따라 그에게 그 지방을 봉하여 주었다. 위만은 북방 수비의 임무를 맡고 있는 동안 유이민 집단의 세력을 키워서 준왕을 몰아내고 고조선지방의 지배자가 되었으며, 준왕은 남하하여 <진국(辰國)>으로 가서 <한왕(韓王)>이라고 칭하였는데 이 시기는 대체로 BC 194년에서 BC 108년 사이이다. 그런데 위만이 조선으로 올 때 상투를 틀고 조선옷을 입었던 점으로 보아 조선인이었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다. 또 준왕을 몰아내고 새 왕조를 세웠을 때 그는 여전히 국호를 <조선>이라고 하였으며 《사기(史記)》에 나오는 위만조선의 관직명에도 비중국적인 요소가 보이므로 위만조선은 단군조선을 계승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로써 위만조선은 중국인의 식민지 정권이 아닌 고조선인의 세력을 기반으로 한 연맹왕국적인 정권이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점차 세력이 강대해진 고조선은 우거왕(右渠王) 때 진(辰) 등의 여러 나라가 한나라와 교역하는 것을 막고 중간에서 무역의 이익을 독점하려 함으로써 한나라와의 충돌을 자아내게 되었다. 이에 한나라는 몽골로부터 만주로 뻗어오는 흉노(匈奴)가 위만조선과 연결하는 경우 그 위협이 두려워 BC 128년에는 고조선에 예속되어 있던 예(濊)의 땅에 창해군(滄海郡)을 설치하였으나 예인(濊人)의 반항으로 2년 뒤에 철폐하였다. 이와 같이 고조선과 한나라의 대립관계는 조선 장수를 살해하고 달아난 섭하(涉何)를 조선군이 보복적 살해를 함으로써 그 절정에 이르렀다. 이 사건을 계기로, BC 109년 한나라의 무제(武帝)가 6만의 육군과 7천의 수군을 파견, 고조선의 수도 왕검성을 침공해 오자 1년간 저항하였으나 BC 108년 고조선 멸망 후 그 지역에 한사군이 설치되었다.
참고문헌
◇ 국사편찬위원회(1993), 한국사12, 경기도, 탐구당 문화사
◇ 국사편찬위원회(1999), 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 변태섭(2000), 한국사통론, 삼영사
◇ 이기백(1999), 한국사신론, 일조각
◇ 이이화(1998), 이이화의 한국사 이야기3, 한길사
◇ 한국사연구회, 한국사 연구입문
◇ 한국역사 연구회(1992), 한국의 역사, 역사비평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