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

 1  [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1
 2  [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2
 3  [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3
 4  [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4
 5  [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5
 6  [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6
 7  [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7
 8  [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약리학] 만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의 Bcl-2계 단백질과 세포자멸사의 조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Fig.1 CLL 아형들의 발병기전
배선(germline) 면역단백 유전자에 변이가 없는 CLL(U-CLL)의 경우는 종자중심 변연부의 낮은 항원성을 갖는 T-비의존적 항원들에 반응하여 생긴다. 배선 면역단백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CLL(M-CLL)의 경우는 종자중심의 높은 항원성을 갖는 T-의존적 항원들에 반응하여 생긴다. 그리고 M-CLL은 면역단백질의 돌연변이들이 축적되는 것과 관련이 깊다. CLL의 두 아형 모두에서 항원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있다는 증거가 있다. M-CLL 세포들은 비교적 BCR 신호에 반응이 없는 반면, U-CLL 세포들은 일반적으로 더 잘 반응한다. 이것은 항원성의 정도와 B 세포의 성숙 정도의 차이로 인한 결과이다. 위 두 아형의 CLL 모두 세포자멸사에 저항성을 나타낸다. 환자 간 세포자멸사 감수성 차이와 세포자멸사 조절물질들의 발현에 있어서의 차이는 질병의 진행 상황보다는 치료에 대한 반응에 더 영향을 준다.

서로 다른 환자가 BCR을 통해 전달하는 CLL세포의 능력은 아형마다 다양하다. U-CLL 세포들은 IgM에 대한 항체와 BCR이 cross-linking한 후에 일반적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지만, M-CLL 세포들은 무반응인 경향이 강하다. 이것은 아마 U-CLL에서 과다 발현되는 TCR 신호물질인 ZAP-70(zeta associated protein-70)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 우리는 BCR 결합에 대한 다른 반응이 CLL에 있어서 무반응의 다양한 정도를 반영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했다. 그리고 이 무반응의 정도는 항원의 특성과 B cell의 성숙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이다. 무반응 세포들은 증식, 생존시키는 신호에 덜 반응하기 때문에 더 나은 임상적 예후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이 증식, 생존 신호는 특정 미세환경 속의 BCR를 자극하는 항원에 의해 생겨난 것이다.
인간의 많은 암에 있어서 세포자멸사에 대한 감수성의 변화가 중요하다. 감소된 세포자멸사는 tumor의 발달 뿐 만아니라 전통적 항암치료 물질인 방사선과 세포독성 물질에도 저항성을 나타낸다. CLL은 세포자멸사 실패에 의한 질병으로 종종 간주된다.
유전적 변이와 세포자멸사를 조절하는 물질들을 발현하는데 있어서의 변화들이 기술되었고, 소수의 환자군에서도 나타났다. 예를 들면, p53과 ATM의 소실은 비교적 일반적인 유전자 변형이고, DNA 손상물질에 대한 반응을 감소시킨다. NF-kB(nuclear factor kappa B)라는 전사인자와 Phosphatidyl inositol-3 kinase 신호전달체계는 CLL에서 활성화된다. BAFF(B-cell activation factor), APRIL(a proliferation inducing ligand), CD40 Ligand and IL-4(interleukin-4)와 같은 많은 cytokine들은 CLL 세포를 생존시킨다. 그리고 CLL 세포들은 세포표면에 있는 death receptor를 통한 신호들에 저항성을 나타낸다. BCR을 통한 항원 자극은 세포자멸사 경로에 영향을 주고, 표면 IgM과 IgD를 통한 신호의 결과는 아직 논쟁중이다. 그러므로 CLL에 있어서 세포자멸사를 분자단위에서 조절하는 것은 복잡하고, 종양세포의 생존에 대한 기질세포의 영향 때문에 실험을 하기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