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

 1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1
 2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2
 3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3
 4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4
 5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5
 6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6
 7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7
 8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8
 9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9
 10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10
 11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11
 12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12
 13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13
 14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학] 좌정내력을 통해 본 제주 神의 의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 례

1. 글을 시작하며
2. 제주 神들의 출현 양식
3. 제주 神들의 좌정 내력
1) 일반 본풀이 좌정 내력
2) 당신 본풀이 좌정내력
3) 조상신 본풀이 좌정내력
4. 제주 神의 좌정 의미 분석
5. 글을 맺으며

본문내용
2. 제주 神의 출현양식
앞서 서론에서도 지적했지만 본풀이를 통해 본 제주의 신은 크게 세가지로 분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일반신, 두 번째 당신, 세 번째가 조상신으로 기능 또한 각각 다르다.
첫 번째 일반신은 천지, 일월, 산해, 생사, 질병, 농경, 어로, 빈부 등 자연과 인간생활의 일반적인 사상을 관장하고 지배하는 신으로서 제주도 전체에 걸쳐 일반적으로 공통된 신을 말한다.
두 번째,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인 당신(堂神)은 마을을 수호하는 본향당신 외에 기능을 달리하는 당신이 한 마을안의 서로 다른 당에 좌정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마을마다 존재하는 당의 수가 한결같지 않으며 않으며 마을 신앙민이 모시는 당신의 수도 마을마다 다르다. 그러나 당의 수와 당신의 수가 비례하는 것 또한 아니다. 당은 하나일지라도 그곳에 모셔진 신이 여럿이거나 혹은 다른 기능을 하는 신이 동시에 하나의 당에 좌정하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세 번째, 조상신은 한 집안 혹은 일족의 무사안녕과 평화와 번성을 위해 집안에서 받들어 모시는 수호신으로 제주도에서는 일가수호신을 초상, 일월조상으로 부르는데 혈연조상인 경우도 더러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더 많다.
본풀이에 따르면 조상신의 내력은 각각 다르다. 첩으로 들어와 젊은 나이에 죽은 여인이 조상이 되는가 하면, 뱀이나 심지어는 바다에서 건져 올린 솥까지 조상으로 받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그 어떤 경우이든 일가 수호신을 모신다는 것은 이 조상신을 잘 위함으로써 가족의 무사안녕과 풍요하기를 바라는 믿음에서 비롯된다.
앞서 제시한 일반신, 당신, 조상신들의 형성과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본래부터 특수한 능력을 가진 초자연적 존재이고, 다른 하나는 특수한 인간이 사망, 기타의 계기에 의해서 특수한 능력을 지니게 되어 신이 되었다고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본래부터 특수한 능력을 가진 초자연적 존재의 사례에는 하늘을 차지한 옥황상제과 땅을 차지한 지부사천대왕(地府四千大王), 그리고 산을 차지한 산신대왕(山神大王), 바다를 차지한 용왕(龍王), 저승을 차지한 시왕 등 일반신이 많다.
또한 특수한 인간이 사망이나 기타의 계기로 인해서 특수한 능력을 지니게 되는 신으로는 옥황상제의 막내딸, 동해 용왕의 막내딸 등 부락신인 당신(堂神)에 많으며 그것을 세분화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역락, 2001년

참고문헌

1.. 고대경, 「신들의 고향」, 중명, 1997년
2. 김화경,「한국신화의 원류」, 지식산업사, 2005년
3. 김헌선,현용준, 강정식「제주도 조상신 본풀이 연구」, 보고사, 2006년
4. 장주근,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역락, 2001년
5. 조동일, 「하나이면서 여럿인 동아시아 문학」, 1999년
6. 조성윤, 이상철, 하순애, 「제주지역 민간신앙의 구조와 변용」, 백산서당, 2003년
7. 진성기, 「제주도 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991년
8. 진성기, 「제주무속학사전」, 제주민속연구소, 디딤돌, 2004년
9. 현용준, 「제주도 무속연구」, 집문당, 1986년
10. 현용준, 「제주도 신화의 수수께끼」, 집문당, 2005년
11. 현용준, 「무속신화와 문헌신화」, 집문당, 199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