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

 1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1
 2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2
 3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3
 4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4
 5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5
 6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6
 7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7
 8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8
 9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9
 10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학] 문전본풀이 연구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들어가며
Ⅱ. 문전본풀이 내용
1. 문전본풀이 채록 현황
2. 문전본풀이 요약
3. 서사단락구조와 의의
4. 시체화생신화소의 측면
Ⅲ. 칠성풀이와의 비교
Ⅳ. 글을 맺으며
본문내용
2. 문전본풀이 요약

1) 남선고을 남선비와 여산고을 여산부인은 부부가 되어 가난하게 살면서 아들 일곱 형제 를 낳았다. 아들들을 먹여 살리기가 어려우므로 부인이 양태를 결어 판 돈 백냥을 주며 남선비더러 무곡장사를 하도록 하였다.

2) 남선비는 무곡장사를 하러 배를 타고 오동나라로 떠난다.

3) 남선비는 오동나라 노일제데귀일딸의 꿰임에 넘어가 내기 장기 바둑을 두어 돈 백 냥 과 배까지 팔아먹게 되었다. 살 방법이 막막해 노일제데귀일딸의 딸을 후처로 삼고 형 편없는 초막에서 겨죽을 먹으며 살다보니 눈까지 어두워져 버렸다.

4) 여산부인은 삼년을 기다려도 남편이 돌아오지 않으므로 아들들에게 짚신 일곱 켤레를 삼아 달라고 하여 그 짚신이 다 닳도록 바닷가를 헤매어도 남편을 찾을 수가 없었다.

5) 여산부인은 아들들에게 나무를 베어다 배를 만들어 달라고 하여 그 배를 타고 남편을 찾 으러 떠났다.

6) 오동나라에 도착하여 기장 밭에서 새를 쫓는 아이의 제보를 듣고 형편 없는 남선비의 초 막을 찾아 갔지만 남선비는 여산부인을 알아보지 못한다.

7) 남선비를 찾아간 여산부인은 겨우 부엌을 빌려 쌀밥을 하여 남선비와 같이 식사를 한다.

8) 음식을 먹던 남선비는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게 되고 이에 여산부인이 신분을 밝히자 두 사람은 손을 부여잡고 감격의 기쁨을 나눈다.

9) 마침 후처인 노일제데귀일딸의 딸이 치마에 겨 한 되를 싸고 돌아와 두 사람을 발견하고 흥분하여 야단을 치다가 본처임을 알자 “아이고, 형님 오셨어요.”하고 반가워하는 척하 며 함께 목욕을 하러 가자고 유혹한다. 유인한 여산부인에게 주천강 연못에서 여산부인 의 등을 밀어 준다며 물을 몇 줌 쥐어 놓아 미는 척하다 물에 밀어 넣어 죽여 버렸다.

10) 노일제데귀일의 딸은 여산부인의 옷으로 갈아 입고 여산부인으로 변장하여 남선비에게 노일제데귀일의 딸이 죽었다고 속이고 남선비의 고향으로 가자고 권한다. 이에 남선 비는 “잘했다”며 어서 집으로 가자고 한다.

11) 배가 수평선을 넘어 들어오는 것을 보고 다른 아들들은 하나도 의심하지 않는 데 , 막 내 아들인 녹디성인은 어머니가 아니라고 의심했다.

12) 몇 차례의 시험으로 친어머니가 아님을 아들들은 알게 된다.
참고문헌
김명자외,「한국의 가정신앙 상,하」, 민속원, 2005.
김태곤,「한국민간신앙의 연구」, 집문당, 1983.
김화경,「한국신화의 원류」,지식산업사,2005.
서대석,「한국신화의 연구」,집문당,2001.
진성기,「제주도무가본풀이사전」, 민속원, 1991.
진성기,「남국의 세시풍속」,제주민속문화연구소,1969.
현용준,「제주도무속연구」,집문당,1986.
현용준,「무속신화와 문헌신화」,집문당,1992.
현용준,「제주도신화의 수수께끼」,집문당,2005.
제주도교육청,「제주의 전통문화」, 1996.
남제주문화원,「남제주의 문화유산」, 2006.
이수자,한국 무속신화에 나타난 모신상과 신화적 의미,이화어문논집,1998.
장유정,문전본풀이를 통해 본 제주도 가족제도의 한 특징.한국구비문학회,2002.
정주혜,칠성풀이와 문전본풀이의 대비연구, 서강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과 석사학위논문.1997.
천득염외,가택신앙을 통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의미 해석,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200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