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

 1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
 2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2
 3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3
 4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4
 5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5
 6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6
 7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7
 8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8
 9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9
 10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0
 11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1
 12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2
 13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3
 14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4
 15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5
 16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6
 17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7
 18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8
 19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19
 20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초등 사회과 교육 방법] 다중지능과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다중지능이론
󰊱 다중지능의 정의
󰊲 전통적인 지능관과의 비교
󰊳 다중지능이론의 이론적 배경
󰊴 가드너가 제시한 8가지 기능
󰊵 다중지능이론의 기본 원리
󰊶 다중지능이론의 특징
󰊷 다중지능이론에의 비판
󰊸 다중지능이론의 의의
󰊹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Ⅱ. 프로젝트 학습
󰊱 프로젝트 학습의 정의
󰊲 프로젝트 학습의 역사적 배경
󰊳 프로젝트 학습의 목적
󰊴 프로젝트 학습의 원리
󰊵 프로젝트 학습에서 교사의 역할
󰊶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
󰊷 프로젝트 학습의 교육적 가치
󰊸 프로젝트 학습의 과제와 단점
󰊹 프로젝트 학습의 단계

Ⅲ.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
󰊱 프로젝트 학습의 도입
󰊲 프로젝트 학습의 시작
󰊳 프로젝트 학습의 전개
󰊴 프로젝트 학습의 마무리
󰊵 교수‧학습 과정안 예시
󰊶 본 수업안의 고찰

◈참고문헌

본문내용
2. 전통적인 지능관과의 비교

1) 전통적 지능관
기존의 심리학 이론에서는 지능은 단 한가지이며,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지능은 그 후 크게 변할 수 없다고 믿었다. 이런 전통적인 심리학적 견해는 학교의 목적은 선발적 기능, 즉 ‘한 줄 세우기 교육’과 같은 획일적인 교육이 지배하도록 만들었다. 인간의 정신적 능력을 단순한 1차원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근원은 행동주의 심리학에서 찾을 수 있다. 행동주의 심리학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고, 논리를 활용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 등을 보통 지능(intelligence)이라고 부른다. 이 지능은 측정이 가능하며, 이 측정의 결과를 통하여 학습 성패를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은 학습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은 어떤 표준화된 인지적 역량이라고 가정하고, 비교적 쉽게 측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험하기에 이르렀다.
인간의 능력, 특히 지적 능력을 측정하고자 많은 노력이 있어 왔지만, 그 중에서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한 사람이 프랑스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녜(Alfred Binet)이다. 1904년 프랑스 교육부 장관은 비녜에게 ‘학습 위기’에 처한 초등학교 학생들을 판별하여 보충학습을 시키려는 목적으로 이들을 판별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만들어 달라고 요구하였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오늘날 잘 알려진 지능검사이다. 비녜가 만든 지능검사는 학생들의 장래 학업성패를 예측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교실 수업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활동들이 요구하는 인지적 과정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따라서 비녜의 첫 지능검사는 기억력, 주의집중력, 이해력, 변별력, 그리고 추리력에 관련된 인지과정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지능검사가 가지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가정은 지능이라고 알려진 인간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었고, 이를 숫자로 나타낼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 사회 통념이었다.
비네가 학생들의 지적 결점을 발견하기 위하여 처음 만든 지능검사는 1916년에는 스탠포드 대학의 Lewis Terman이 비네의 검사지를 개조하여 Stanford-Binet로 알려진 지능검사지를 만드는데 기여했고, 독일 심리학자 William Stern은 지적능력을 지능지수(IQ)라는 표준화된 점수로 환산하는 공식을 만들었다(Snowman & Biehler, 2000). 이후 지능검사는 지속적인 발전을 하여 오늘날에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대부분 학교에서 누가 학업 능력이 있고 누가 부족한지 등위를 가리는 도구로 자리 매김을 하게 되었다.

2) 현대적 지능관
현대적 지능관은 인간이 서로 다른 인지적인 장점과 스타일을 지니고 있다는 전제 하에, 인지의 다양하고 분리된 국면을 인정하는 인간정신의 다원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비녜가 지능검사를 만들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던 인지과학(인간의 마음을 다루는 과학) 혹은 신경과학(두뇌를 연구하는 과학)의 대두로 인하여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다중적인 견해의 하나가 바로 ‘다중지능이론’인데, 모든 인간은 서로 다른 능력과 흥미를 가지고 있고, 학습하는 과정도 다르며, 한 인간이 모든 영역을 다 배울 수 없다는 것이며, 본인의 현명한 선택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통적인 IQ개념은 지적 영역의 범위가 너무 협소하다고 주장했던 길포드는 180요인을 제안한 지능구조모형(SOI)을 제시하였으며, 가드너는 7개 지능으로 구성된 다중지능이론을, 스텐버그는 상황 하위이론, 경험 하위이론, 요소 하위이론으로 구성된 삼위일체 지능이론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세 가지 이론 중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 교실 현장의 설득력을 얻은 편이다.
참고문헌
1. 다중지능의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강영희, 2005
2. 다중지능이론의 腦科學的 理解와 評價의 方向, 李賢心, 2005
3. 다중지능, Gardner, Howard, 2007, 웅진지식하우스
4.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하워드 가드너, 김명희 이경희 역, 1998, 양서원
5. 김명희·정태희(1997), , 열린교육연구 제5집 제2호, 3-25.
6. 지능의 관점과 교육적 시사. 심우엽, 1995
7.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적 시사점, 이영만, 1996
8.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조영임(광주무학초등학교) & 황윤한(광주교육대학교)
(http://gnue.ac.kr/%7Eedu4ts/mi/hgmi.htm)
9. 프로젝트 접근법, 이명조 · 배미희, 2007
10.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과 적용, 한미라, 1996
11.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김대현 외, 1999, 학지사
12. 프로젝트 학습의 실제 부분 - 에듀넷(http://www.edunet4u.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