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

 1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
 2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2
 3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3
 4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4
 5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5
 6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6
 7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7
 8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8
 9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9
 10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0
 11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1
 12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2
 13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3
 14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4
 15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5
 16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6
 17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7
 18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8
 19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19
 20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서양미술사]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 1

다다이즘에 대한 해석 2

1. 다다이즘의 배경

2. 다다의 기본적 원칙은 부정이다.

3. 예술은 죽었다.

4. 無에의 정신

5. 다다란 항의의 외침이었다.

6. 다다는 자유의 표현

7. 현대 미술에의 영향

8. 다다의 종말

다다이즘의 사람들

초현실주의

1. 초현실주의 선언(I) : 1924

2. 초현실주의 선언(II) :1925~1929

3. 후기 : 1930~1938


본문내용
다다이즘이 공통적으로 추구했던 '우연의 원리'는 예술의 합리성과 논리성은 삶 자체가 가지고 있는 우연성을 표현해 내지 못하며, 따라서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서는 예술이 '우연의원리'에 따라야 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우연의 원리'에 의한 행위 예술은 기존 체제를 벗어나는 수단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예술이란 품위가 있어야 한다거나 실제적인 의미가 있어야 한다는 규정을 벗어난 것이기도 했다.
다다운동의 시초인 쮜리히 다다는 유럽전역에서 부터 전쟁을 피해 중립국 스위스로 온 작가들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시인과 음악가, 화가들이 모여 시 낭송 모임, 연주회, 전람회, 평론발표 등을 통해 서구 문화 전통을 신랄히 비판했다. 전쟁으로 인해 상처를 입은 이들은 매우 염세적이면서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쮜리히 다다의 세 가지 특징적 요소는 소음과 동시성, 그리고 우연성이었다.
음악에서의 소음, 문학에서의 동시성, 그리고 미술에서의 우연성은 각각 그분야의 성질에 맞게 각색된 새로운 시도였다.
전쟁이 종반에 들어서면서 쮜리히 다다는 종말을 고하게 되고 마르셀 뒤샹과 피카비아가 뉴욕으로 이주하면서 뉴욕 다다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된다.
뉴욕 다다는 쮜리히 다다와 거의 같은 시기에 출연한 운동이지만 뒤샹의 활약으로 독특한 특성을 갖게 된다. 'ready made'나 반 미학사상이 그의 중요 특성이 되고 이런 활동은 뉴욕다다에 이어 나타난 미국 현대미술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독일 다다는 베를린을 중심으로 정치적 견해를 표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좌익의성향을 노골적으로 표방하는 정치선진의 활동과 결부하게 된다. 미술의정치도구화가 여기서 발견된다. 독일 다다의 기법적특징으로 콜라주 사진기법이 있는데, 이것은 명확한사실성을 가진 요소들로 인하여 메시지를 선명하게 전달하려는 데 의도가있었다. 이것은 입체파의 파피에 꼴레에서 영향받은 것으로 photo -montage라고 불리우게 된다.
다다운동의 마지막 정착지는 파리였는데, 파리 다다의 특징은 문학적인 데가 있다. 잡지를 만드는 것에서부터 시작된 이들의 운동은 선언문, 정기 간행물,사건등으로 수입된 다다양식이 아닌 프랑스 문학을 토대로 일구어 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문학성이 강했던 이들의 운동은 오래가지 못하고 결국 1924년경 '초현실주의'라는 이름 아래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