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

 1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
 2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2
 3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3
 4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4
 5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5
 6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6
 7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7
 8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8
 9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9
 10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0
 11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1
 12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2
 13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3
 14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4
 15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5
 16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6
 17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7
 18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8
 19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19
 20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과 그 문화적 의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의의
1.2. 연구방법론
2. 한국고대설화 속에 형상화된 노인의 모습과 노인의 성(性)
2.1. 신성한 존재로서의 노인의 모습
가. 경이(驚異)와 외경(畏敬), 권위의 대상으로서의 노인
나. 원시신앙신(神)이 현신(現身)한 노인
다. 불교적 보살의 현신(現身)
2.2. 현자(賢者) 및 조력자로서의 노인의 모습
가. 정보 제공자로서의 노인
나. 왕을 조력하는 노인
2.3. 신선(神仙)과 노인
3. 조선 후기와 개화기 문학에 형상화된 노인의 성(性)
3.1. 야담과 사설시조 : 풍자와 희화화(戱畫化)의 대상
3.2. 민속극 : 신성하고 적극적인 노인의 성(性)
4. 일제강점기, 광복․분단기, 산업화시대의 노인과 성(性) - 근대극을 중심으로
5. 현대문학 및 문화예술작품 속에 나타나는 노인의 성(性)
5.1. 육체적 성(性)의 비가시화(非可視化)
가. 박상륭,
나. 박완서,
다. 다니자키 준이치로,
라. 시트콤
마. 만화
5.2. 육체적 성(性)의 비가시화(非可視化) 및 ‘자아 찾기’로서의 노인의 성(性)
가. 박민규,
나. 이동하,
다. 단막극 (극본 선경희 / 연출 고동선)

5.3. 육체적 성(性)의 가시화(可視化)
가. 사토 아이코,
나. 드라마
5.4. 육체적 성(性)의 가시화(可視化) 및 ‘자아 찾기’로서의 노인의 성(性)
가. 박민규,
나. 한창훈,
다. 한창훈,
라. 다니자키 준이치로,
마. 다니자키 준이치로,
바. 가와바치 야스노리,
사. 영화
아. 영화
6. 서양문학 속 노인의 성(性)의 형상화 양상
6.1. 고대 : 신성하고 지혜로운 존재로서의 노인
6.2. 중세(15-16세기) : 노인의 성(性)에 대한 풍자와 희화화
6.3. 17세기 : 노인의 성(性)에 대한 긍정
7. 결론
본문내용
1.2. 연구방법론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양지와 음지가 공존하기 마련이다. 노년에 대한 인식 역시 마찬가지이다. 실제로, ‘노년’이라는 단어는 여러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노공(老功), 노련(老鍊), 노성(老成), 노수(老手), 노실(老實), 노재(老才)’ 등 노인의 긍정적인 면이 부각된 낱말들이 있는가 하면, ‘노둔(老鈍), 노물(老物), 노병(老病), 노쇠(老衰), 노약(老弱), 노후(老朽)’ 등 노인의 부정적인 면이 부각된 낱말들도 존재한다. 이처럼 ‘노년’, 또는 ‘老’에 대한 인식이 통시적으로 긍정과 부정의 양항 대립적 양상을 드러내는 이유는 노년에 대한 인식에는 문화적 요인들이 개입되기 때문이다. 시간의 흐름은 사회적 상황의 변화를 가지고 올 수밖에 없으며, 그러한 사회적 상황의 변화는 문화와 인식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노인에 대한 인식의 양상은 단면적이지 않다. 즉, 노년에 대한 인식은 시대를 달리하면서 긍정과 부정이 단적으로 드러나기 보다는, 이 양항 대립적인 것들이 공존하면서 역동적인 양상을 띠며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렇게 다양하면서도 역동적인 노인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는 데 있어 유용한 시각이 바로 문화기호학적 시각이다. 이수곤, 앞의 논문, 317쪽.
기호의 해석은 약호가 찾아질 때 가능한데, 약호는 사회적 조건과 문화적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송효섭, 『문화기호학』, 민음사, 1997, 38쪽.
기호들이 어떠한 법칙에 의해 기호 활동이 이루어진다고 할 때, 그 구체적인 모습은 대개 양항성(兩項性)과 비대칭성(非對稱性)을 지니면서 나타난다. 즉, 어떠한 기호든 그 기호는 활동하던 그 사회의 조건과 문화 환경에 따라 양항 대립 체계를 달리하면서 의미화 된다. 그런데, 양항 대립은 어느 한 쪽이 지배소로 작용하는 비대칭성을 보인다. 즉, 단순한 대립에 머무르지 않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통합하려는 역동적 움직임을 보이는 것이다. 송효섭, 『설화의 기호학』, 민음사, 1999, pp.82-84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시각에서 ‘노인의 성(性)’이라는 문학적 테마를 살피는 주제학적 탐색을 하고자 한다.
이수곤(2009)에서는 ‘노인’이라는 문학적 테마를 살피는 주제학적 탐색에 있어, ‘노인’이라는 문화기호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대립항을 설정하였다.

1) 초월적․ 신화적 존재 : 인간적 존재
2) 규범적 존재(지혜의 소유) : 일탈적 존재(욕구의 표출)

본고는 ‘노인의 성(性)’의 역사적 변전양상 및 형상화 양상을 살피는 데 있어 위에서 설정한 두 가지 대립항을 기준으로 삼되, 여기에 ‘희화화․풍자의 대상(욕망의 희화화․풍자) 대 인정의 대상(욕망의 인정)’이라는 대립항을 추가로 설정하여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고는 이러한 세 가지의 대립항이 ‘노인의 성(性)’과 관련하여 시대 및 문화마다 어떠한 역동적 양상을 띠며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초월적․ 신화적 존재’로서의 성격과 ‘인간적 존재’로서의 성격의 양향 대립 속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통합되는 움직임, ‘규범적 존재’로서의 성격과 ‘일탈적 존재’로서의 성격의 양항 대립 속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통합되는 움직임, ‘희화화․풍자의 대상’으로서의 성격과 ‘인정의 대상’으로서의 성격의 양항 대립 속에서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통합되는 움직임에 대해 그 움직임의 방향성 및 변전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고바야시 데루유키, 『노년의 성혁명』, 이지북, 2000.
김경수, 『소설․농담․사다리』, 역락, 2001.
김선풍 외, 『민속문학이란 무엇인가』, 집문당, 1993.
김열규, 『노년의 즐거움』, 비아북, 2009.
김용기, 『다니자키 준이치로의 생애와 작품』, 보고사, 2001.
김인택 편, 『세계대표야담전집 1권 한국편』, 한국교육출판공사, 1987.
문학을 생각하는 모임, 『한국문학에 나타난 노인의식』, 백남문화사, 1996.
박진태, 『한국민속극연구』, 새문사, 1998.
송효섭, 『설화의 기호학』, 민음사, 1999.
시몬느 드 보부아르, 홍상희․박혜영 역, 『노년①』, 책세상, 1994.
시몬 드 보부아르, 『노년』, 책세상, 2002.
양승국, 『한국현대희곡론』, 연극과 인간, 2001.
양연자,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문학과 근대화』, 보고사, 2005.
이승훈, 『문학상징사전』, 푸른사상, 2009
이재선, 『한국문학 주제론』,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9.
이재호 편역, 『삼국유사』, 솔, 1997.
전경욱 역, 『한국고전문학전집-민속극』, 고대민족문학연구소, 1993.
조동일, 『삼국시대 설화의 뜻풀이』, 집문당, 1991.
편집부,『韓國文化상징사전』, 두산동아, 1996.
한창훈, 『청춘가를 불러요』, 한겨례출판사, 2005.
홍숙자, 『노년학개론』, 하우, 2001.


곽미경, 「좌등애자와 박완서 소설의 비교 연구」, 동덕여대 대학원, 2006.
김수경,「남성성과 여성성의 대립으로 본 헌화가」, 『이화어문논집』17, 이대어문학회, 1999.
김양진, 「한국 야담문학에 나타난 노인 연구」, 『노인복지연구 30호』, 2005.
김양진, 「민속극에 나타난 노인 연구」, 『새얼 語文論集 第18호』, 2006. 2.
김진아, 「다니자키 쥰이치로〔谷崎潤一郎〕 문학과 노인의 성」, 동덕여대 대학원, 2002.
박정애, 「노인의 성 생활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이수곤, 「노년의 형상화 양항과 그 문화적 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조선 후기 사설시조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제31집, 한민족문화학회, 2009.
이재선, 「세계화 시대와 한국문학연구의 방향」, 『서강인문논총』, 2000.
최명숙, 「한국 현대 노년소설 연구」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