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

 1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
 2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2
 3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3
 4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4
 5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5
 6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6
 7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7
 8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8
 9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9
 10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0
 11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1
 12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2
 13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3
 14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4
 15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5
 16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6
 17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7
 18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8
 19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19
 20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간호연구] 우리나라 여자 고등학생의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다이어트, 미용성형과의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가설

4. 용어정의

Ⅱ. 문헌고찰
1. 청소년기와 신체만족도

2. 자아존중감

3.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4. 신체만족도와 다이어트, 성형수술

Ⅲ. 연구 방법
1. 연구의 설계

2. 연구 대상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문헌고찰
1. 청소년기와 신체만족도
외모는 얼굴, 화장, 헤어스타일, 몸매, 옷차림 등을 포함한 것으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전체적인 모습을 의미하며, 다차원적이다. 외모는 자기개념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며,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타인들의 반응은 자아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게 된다(신현옥, 2008). 외모 관심이란 외모에 대한 매력을 위해 의복과 화장, 장신구 등 신체 장식에 대해 지속적인 흥미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이명희, 이은실, 1997).
신체만족도란 자신의 신체 전체나 각 부분의 형태와 기능에 대해 만족하거나 불만족하는 느낌의 정도를 의미한다. 개인이 신체를 보는 방법이나 신체에 대한 만족도는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기준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각 개인은 그러한 사회적 기준을 내면화하면서 자신의 신체를 평가하게 된다(전준선, 2006).
자신의 신체에 대한 만족, 불만족의 정도를 나타내는 신체만족도는 얼굴, 상반신, 하반신으로 크게 분류된다. 개인의 신체에 대한 인식은 신체이미지와 신체만족도 그리고 외모에 대한 만족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표현된다(박우미, 2000; 송경자, 김재숙 2005).
Secord와 Journard(1953)는 신체만족도를 신체의 여러 부분이나 신체기능에 대한 만족 혹은 불만족의 정도로 정의였는데, 대부분은 자신의 신체에 만족할수록 자신을 존중하며 반대로 신체에 불만족할수록 자신감을 잃고 자신을 비하하게 된다. 외모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외모가 다른 사람보다 못하게 되면 신체불만족으로 이어지게 되고 결국 부정적인 자아존중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외모에 대한 만족도는 개인의 삶에 대한 만족을 결정짓는 중요한 하나의 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청소년들이 자신의 신체에 대해서 가장 불만족하는 신체부분은 사지부였으며, 얼굴, 구간부, 체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하는 신체부분은 얼굴이었으며, 사지부, 구간부, 체형의 순으로 나타나 신체만족에 중요한 신체부분은 얼굴과 사지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숙 2000). 성별에서 볼 때 여자가 남자보다 신체에 대해 불만족 했고, 고등학생이 중학생, 대학생보다 자신의 신체에 대해 불만족 하였으며, 고등학생, 대학생, 중학생 순으로 불만족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애란, 김양진, 1996)
한국 청소년 개발원(2000)에서 청소년의 신체적 자아상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여자가 남자보다 신체 만족도가 낮았으며, 이상적인 외모의 여성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날씬한 몸매가 가장 필요하고, 이상적인 외모의 남성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키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 조건으로는 여자의 경우 세련된 옷차림을 들었다. 여자의 신체만족도가 낮은 것은 여자가 남자보다 신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더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았다(김아날리아, 2006).
전영신과 한명숙(2000)의 연구에서 여고생들은 실제적 자기 이미지와 이상적 자기 이미지간에 차이가 나타나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불만도 커진다고 하였다. Freeman(1984)은 자신의 외모에 대해 여학생들은 남학생보다 문화적 이상을 성취하는데 관심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자신의 외모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렇듯 이상적인 외모를 가지지 못하는 청소년들은 극단적인 경우 내성적이 되거나 고립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여학생들은 부정적인 신체상(negative bodyimage)을 가질수록 심한 경우 우울증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고 한다.
참고문헌
최선영(2005). 고등학생의 체형과 체형인식도에 따른 성격유형(MBTI)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현옥(2008). 남녀 중학생의 외모에 대한 관심, 외모 콤플렉스, 신체만족도가 외모 관리행동 및 외모관리 비용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명희(2003). 청소년의 외모관리행동과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9/10), 1101-1111
전준선(2006).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간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아날리아(2006). 프리틴 세대의 외모관리행동 영향요인-미디어 관여, 신체만족,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류환경학과 석사학위 논문.
고애란, 김양진(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아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4), 667-681.
박우미 (2000). 신체에 대한 의식과 만족도에 대한 한국과 미국여대생의 비교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5.: 736-747
송경자·김재숙(2005). 신체 이미지에 따른 성형요구, 자아개념, 의복행동 다중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9(3/4):391-402
이미숙(2000). TV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강전희(1995).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여고생의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이미령(1996). 여고생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변인들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 교
이광자(1998).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 학위논문, 서강대학교
이경애(1998). 가정의 심리적 환경, 자아존중감, 진로 의사 결정 유형과 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서강대학교.
김소영(1996). 가족 체계유형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김태연, 장휘숙, (1998) 발달심리학. 서울:박영사
조선화(1998). 비만아동과 표준체중 아동의 건강통제위 성격과 자아존중가의 관계. 숙명여 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관호(1996). 아동의 신체존 중감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차이. 한국교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구미희(1999). 청소년기 신체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향순(1998). 비만아동의 신체상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성희(2005).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자기주장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분 석.
정호선(1997). 여대생의 섭식장애 행동과 자아 존중감 및 우울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선영(2005). 고등학생의 체형과 체형인식도에 따른 성격유형(MBTI)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최백화(2003), 미용성형수술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태도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李潤瓊 (2005) 미용성형수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淑明女子大學校大學院. 經濟學 科 消費者經濟 ․ 政策專攻
이두형, 장충현(1994) 미용성형외과에 대한 학생들의 의식 조사연구. 대한성형외과학회지. 21(3), 1138-1147
신미영(1997). 대중매체가 여성의 다이어트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안소연(1994). 폭식행동집단의 신체 불만족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오숙현(1994). 여대생의 섭식장애 행동과 부모와의 애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정승교 (1997). 여중생의 체중조절 실태, 비만도 및 신체상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교육 학회 지, 14(2), 171-184
김재숙, 이미숙(2001). TV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5)
윤진(1993), 청소년 심리학. 서울:도서출판 서원.
Harter, S. (1990). Self and identity development. In S. Feldmen and G. Elliot(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147-170
Mussen, Conger, & Kagan, 1979 Messen, P.H. Conger, J. J. Kagan, J. & Hustone, A. E. (1984). child development and persnality (6th ed.). New york: Harper&Row.
ASAPS http:www.surgery.org/press/statistics July01,2005
Albany 타임즈 http://www.sfgate..com/cgi/article.cgi?file=/c/a/2003/7
Musa, H e. &Roach, M. E.(1979). Adolescent appearance and self-concept. Adolescence, 8,385-394
Roach-Higgins, M. E, Eicher, J. B, &Johnon, K. k. p.(1995). Dress and identity.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
Kaiser, S. B.(1985).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and personal adornment New York: Macmillan Publication
Tucker, L. A.(1982).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matotype and body cathexis of collage males, Psychological Reports, (50), pp.983-989.
Koh AR, Kim YJ (1996). The effects of egocentrism, self-consciousness, body cathexis on Adolescence clothing behavior. J Korean Soc Clothing Textiles 20(4):667-681

Ford I.M and Drake M.F.(1982) Attitudes toward clothing body and self: a conparison of two group.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1(2), 189-196
보건복지부 www.sciemcem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