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

 1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1
 2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2
 3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3
 4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4
 5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5
 6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6
 7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7
 8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8
 9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9
 10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10
 11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11
 12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12
 13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13
 14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14
 15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15
 16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교육학] 제12장 한국어 표현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까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말하기 교육, 왜 중요한가

1.1 말하기 교육의 필요성

1.2 말하기의 특성

2. 말하기 교육,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2.1 발음과 억양

2.2 정확성과 유창성

2.3 의사소통 능력

2.4 상호작용

3.말하기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3.1말하기 지도 원리

3.2 오류수정

3.2.2 오류의 처리 방법

3.2.3 오류의 수정 방법

3.3교사의 역할

4.말하기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4.1 교실 말하기 활동의 유형

4.1.1 모방형

4.1.2 집중형

4.1.3 반응형

4.1.4 정보 전달을 위한 대화형

4.1.5 사회적 관계 유지를 위한 대화형

4.1.6 독백형

4.2 말하기 활동의 종류 (자세한 예시는 교재 376~381쪽 참조)

4.2.1 모방과 암기

4.2.2시각 자료 이용하기

4.2.3 역할극 또는 드라마

4.2.4 문제 해경 활동

4.2.5 프로젝트

4.2.6 인터뷰

4.2.7 의사결정

4.2.8 좌담회

4.2.9 토론

4.2.10 게임

4.2.11 설문조사

4.2.12 발표

5. 쓰기 교육, 왜 중요한가

5.1 쓰기 교육의 필요성

5.1.1 시대적 변화: 과학 문명의 발달로 세계는 급속히 가까워짐.

5.1.2 문자 언어와 구두 언어의 차이: 문자 언어는 형식에 더 많이 구애를 받으며 복잡한

5.1.3 모국어와 외국어의 차이

5.1.4 학습에 주는 영향

5.2 쓰기의 특성

6. 쓰기 교육,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6.1 쓰기의 구성 요소

6.2 쓰기 능력

7. 쓰기를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7.1 쓰기 지도의 접근법

7.1.1 통제 자유 작문 접근법(The controlled-to-Free Approach)

7.1.2 자유 작문 접근법(The Free-Writing Approach)

7.1.3 단락 문형 접근법(The Paragraph-Pattern Approach)

7.1.4 문법 구문 구성 접근법(The Grammar-Syntax-Organization Approach)

7.1.5 의사소통 접근법(The communicative Approach)

7.1.6 과정 중심 접근법(The Process Approach)

7.2 쓰기 기술 지도 원리 (Brown, 1994)

7.3 오류 처리

7.4 쓰기 평가 기준

7.5 교사의 역할

7.5.1 독자로서의 역할

7.5.2 조력자로서의 역할

7.5.3 평가자로서의 역할

8. 쓰기 활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8.1 쓰기 활동의 유형

8.2 쓰기 활동의 종류

8.2.1 베껴 쓰기

8.2.2 받아쓰기

8.2.3 통제된 쓰기

8.2.4 유도된 쓰기

8.2.5 자유 쓰기
본문내용
4.1.2 집중형
모방형보다 한 단계 높은 것으로 특정 음운적 요소나 문법적 요소를 연습하기 위해 만들어진 말하기 활동이다.
4.1.3 반응형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말하기의 대부분이 이에 속하는 것으로 교사의 질문에 대한 짧은 대답이나 학습자의 질문이나 의견 같은 것들이다. 이와 같은 발화는 유의미하고 실제적인 것이 될 수 있다.
4.1.4 정보 전달을 위한 대화형
특정한 정보를 교환하거나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화이며 반응형의 확장된 형태이다. 그러나 의미 협상적 특성이 더욱 강하다.
4.1.5 사회적 관계 유지를 위한 대화형
정보나 사실의 전달보다 사회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사람들 간의 대화이다.
4.1.6 독백형
학습자가 중고급 단계에 이르면 즉흥적으로 또는 미리 준비해서 보다 형식적이고 수준 높은 표현들을 사용하는 독백형의 말하기를 하게 된다.

4.2 말하기 활동의 종류 (자세한 예시는 교재 376~381쪽 참조)
4.2.1 모방과 암기
들은 것을 그대로 반복하거나 비슷하게 모방하는 방법으로 학습의 초기 단계에서 유용하다.
초기 단계에서 필요한 이해와 발음 정확성, 집중, 문법 학습 등 이점이 많다.
⟶기계적 모방 반복을 벗어나 의사소통 기능을 고려한 방법들
▪질문과 대답하기
교사가 문장을 말하면 단순히 이를 부정문이나 의문문으로 바꾸는 등 질답을 통해 연습한다.
▪상황 제시
학습자가 자신의 선택에 따라 자유로이 반응 할 수 있으므로 상황을 제공하여 목표 문형을 연습하게 한다.

4.2.2시각 자료 이용하기
그림이나 도표, 사진, 그래프 등을 이용하여 말하기 활동을 하는 방법으로 학습자는 자신이 학습한 것을 실제로 사용하고 성취감을 느낀다.
※그림을 이용하는 방법
-자신의 그림 설명하고 두 그림의 공통점 또는 차이점 찾기
-그림 보고 묘사하기
-그림 설명 듣고 그림으로 재현하기
-그림 설명 듣고 순서대로 배열하기
4.2.3 역할극 또는 드라마
역할극은 역할 맡기와 역할 만들기로 나눠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