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 입양가족

 1  [여성학] 입양가족-1
 2  [여성학] 입양가족-2
 3  [여성학] 입양가족-3
 4  [여성학] 입양가족-4
 5  [여성학] 입양가족-5
 6  [여성학] 입양가족-6
 7  [여성학] 입양가족-7
 8  [여성학] 입양가족-8
 9  [여성학] 입양가족-9
 10  [여성학] 입양가족-10
 11  [여성학] 입양가족-11
 12  [여성학] 입양가족-12
 13  [여성학] 입양가족-13
 14  [여성학] 입양가족-14
 15  [여성학] 입양가족-15
 16  [여성학] 입양가족-16
 17  [여성학] 입양가족-17
 18  [여성학] 입양가족-18
 19  [여성학] 입양가족-19
 20  [여성학] 입양가족-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성학] 입양가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입양가족

1. 입양가족의 정의

2. 입양 절차

3. 입양의 조건

4. 입양에 대한 인식 통계조사

5. 입양 사례

아이를 거부하는 부부만의 가정 - ‘딩크족’ 에 대해서

1. 딩크족의 정의

2. 각 나라의 딩크족

3. “무자식이 상팔자?”

3-1. Baby strike - 여자들, 출산 파업하다.

3-2. 딩크족 - 무자녀의 다양한 스펙트럼 (한겨레)

4. 내 꿈을 위해서라면

5. 물론 고민도 있다

자발적 미혼모(비혼모)

1. 자발적 미혼모란

2. 미혼모의 배경

3. 미혼모의 유형

3-1. 가족이라는 울타리를 싫어하는 유형

남자가 싫어하는 유형

3-2. 여자가 싫어하는 경우

자발적 비혼모

4. 우리나라 미혼모 복지정책

5. 해외의 미혼모 복지의 사례

5-1. 스웨덴

5-2. 덴마크

5-3. 독일

6. 비혼모를 주제로 한 영화나 드라마들

7. 결론

미혼부 가정

1. 미혼부 그리고 미혼부 가정

2. 미혼부, 자신의 문제

3. 미혼부 자녀의 문제

4. 미혼부 가정의 문제

5. 결론

사실혼

1. 사실혼의 정의

2. 부부인가, 애인인가? 사실혼 관계의 종류

3. 현재 우리 사회에서의 사실혼 상황

3-1. '사실혼·동거’가 늘어난다

3-2. '결혼은 오케이∼, 혼인신고는 글쎄∼'

4. 사실혼으로 인한 피해, 부작용

기러기아빠가정

1. 기러기 아빠의 정의

2. 유래

3. 사회현상

4. 발생요인

5. 기러기 아빠의 유형

6. 기러기 아빠의 입장(생각)

7. 기러기아빠의 생활

8. 문제점

9. 기러기 아빠가 없어져야 되는 이유

10. 해결방안

다문화 가정

1. 다문화 가정의 정의


2. 다문화 가정의 종류

3. 다문화 가정의 문제

3-1.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이 겪는 문제

1. 3-2. 해결방법

한국어 능력의 부족

2. 사회성부족

3. 가족내의 문제

4. 사회서비스 활용도 낮음

3-2. 해결방법

3-3. 다문화 가정의 해결방안
본문내용
2. 미혼부, 자신의 문제

미혼부를 바라보는 시선은 아직까지는 따갑기만 하다. 몇 년 전 자신이 미혼부라고 밝혀 화제가 된 연예인 김승현을 보면 그렇다. 탤런트 김승현은 실제로 캐스팅 직전까지 갔다가 미혼부라는 사실 때문에 배제된 적이 있다. 그런 사건이 일어난 배경은 미혼모보다는 정도가 덜하지만 미혼부에게도 비슷한 정도의 사회적인 불평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책적인 문제로 해결할 수 없는 점이 바로 이 부분이다. 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 자체가 바뀌지 않는 한 미혼부들은 질타어린 시선에 노출되어 원만한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없을 것이다. 최근 들어 미혼부를 전문으로 상담하고 도와주는 단체가 정책 하에 설립되고 있지만 여전히 주변 시선을 의식하여 떳떳하게 자리 잡지 못하는 미혼부가 많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사람들의 인식수준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결코 한 세대 안에서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인식개선을 위한 장기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이 세워지지 않는 한 미혼부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변화시키는 일은 어려울 것이다.

부부가 아닌 혼자라는 심리적 요인도 미혼부에게 큰 문제가 된다. 보통의 가정은 부부를 중심으로 밑에 자녀를 두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지만 미혼부의 경우에는 배우자가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부관계가 주는 안정감이 덜하다. 자녀 양육과 살림, 생계벌이를 부부와 함께 나눌 수 없다는 점도 미혼부에게 심리적인 부담감을 안겨준다. 더욱이 미혼부는 이혼부와 같이 일시적이라도 결혼 생활을 경험해본 적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미혼부가 느끼는 부담감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실제로 혼자 감당해야하는 아이의 양육비와 부부관계의 부재에서 오는 심리적인 부담에 의해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에 시달리는 미혼부도 적지 않다.

3. 미혼부 자녀의 문제

아이가 제일 먼저 남, 여 성에 대한 구별과 성적 역할을 구분하게 되는 곳이 바로 가정이다. 어머니에게서는 여성성을, 아버지에게서는 남성성을 배우게 된다. 지금보다 가정 내 성역할 구분이 뚜렷했던 예전에는 어머니로부터 현모양처로 대표되는 살림과 내조 지향적인 여성상을 배웠고 아버지로부터는 가부장적인 생계담당형의 남성상을 습득하였다. 근래에 접어들면서 성역할 구분이 점차 모호해지고 있으나 아이가 구분할 수 있는 기본적인 남녀의 특성 차이는 여전히 존재한다. 즉, 아동이 외부로부터 사회학적인 성을 배우기 이전에 가정 내에서 어느 정도 이상의 성별과 성역할 구분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부 또는 모, 어느 한 쪽의 빈자리가 없는 가정에서 자란 아동은 그렇지 못한 아동보다 여성학 강의 자료-에서 인용
성-아이덴티티(gender-identity)의 형성이 안정적이다. 다시 말해 미혼부가정과 같이 어머니가 부재한 상황에서 자란 아동은 여성성보다는 남성성이 부각되어 정상적인 가족 형태 안에서 자란 아동보다 아이덴티티의 형성이 불안정할 수 있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