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

 1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
 2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2
 3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3
 4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4
 5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5
 6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6
 7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7
 8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8
 9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9
 10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0
 11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1
 12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2
 13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3
 14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4
 15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5
 16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6
 17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7
 18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8
 19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19
 20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의 아시아침략 전쟁(대동아전쟁, 태평양전쟁)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태평양전쟁

Ⅱ. 일본의 근대화

Ⅲ. 천황제

Ⅳ. 위안부

Ⅴ. 식민지정책

Ⅵ. 난징대학살

Ⅶ. 현대적 의미의 해석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3. 일본의 근대국가와 제국주의의 대두
아편전쟁에서의 중국의 패배와 개항과정을 지켜본 일본의 도쿠가와 막부는 전쟁 없이 단기간의 교섭을 끝내고 미국과 화친조약을 맺음으로서 서구 문물을 본격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했다(1858미일수호통상조약). 서구와의 무역개방과정에서 대외전쟁이 없었음에도 서구 기술과 관영 군수공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막부정부와 서남부 번(藩은 제후가 맡아 다스리는 영지)들 사이에 경쟁적 지방할거 국면이 형성되었다. 개항이후 반외세 주체세력으로 등장했던 존왕양이파(尊王攘夷派)가 1864년 전후 막부타도(도막)운동으로 발전함에 따라, 도막파의 성격은 점차 서구문명에 대한 실용적 수용을 통한 부국강병·해외 팽창 노선으로 전환해 메이지유신의 주체세력이 되었다. 왕정복고라는 전통적 명분을 걸로 막부를 타도한 이 정변은 사실 국체개혁을 시도하는 급진적 개혁운동이었다. 하급무사가 중심이 되어 왕정복고의 군사적 쿠데타와 보신전쟁(1867~1868)이라는 내전을 극복하고, 그 과정에서 수구파 무사 특권층 및 반근대적 민중복기의 압력을 제압하였기에 동시대의 중국과 조선에서와는 다른 차이점을 보인다.
메이지정부는 정권수립 직후 1871년부터 거의 2년여에 걸쳐 사절단과 유학생을 포함한 100여 명의 사절단을 유럽·미국에 파견하여 부국강병을 위한 식산흥업(殖産興業)·문병개화의 서구화 개혁노선을 확장해갔다. 근대국가 수립을 위한 국가 통일과 기본적 체제정비를 이루는 과정에서 정한론(征韓論)을 둘러싼 무사지배층 내부의 분열위기를 수습하고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등 차세대 사쓰마·조슈 번별의 지배하에 국민국가 형성을 위한 최종 개혁과정에 들어섰다. 1880년대부터 청일전쟁까지 정부의 민간자본 육성을 통한 산업혁명의 시작과 함께 근대적 법제 정비, 전국적 국민교육과 국민의무 상비군제도의 정비가 진행되었고, 일본형 입헌천황제 국체와 근대 관료제 등 근대적 국민국가로의 체제가 완성되었다. 대외적으로도 1871년 청과의 근대적 대등조약으로 청일수호조규를 체결한 이래 타이완사건(1874), 조선의 무력개항(1876), 류큐 병합(1879)등 대외팽창을 시도하였다. 조선의 임오군란(1882)을 계기로 조선에서의 영향력 확장을 둘러싼 청과의 경쟁이 날로 격화되는 가운데, 군비확장정책을 추진하는 한편 영국과의 교섭을 통한 서구와의 외교에도 노력하였다.
메이지정부는 성립 직후부터 조직적 군사 건설과 근대 외교를 진행하였는데, 서구 열강이 문명국으로서의 조건으로 요구한 근대적 입법체계의 확립을 비롯해 근대국가로서 일본 국체의 근본적 변혁과 부국강병에 힘쓴 결과, 당시 동아시아 제국주의의 중심이던 영국과 1894년 청일전쟁 직전 불평등조약체계 철폐라는 성과를 달성하게 된다. 일본의 근대적 외교는 서구에 대한 양이론적 개국론의 연장선에서 발전한 것으로 청을 동아시아 중화질서의 중심이 아닌 쇠약한 부패국가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여겼다. 1876년 강화도 조약당시 조선이 청의 속국임을 부정하고 독립국임을 확인시켰던 사실 역시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라 할 것이다. 조선을 둘러싸고 청과의 경쟁이 심해지던 이 시기에 일본에서는 후쿠자와 유키치가 제창한 동양맹주론(東洋盟主論과) 탈아입구론(脫亞入歐論)이 등장하였는데, 동아시아의 전통적 중화주의 질서를 배격하고 근대 서구문명의 신질서에 동참하려고 했던 것이었다.

4. 청일전쟁과 일본의 동아시아 질서 재구축
메이지 유신 이래 일본의 외교는 크게 개항과정에서 구미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을 상호 대
참고문헌
- 고토 야스시 외 6명, 『천황의 나라 일본 - 일본의 역사와 천황제』, 예문서원, 2006

- 동북아역사재단, 『역사 속의 한일 관계』, 동북아역사재단, 2009

- 스즈키 마사유키, 『근대 일본의 천황제』, 이산, 1998

- 박진우, 근대 천황제와 일본 군국주의근대 천황제와 일본 군국주의, 역사비평 2000년 봄호(통권 50호), 역사비평사, 2000. 2

- 아이리스 장, 『난징대학살(THE RAPE OF NANKING)』, 이산, 1998

- 역사학회,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 허동현 외 1명, 『근대 한·일간의 상호 인식』, 동북아역사재단, 2009

- 무명, [천황제 연재] 1.고대의 천황제, 無名堂, 10.05.03, (http://blog.naver.com/pkt87?Redirect=Log&logNo=20095915127, 09.12.18)

- 이채훈, "일ㆍ본ㆍ은ㆍ있ㆍ다"-「천황의 나라 일본」 연출 PD의 말, 여의도 통신, 10.05.03, (http://koreada.com/jboard/?p=detail&code=mbc&id=199&page=1, 05.07.23)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