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

 1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1
 2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2
 3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3
 4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4
 5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5
 6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6
 7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7
 8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8
 9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사회와여성리더십]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쟁점중심수업의 의미와 분류

Ⅱ. 쟁점 중심 교육의 정당성

1. 존재론적 당위성- 닫혀진 영역(이진석,2008)
1) 닫혀진 영역
2) 사회과 교육과정 변천과 ‘닫혀진 영역’
2. 시민성 함양- 고차 사고력의 본질
1)시민성과 고등사고 능력
2) 쟁점 중심 교육은 고차사고력을 발달시키는가?
3)사례연구: 중학교 교실에서 사회적 쟁점을 활용한 Engle-Ochoa 모형 효과 (이순재, 2004)
3. 한국인의 사고방식 - 협상력 제고

Ⅲ. 쟁점 협상 모형

1. 쟁점 협상 모형의 절차
2. 쟁점 협상 모형의 의미
본문내용
1. 존재론적 당위성- 닫혀진 영역(이진석,2008)

1) 닫혀진 영역

그 첫 번째는 존재론적 당위성이다. 학교는 보수적이고 객관주의적이며 지나치게 긍정적인 견해만을 학생들에게 제시해왔다. 학교는 학생들이 주인이 되는 곳이며 학생들이 살아가는 곳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문제나 관심사는 숨겨지거나 왜곡되거나 무시되었다(노경주 2002).
헌트에 따르면 이처럼 가장 첨예한 갈등이 일어나고 있으나 대부분 이성적 사고와는 동떨어진 닫혀진 신념과 행위의 영역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문제를 맹목적이고 감정적으로 반응하는 영역을 ‘닫혀진 영역’이라 한다. 즉, 각각의 ‘닫혀진 영역’에서는 교화와 선전을 통해 주입하고자 노력하는 일련의 재가된(가끔은 비이성적이고 모순되기도 한) 신념을 가진다. 이러한 영역에서는 사람들이 반성적 숙고에 기초를 두도록 교육하지 않으며 전통, 교화, 정치, 지도자의 권위에 근거하여 가르치며, 학습자로 하여금 기존 사회의 상식이나 신념에서 벗어날 때 주어질 사회적 법적 억압에 위축되게 만든다.
이진석(2008)은 그의 논문에서 민주적 문화의 성공은 ‘닫혀진 영역’의 수와 범위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는가로 부분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왜냐하면 사회적 수준에서 중요한 쟁점에 대하여 심사숙고할 수 있는 능력은 민주주의의 유지에 핵심적이며, 더 나아가 수업에서 터부시 하는 주제를 개방적이고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토론하게 함으로서 개인 수준에서 많은 학습자들에게 정치적 관심과 시민적 관용을 배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는 보다 민주화 된다는 것은 ‘닫혀진 영역’을 이성적 탐구에 노출하는 것이라 본다. 우리 사회가 점점 다원화되고 있고, 기존에 당연시 했던 문제들을 점차 논쟁의 장으로 끌어올 수 있게 됨에 따라 논쟁문제 수업, 특히 ‘닫혀진 영역’의 쟁점 수업은 고차 사고력을 함양하고자 하는 사회과의 목표와 민주사회의 구현이라는 시대적 요청에 비추어 볼 때 그 타당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중등사회과의 최종목표는 문제성 있는 영역의 이슈를 반성적으로 탐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2) 사회과 교육과정 변천과 ‘닫혀진 영역’

그렇다면 사회과 교육에서의 ‘닫혀진 영역’에 대한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이진석(2008)은 한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변천과정(제 1차 교육과정~현행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영역을 중심으로 ‘닫혀진 영역’의 학습 전개를 살펴보았다. 사회과에서의 ‘닫혀진 영역’이라 볼 수 있는 다양한 사회적 쟁점, 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참고문헌
- 이진석(2008). 사회과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닫혀진 영역 closed areas"에 대한
기술 내용 분석.
- 노경주(2009). 시민 교육을 위한 쟁점 협상 모형에 관한 연구.
- 이순재(2004). 중학교 교실에서 사회적 쟁점을 활용한 Engle-Ochoa 모형효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