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

 1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1
 2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2
 3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3
 4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4
 5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5
 6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6
 7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7
 8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8
 9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9
 10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교육학] 제 13장 한국어 이해교육(듣기,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언어의 이해 활동이란 무엇인가

1.1 이해 교육과 교수법의 변천

1.2 이해 과정의 모형

2. 이해 교육(듣기, 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

듣 기
읽 기
2.1 듣기 교육

2.1.1 듣기 교육의 방법

2.1.2 수준별 듣기

2.1.4 듣기의 평가

2.2 읽기 교육

2.2.1 읽기 교육의 방법

2.2.2 수준별 읽기

가. 초급 단계에서의 읽기

나. 중급, 고급단계에서의 읽기

[보충 ․ 심화: 읽기 교재의 선정]

2.2.4 읽기의 평가

3. 화제별 실라버스 작성시 듣기·읽기는 어떻게 응용되는가
본문내용
위의 언어 이해 모형을 읽기에 적용시키면 다음과 같다. 초창기의 읽기 연구는 글자, 단어와 같은 언어의 작은 단위에서 문장이나 단락과 같은 큰 단위의 순서로 해독을 한 뒤, 전체 텍스트의 의미를 파악하는 상향식 모형(bottom-up model)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상향식 모형에는 어휘나 문법 등을 알아도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향식 모형의 단점을 보완한 모형이, 독자가 가진 개념을 조작하고 새로운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으로 보는 하향식 모형(top-down model)이다. 하향식 모형에서는 독자가 읽기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배경 지식에 기대어서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한다고 본다.
그러나 읽기는 위의 두 가지 관점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되는 사고 과정이 아니며, 해독과 이해의 모든 과정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을 절충시킨 모형이 상호작용 모형(interactive model)이다. 읽기는 글과 독자가 만나는 행위로, 읽기의 정신적 과정에는 자극체인 글의 영향과 해석자인 독자의 영향이 함께 작용한다.
이와 같이 읽기는 글에 제시되어 있는 정보와 독자 자신의 배경 지식을 결합하여 글 전체의 의미를 구성하는 의미 구성 과정이다.

2. 이해 교육(듣기, 읽기)을 어떻게 할 것인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학습자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언어 기능을 익혀야 한다. 이 네 영역은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갖고 있으며, 듣기와 읽기는 이해 능력으로, 말하기와 쓰기는 표현능력으로 나타난다.

듣 기
- 듣기는 지금까지 다른 언어 기능들에 비해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 듣기에서 중요한 것은 소리로 입력된 자료를 다 들었느냐 못 들었느냐가 아니라, 의사소통 상황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얼마나 잘 구별해 들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첫째, 듣기는 시간적 흐름 속에서 진행되는 의사소통 활동이므로, 학습자는 의사소통의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한 전략과 기술이 필요하다.
- 듣기의 매개체인 음성은 표현되자마자 사라지기 때문에 음성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에서는 표현과 이해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