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

 1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1
 2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2
 3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3
 4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4
 5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5
 6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6
 7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7
 8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8
 9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9
 10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10
 11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미술] 제2세대 페미니즘 미술 운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Ⅰ. 서론 - 여성주의 미술운동의 전개
Ⅱ. 본론
1. 제1세대 페미니즘 운동
1.1. 제1세대 페미니즘 운동의 의의
1.2. 제1세대 페미니즘 운동의 한계
2. 제2세대 페미니즘 운동
2.1.매리 켈리 Mary Kelly
2.2. 제니 홀저 Jenny Holzer
2.3. 로리 앤더슨 Laurie Anderson
2.4. 페미니즘 미술의 개념들
2.4.1. 수정주의
2.4.2. 분리주의
2.4.3. 본질주의
Ⅲ. 결론 - 제1세대, 2세대 페미니즘 운동 비교 정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1. 제 1세대 페미니즘 운동
1.1. 제 1세대 페미니즘 운동의 의의

70년대의 1세대 페미니즘 미술은 사회주의 페미니즘에서 출발하였다. 전통미술에 대한 페미니즘 공격은 여성미학을 도출해내는 여성적 특성의 탐구와 제시로 완성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여성 작가들은 여성임의 경험과 조건을 강조하고 여성성을 찬양하는 본질주의 미학에 의해 여성과 여성미술을 동시에 해방시키고자 하였다.
이들은 여성의 심리, 신체, 사회적 경험을 나르시즘으로 표출하는 자전적 작업을 선호하였다. 여성 신체를 은유화한 여성도상을 수립하는 한편 기존의 에로티시즘을 탈 신비화시키는 새로운 여성 에로티시즘을 대두시켰다. 또한, 여성적 감수성과 관련하여 수예와 같은 여성 기예를 옹호하였다.

사회주의와 본질주의에 입각한 1세대 페미니스트들이 채택한 여성 중심주의 노선은 수정주의와 분리주의였다. 린다 노클린, 노마브루드와 같은 페미니즘 미술가들에 의해 주도된 수정주의는 재래 미술사의 추정들을 의심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기존의 서양 미술사는 예술이 생산된 경제사회적 요인을 간과하고 양식만을 문제 삼는 형식주의 미술사인 동시에 위대한 예술이라는 개념을 설정한 배타적인 천재중심의 미술사요 미술에서 여성적 유형을 수립하고 차별화함으로써 여성 화가들을 대거 탈락시킨 남성중심의 미술사였다. 수정주의 미술사의 과업은 이러한 재래 미술사가 탈락시킨 여성 미술가를 발굴, 그들의 예술적 업적을 소개하고 재평가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졌다. 1970년대 중반에 속출된 대규모의 여성 전시회들은 바로 이러한 발굴 작업의 결산이었다. 그러나 미술사의 기본 틀을 의심하지 않고 여성 화가들을 편입시킴으로써 미술사를 재편성하는 이러한 수정주의는 부계적 미술사관을 그대로 인정하게 되는 모순과 함께, 또 하나의 배타적인 여성중심의 미술사를 구축하여 자축하면서 분리주의를 범하는 위험을 안고 있었다.


주디 시카고 “디너파티” 1974~79. 사진출처. http://images.google.co.kr/imgres?imgurl=http://www.uwm.edu


주디 시카고가 1974년부터 5년 동안 무려 400여명의 협력을 받아가며 제작한 '디너파티'는 여성의 정치의식과 집단의식을 표출하고 여성성을 찬양하는 대표적인 1세대 페미니즘 작품이었다. 시카고는 여기서 디너파티에 초대된 39인의 여류명사들에게 헌정하는 39개의 자궁형 도자기 접시를 제작, 자궁의 제식으로 여성의 파워를 과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작품을 비롯한 시카고의 자궁 이미지들이 생물학적으로 고유한 여성 이미지를 강조하려는 것인지, 정치적 의도에서 여성의 정체성을 주장하려는 것인지 그 메시지가 분명치 않다. 자궁 이미지는 사회적 여성이 아니라 생물학적 여성의 경험을 취급하는 본질론적 입장을 반영한다. 그러한 까닭에 서부에서 각광받는 자궁 이미지가 뉴욕 기반의 동부 페미니스트들에 의해서는 배척되었던 것인데, 어쨌거나 자궁 이미지는 그것이 함의하는 생물학적 한계 때문에 그 미학적 수용에서 주의를 요구한다.
참고문헌

* 김홍희 편저. "여성,그 다름과 힘"-여성적인 미술과 여성 주의 미술,-미술에 있어서 페미니즘과 한국의 여성 주의 미술. 1994. 3. 16. 삼신각. 로지카 파커, 그리젤다 폴록 지음/이영철, 목천균 옮김. 1995. 7.시각과언어
* 구마 피터슨.P.매튜스 지음/이수경 옮김"페미니즘 미술의 이해".1994.7.시각과 언어
* 김달진,"해방 이후 여성 미술의 발자취"[월간 미술],1989,3.PP 66-69
* 김현숙,"초기 여류화가들의 위상",[월간 미술}1989,3.PP61-65
* 김홍희 ,"한국 여성 주의 미술의 방향 모색을 위한 페미니즘 연구",[미술 세계} 1992,9.PP. 23-
* 라원식,"새누리를 일구어 내는 미술"[미술 세계]1992,9PP40-45
* 이성애,"여성 신학이란 무엇인가?"여성,그 다름과 힘전 카타로그,1994.3.16 삼신각.
* 홍경희,미술에 있어서 페미니즘의 제 양상에 관한 연구,1994,12,홍익 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 김희선, 이 세계 절반을 위한 미술 축제,-여성그 다름과 힘전,월간 미술 1994,5.PP1 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