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

 1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
 2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2
 3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3
 4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4
 5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5
 6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6
 7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7
 8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8
 9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9
 10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0
 11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1
 12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2
 13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3
 14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4
 15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5
 16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6
 17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7
 18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8
 19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청소년 문화 그들의 언어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연구 목적
2. 청소년 언어문화의 등장배경

본론
1. 청소년의 특징
1) 청소년의 개념 및 특징
2) 청소년의 문화적 특징

2. 청소년 언어문화의 실태
1) 신조어 (컴퓨터 언어), 2) 언어 폭력, 3) 외래어 혼용

3. 청소년 언어문화의 장 단점
1) 장점
(1) 새로운 언어 창출, 발전가능성
(2) 세대공감대 형성
2) 단점
(1) 의사소통의 단절
(2) 언어 파괴 현상
(3) 언어사용으로 인해 미치는 심리적인 요인

4. 기독교적 대처방안
(1) 성경에서 찾는 언어의 중요성
(2) 언어사용에 관한 경고와 축복
(3)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언어

결론
1. 청소년 언어문화가 지향해야할 방향과 지도방안
2. 언어사용에 관한 교회, 사역자의 역할
3. 언어개선 프로그램
본문내용
-글자 해체 사례
통신 언어에서는 아예 우리말의 글자 자체를 해체한 기묘한 예도 발견된다.
(ㄱ) ㄱㅅ(감사)/ㄱㅅㄱㅅ(감사 감사), ㅊㅋ(추카←축하)/ㅊㅋㅊㅋ(추카 추카←축하 축하), ㄱㅎ(결혼), ㅂ2ㅂ2(←바이바이)/ㅃ2ㅃ2(←빠이빠이), ㅎ2
(ㄴ) ㅎㅎㅎ(하하하/히히히), ㅋㅋㅋ(크크크/키키키), ㅊㅊㅊ(츠츠츠), ㅋㄷㅋㄷ(키득키득)
이러한 예들은 대부분 우리말의 글자 가운데 자모(특히, 자음)만을 사용하고 있다. (ㄱ)의 ‘ㄱㅅ’와 ‘ㅊㅋ’는 각각 ‘감사’와 ‘축하’의 실제 소리인 ‘추카’에서 각 음절의 첫 글자인 자음만을 따고 ‘ㄱㅅㄱㅅ’와 ‘ㅊㅋㅊㅋ’도 각각 ‘감사’와 ‘추카’의 반복형에서 각 음절의 첫 글자인 자음만을 딴 예이다. 이들은 인터넷상에 아주 널리 쓰이고 있어 ‘ㄱㅅ해요’와 ‘ㅊㅋ해요’처럼 쓰이기도 한다. ‘ㄱㅎ’도 마찬가지이다. (ㄴ)의 예들은 모두 입으로 내는 소리나 모양을 나타내는 말로 각각 ‘하하하/히히히’, ‘크크크/키키키’, ‘츠츠츠’, ‘키득키득’ 등에서 각 음절의 첫 자음만을 딴 것들이다. 최근에는 ‘ㄲㅑㅇㅏㅇㅏ’처럼 자음과 모음을 따로 나누어 적는 경우도 있다.

- 줄여 쓰는 사례
통신 언어의 가장 큰 특징으로 들 수 있는 것은 기성 세대가 사용하지 않는, 신조어가 매우 많다는 점이다. 그런데 이러한 신조어는 대개 다음과 같은 준말(약어나 축약어)이다.
(예) 설(서울), 셤(시험), 겜(게임), 드뎌(드디어), 멜(메일), 걍(그냥), 글구(그리고), 샘(선생님), 첨(처음), 안냐세여(안녕하세요), 방가(반가워요), 알바(아르바이트), 넘(너무), 어솨요(어서 오세요), 강퇴(강제 퇴장), 야자(야간 자율 학습), 공구(공동 구매), 강추(강력 추천), 여친(여자 친구), 남친(남자 친구), 정모(정기 모임), 즐겜(즐거운 게임), 즐감(즐거운 감상), 즐통(즐거운 통신), 야동(야한 동영상), 은따(은근한 따돌림), 영따(영원한 따돌림), 냉무(내용 없음), 고딩(고등학생), 중딩(중학생), 대딩(대학생), 노딩(늙은 사람), 당근(당연하죠), 지못미(지켜주지 못해 미안해), 듣보잡(듣도 보지도 못한놈), 넘사벽(사차원의벽), 킹왕짱(King,왕,짱의 합성어), 정줄놓(정신줄을 놓다), 흠좀무(흠 그게 사실이라면 좀 무섭군), 솔까말(솔직히 까놓고 말해서), 엄친아(엄마 친구 아들)
컴퓨터 통신이나 인터넷은 초기에 사용 시간만큼 이용료를 지불했고 사용 특성상 실시간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글을 올릴 때에 되도록 빨리 써야 한다. 통신 언어에서 준말이 널리 쓰이는 것은 이러한 데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을 듯하다. 통신 언어의 문제점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영어를 사용하는 국가들에서도 똑같이 지적되고 있다.(How r u? Wot u up2? 등) 그리하여 최근 옥스퍼드 대학교는 통신 언어에서 사용되는 몇몇 단어를 추가하여 개정된 사전을 발간한 바 있는데(B4←Before, HAND←Have A Nice Day, TX←Thanks 등) 이때 추가된 단어 또한 대부분 준말이다.

- 소리나는 대로 적기의 사례
통신 언어의 또 다른 특징은 우리말의 어법이나 맞춤법을 완전히 무시한다는 점이다. 띄어쓰기를 무시하는 것은 예사이고[용례는 생략] 우리말의 어법이나 맞춤법과 상관없이 소리 나는 대로 쓴 예들이 여기저기 눈에 띈다. 이것은 컴퓨터 통신이나 인터넷이 보급되기 시작했을 때에는 사용 시간만큼 이용료를 지불하였고,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특성 때문에 글을 올릴 때에는 되도록 빨리 글을 써야 한다는 점과 관련이 있다. 복잡한 받침을 피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어야 자판을 칠 때에 훨씬 빠르고 편하다. 그러다 보니 ‘한글 맞춤법’이 정한 원칙과 달리 ‘이어 적기’ 방식으로 적는 사례들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하고 싶은 말
청소년 언어문화 뿐만 아니라 청소년에 대한 개념정리, 문화에 대한 개념 정리 등이 들어있고 기독교적 관점으로 후반에 마무리 하였으나 기독교 관점을 빼도 본문내용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