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

 1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1
 2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2
 3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3
 4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4
 5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5
 6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6
 7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7
 8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8
 9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9
 10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10
 11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11
 12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12
 13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영상문화] 대중문화와 헐리우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대중문화 (Popular Culture)의 특성


Ⅱ. 꿈의 공장 ‘할리우드’
1)제작과정의 분업,표준화
2)수직적 통합과 수평적 통합
3)스튜디오 시스템
4)스타시스템
5)장르영화
6)할리우드 영화의 이데올로기


Ⅲ. 할리우드속 대중문화의 다양한 양태
1) 마릴린 먼로 : 할리우드 스타 섹스 심볼
2) 로큰롤의 우상 엘비스 프레슬리 : 미국 대중문화의 전도사
3) 헐리우드속 블록버스터(Blockbuster)


Ⅲ. 미국 대중 문화의 영향(할리우드 영상문화)
본문내용
Ⅰ. 대중문화 (Popular Culture)의 특성

대중문화는 민속문화(folk culture)와 고급문화(high culture)와 구별되는 데에서 그 특징이 나타난다. 대중문화는 민속문화와는 달리 “대량 생산 mass-produced” 된다는 점에서, 그리고 고급문화와는 달리 “대량 소비 mass-consumed”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대중문화(popular culture)는 “mass culture”를 뜻하며 우리말 번역도 서로 같지만 각자에 내포된 뉘앙스는 약간 다르다고 하겠다. 대체로 “mass culture”는 분화되지 않고 저급한 일반 하층집단의 문화라는 정치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부정적 뉘앙스를 풍긴다. 이에 반해 “popular culture"는 열등한 가치를 지닌 문화라는 가치의 상하관계를 인정하지 않고 쓰여진다.
대중문화는 산업사회의 성장으로 고급문화와 차별되는 분화의 과정을 겪어왔다. 산업사회가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상품을 생산해내듯이 문화와 여가 상품을 대량으로 산출해내기 시작하자 이제까지 문화의 중심 역할을 해오던 문화의 생산자인 예술가와 문화의 주된 향유자인 상류층들은 모든 세속적인 문화행위와 문화상품을 거부하고 고급문화가 지닌 가치의 자율성을 강조함으로써 대중문화와 점차 유리되기 시작했다. 이런 분화과정에서 대중문화는 오랫동안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가장 보수적 개념을 지닌 문화비평가인 매슈 아놀드(Matthew Arnold)의 비판에 따르면, 문화란 “이제까지 사고해오고 알려졌던 최고의 것”을 지칭한다. 그가 지칭하는 문화적 전통은 소수 엘리트층에 의해 생산되어 오던 고급문화만을 가리키고 있다는 것이 명백한데, 산업사회에서 확대되고 있는 일반 대중들의 세속화된 문화의 침투에 반대하여 고급문화의 세련된 가치가 미래 사회를 구원할 이상적 가치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대중문화의 확산에 직면하여 고급문화를 옹호하는 좌파적 문화비평가도 있다. 대표적 예가 프랑크프루트 학파로서, 대중문화가 산업 문화라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자본주의 사회의 천박성--경박스런 개인주의, 표피성, 도구성을 그대로 공유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생활의 모든 국면에서 대량생산의 방식이 주어지면, 여가시간은 오락상품으로 쓰여지고, 이것은 대중의 판단력을 마비시키는 효과를 갖게되어, 결국 대중문화가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적 반성의 토대를 파괴한다는 것이다. 자본주의의 소비 상품처럼 대중문화의 상품은 대중을 파편화된 개별자로 만들어 사회로부터 소외시키고 대중 자신의 소외된 상태를 인식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반면에 순수한 고급문화의 미학적 차원은 비판적 사고의 마지막 도피처를 마련해 준다고 주장한다.
이와는 반대로 대중문화를 옹호하는 문화비평가들도 또한 있다. 그들은 대중문화의 대중성을 대량화나 상품화와 동일시하기를 거부한다. 대중문화와 고급문화와의 과장된 차이를 부정하면서, 대중들의 기호가 대중문화를 형성한 것일 뿐이며 모든 문화적 기호는 동등한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참고문헌
미디어와 정보사회/오현두,강현두,최정호/나남출판.2003
할리우드/다니엘 로요/한길사.2000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