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섭식장애

 1  [간호학] 섭식장애-1
 2  [간호학] 섭식장애-2
 3  [간호학] 섭식장애-3
 4  [간호학] 섭식장애-4
 5  [간호학] 섭식장애-5
 6  [간호학] 섭식장애-6
 7  [간호학] 섭식장애-7
 8  [간호학] 섭식장애-8
 9  [간호학] 섭식장애-9
 10  [간호학] 섭식장애-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학] 섭식장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문제제기

Ⅱ.본론
1.섭식장애의 정의 및 이론
(1)섭식장애의 정의
(2)섭식장애에 대한 이론

2.섭식장애의 원인
(1)유전적 원인
(2)아동기 외상경험
(3)애착 및 가족관계
(4)사회적 원인
(5)성격적 원인

3.DSM-Ⅳ 섭식장애 분류체계
(1)현재DSM-Ⅳ 섭식장애 분류체계
(2)DSM-Ⅳ에 의한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진단기준
(3)DSM-Ⅳ에 의한 신경성 폭식증의 진단기준

4.섭식장애의 영향
(1)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신체적, 정신적 영향
(2)신경성 폭식증의 신체적, 정신적 영향

5.섭식장애의 치료
(1)섭식장애 치료의 중요성
(2)섭식장애 치료의 실태
(3)섭식장애 치료의 유형
(4)섭식장애 치료의 평가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3)애착 및 가족관계
잘 드러나지 않는 가족 간의 문제를 가지고 있거나, 부모 간에 갈등이 있을 때, 아이는 그 사이에서 혼란스러움을 느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상식사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지나친 애착과 과잉보호로 인하여 가족 사이의 서로 독립적인 생각이나 감정, 활동 및 대화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심한 경우 모체로부터 주체감을 느끼지 못해 결국 음식을 통해 자신의 독립된 주체라는 것을 표현하게 된다.

(4)사회적 원인
현대사회가 서구화됨에 따라 마른 몸매를 미의 기준으로 삼는 사회문화적인 현상이 대중매체에 의해 더욱 부추겨지고 있다. 이런 분위기에 따라 젊은 여성들이 극단적인 섭식억제, 폭식 또는 약물까지 복용하면서 체중조절을 한다.

(5)성격적 원인
섭식행동에 정서적, 인지적으로 과도하게 몰두되어 있는 것은 자기 조절의 인지적인 평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를 통해 섭식문제와 자기 조절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또한, 위험을 감수하는 행동을 하거나 생각없이 일을 시작하는 특성인 충동성과 주변의 다른 사람들이 평가하는 것보다도 자기 자신을 더욱 나쁘게 평가하기 때문에 자신의 평범한 체중과 체형에 대해 매우 불만족스러워하는 자기비하감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다이어트 실패 시에 평소에 가지고 있던 부정적 자기 평가를 더욱 확신하고 다이어트만이 자기 비하감을 해결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집착하게 된다. 그리고 완벽주의는 섭식장애를 대표하는 성격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완벽주의는 자신이 정한 원칙을 가능한 완벽하게 지키려하고 원칙을 못 지키면 불안하고 두렵고 후회하고 원칙을 못 지켰다는 생각이 쉽게 지워지지 않아 괴롭다.

3.DSM-Ⅳ 섭식장애 분류체계
(1)현재DSM-Ⅳ 섭식장애 분류체계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편람(Diagnostic and Sratistical Manual Disorders 4th : DSM-Ⅳ)는 미국에서 마련된 것이지만 현재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기준이다.
DSM-Ⅳ는 섭식장애를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잠정적 진단 항목인 대식증을 포함하는 달리 분류 되지 않는 섭식장애의 3가지 하위 항목으로 정의하고 있다.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4가지 하위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현저한 체중 감소, 체중 증가에 대한 두려움, 왜곡된 신체이미지와 무 월경(여성의 경우)이 그것이다.
신경성 폭식증은 폭식과 그에 따른 보상행동이 일주일에 두 번 세 달간 평균적으로 나타나야 하며 자신의 체형과 체중에 집착해야 한다. 이런 증상들은 반드시 신경성 식욕부진증 후에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마지막으로 달리 분류되지 않는 섭식장애 유형에는 임상적으로는 섭식장애가 유의미 하지만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나 신경성 폭식증에는 포함되지 않는 개인들이 포함된다.

(2)DSM-Ⅳ에 의한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진단기준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진단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기준은 날씬해지고 싶은 충동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들은 살이 찌는 것을 병적으로 두려워하며 살이 찌는데 공포를 느끼며, 자기체중과 체형이 어떠하냐에 따라 자존감이 올라가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한다.
1. 연령과 키에 비하여 최소한의 정상 수준 이상으로 체중을 유지하기를 거부한다.
2. 체중 미달임에도 불구하고 체중 증가와 살이 찌는 것에 대한 심한 공포가 있다.
3.체중과 체형이 체험되는 방식이 왜곡되고, 체중과 체형이 자기 평가에 지나친 영향을 미치며, 현재의 낮은 체중의 심각성을 부정한다.
4.이미 월경이 시작된 여성이 적어도 3회 동안 연속적으로 월경 주기가 없는 무월경증을 보인다(월경주기가 에스트로겐과 같은 호르몬 투여 후에만 나타날 경우도 무월경으로 간주한다).



참고문헌
M.Siegel, J.Brisman & M.Weinshel 공저. 식사장애 거식증과 폭식증 극복하기
공성숙(1997). 폭식행동 집단의 식이행위와 심리적 변인에 대한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교헌(1999). 청소년기 소녀들의 자긍심과 날씬함에 대한 집착 및 다이어트가 폭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건강, 4, 155-165

김노을(2005). 여고생의 체중조절 특성과 비만도가 섭식장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미리혜(2008). 폭식행동의 치료. 한국심리학회지:건강
김수진(2008).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신체불만족이 섭식장애증상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 학교 석사 학위 논문
김윤희 외. 제14판 정신간호총론上
김정욱(2000). 섭식장애. 학지사
김준기 외(2000). 다이어트 VS 다이어트 장애. 현문사
김형자(2008). 여대생의 다이어트 욕구에 따른 섭식장애가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배재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안보영, 송현주(2007). 섭식장애에 대한 최근 연구 고찰 ; 발병원인과 성격특성을 중심으로. journal of Psychotherapy
케이셔퍼드(2003). . 이크(ICK)출판사
서울 백병원 신경정신과 섭식장애 클리닉 미술치료실 http://blog.naver.com/bb4013u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