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

 1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1
 2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2
 3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3
 4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4
 5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5
 6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6
 7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7
 8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8
 9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9
 10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미술] 네오팝(Neo-Pop)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네오팝(Neo-Pop)의 소개
2. 네오팝의 내용적, 형식적 특성
2.1. 내용적 측면에서 팝아트와 비교
2.1.1. 개인 서사와 미시 담론의 중시
2.2. 팝아트로부터 근거한 형식적 원리
2.2.1. 차용(Appropriation)과 오브제(Object)
2.2.2. 키치(Kitsch)
3. 구체적 사례 분석
3.1. 서구 팝아트의 전형을 잇는 네오팝 작가 -제프 쿤스
3.2. 아시아에서 나타나는 네오팝의 양상과 ‘J-Pop’
3.2.1. 무라카미 다카시
3.2.2. 요시토모 나라
3.3.3. 최정화
4. 결론

본문내용
2. 네오팝의 내용적, 형식적 특성

앞에서 언급했듯이 네오팝(Neo-Pop)은 팝아트(Pop Art)를 근거하여 형성되고 변화된 미술양식이다. 따라서 팝아트의 역사적 상황을 통해서 네오팝과 팝아트의 구별되는 내용적 특징을 설명하고 네오팝과 팝아트의 공통되는 형식적 원리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1. 내용적 측면에서 팝아트와 비교

팝아트는 미국이 세계 문화를 주도한 1950년대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 이후에 나온 양식이다. 추상표현주의는 예술성, 형식문제에 대한 탐구였으며 2차 세계대전의 영향으로 인해 실존적인 문제와 같은 내부적 시선을 가지고 있었다. 이것은 예술의 권위성과 부르주아 미술의 측면을 내포한 것이다. 이에 반해 팝아트는 이제까지의 시각 예술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대중문화를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현대적인 삶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를 마련했다. 팝 아티스트들이 사용한 이미지는 통속적이고 대중에게도 익숙한 상업적인 이미지이며 이러한 이미지는 소비문화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팝아트는 소비문화를 고급미술 속으로 끌어들이며 예술이 가진 상아탑의 성격을 흔들어놓았고 삶과 예술의 분리를 없애고 일부계층만 향유하던 미술을 많은 사람들이 함께 즐기고 소유하는 예술의 민주화를 유도하였다. 이렇듯 1960년대 팝아트는 이전의 모더니즘 예술이 가지지 못한 정신을 가지고 있지만 네오팝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네오팝이 팝아트의 정신을 잃었다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정신은 로이 앤더슨와 같은 작가들을 통해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며 정착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아방가르드적인 팝아트의 정신은 이미 내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1980,1990년대 작가들은 팝아트가 이룬 미술사적 토대를 가지고 심화되는 후기 자본주의의 분위기를 발빠르게 수용한다. 그들은 팝적인 소재들을 작가 자신의 비평적 반응이나 비평적 질문을 위한 과정으로 접근하며 새로운 미디어 매체를 활용하여 작업한다.
1960년대 팝아트 작가들은 자본주의 산업사회와 소비사회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태도를 둘 다 반영하고 있었다. 매스 미디어의 역할에 대해 객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그것이 기능하는 방식과 개인이 그러한 자극들을 받아들이는 방식을 파악하였다. 전혜숙, 『대중적 삶에 대한 동화와 차용』, 월간미술 2000.11, p.71.
앤디 워홀(Andy Warhol)의 작업을 보면 이미지의 재현을 통해 상업의 세계를 비평적인 필터없이 그대로 수용하는 효과라고 하면 네오팝 작가들은 있는 그대로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비평을 나타낼 수 있도록 이미지를 조작하는 태도를 보인다.
참고문헌
고충환,「시대의 표면을 반영한 미술」,『월간미술』, 2005년 10월호.
김지연,「아시아의 팝아트」,『미술세계』, 2008년 3월호.
나라 요시토모,『작은별 통신』, 김난주 역, 시공사, 2005.
서상숙,「미국에서 불어온 새로운 바람, 슈퍼 플랫」,『월간미술』, 2001 11월호. 선승혜,「Takashi Muracami」,『월간미술』, 2000년 5월호.
안연희,『현대미술사전』, 미진사, 1999.
전혜숙, 『대중적 삶에 대한 동화와 차용』, 월간미술 2000.11, p.71.
아킬레 보니토 올리바, 『슈퍼아트』, 안연희 역, 미진사, 1996.
히로 리카,「Murakami 시작의 끝, 끝의 시작」,『미술수첩』,



Eleanor Heartney, "Jeff Koons at Sonnsbend", Art in America, May, 2004
Katy Siegel, "Jeff Koons talks to Katy Siegel - '80s Then- Interview", Artforum, Jan.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