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이육사 시세계

 1  시인 이육사 시세계-1
 2  시인 이육사 시세계-2
 3  시인 이육사 시세계-3
 4  시인 이육사 시세계-4
 5  시인 이육사 시세계-5
 6  시인 이육사 시세계-6
 7  시인 이육사 시세계-7
 8  시인 이육사 시세계-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시인 이육사 시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생애
(1)고향과 유·소년기
(2)독립투사 이육사
(3)이육사의 문학 활동

Ⅲ. 시세계
(1)낭만적 동경과 향수의 세계
(2)쫓기는 자의 불안과 실향민 의식
(3)대륙적 풍모, 강인한 정신성
(4)초극의 의지와 기다림의 철학

Ⅳ. 대표 시 감상

Ⅴ. 결론

본문내용
(1) 고향과 유·소년기

이육사, 혹은 육사陸史 이활李活은 1904년 음력 4월 4일 경북 안동 도산면 원촌리 881번지에서 태어났다. 그는 퇴계 이황의 14대손이요, 형조참판 사은 이구운의 6세손이다. 아버지 이가호와 어머니 허길 사이에서 6형제 중 둘째로 태어났다.
이육사의 고향 원촌은 산간 오지였지만, 퇴계 이황 후손들의 집성촌으로 양반 고을이다. 자연은 아름답고 풍수 지리적으로도 명당이며, 조상에 대한 자부심 덕에 교육열도 상당했다. 이육사에게 고향은 유년 시절의 꿈과 낭만을 간직한 애틋한 그리움의 터전이자, 소년기 청운의 뜻을 기르는 요람이기도 했다.
이육사는 일찍부터 한학을 접했다. 후에 그의 시와 산문에서 나타난 고전적 소양과 사상적 배경은 어린 시절의 교육에서 바탕이 마련되었다. 집에서 가까운 예안에 신교육 기관 보문의숙을 세우는데 육사의 조부가 힘을 쏟아 초대 숙장이 되었을 때 이육사는 이 학교에 맏형을 따라 다녔다고 한다. 하지만 너무 나이가 어려 정규학생이 될 수가 없었고, 이후 도산보통학교(초등학교)에 학적이 있는 것으로 볼 때 한학을 한 후 신식 교육을 받은 듯싶다.
1916년, 육사가 13세 때 할아버지가 별세하자 육사의 집안은 가세가 크게 기울었다. 1919년 16세 때 육사의 집은 안동 녹전면 신평동으로 이사했고, 이육사는 맏형 원기, 아우 원일과 함께 그 이듬해 대도시인 대구로 나오게 된다. 대구에서 동생 원일과 함께 석재 서병오에게 문인화, 사군자 등을 배웠고, 이러한 교육을 바탕으로 육사는 조선조 사대부의 후예다운 지식과 교양을 습득했다.
육사와 그 형제들이 모두 일제의 감시를 받는 사람들이었던 탓도 있었지만, 육사의 집안은 선조 때부터 우애의 돈독함으로 유명했다. 육사의 6형제는 그야말로 생사고락을 같이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형제간의 우애는 단순히 서로 돕고 나누는 데서 그치지 않았다. 일제의 강압에도 불구, 육사의 집안에서는 한 번도 창씨개명을 한 적이 없었고, 3형제가 함께 독립 운동 지하조직에 가담해 생사고락을 같이 하였다.
이육사 형제들의 우애와 사랑은 그들 어머니의 가르침에 의한 것이기도 하였다. 심지어 육사의 어머니는 형제들 사이에서 법도만 지키면 멀어지기 쉬우니 담배와 술을 트라고(!)까지 하여 자식들에게 그대로 실행하게 하였다. 장유유서의 규범을 지키되 너무 얽매이면 가족 간에 감정의 흐름이 자유롭지 못하다는 그녀의 생각은 당시로는 혁명적이었다. 이렇게 자애로우면서도 현명한 어머니와 엄한 아버지 밑에서 성장한 육사는 선비적 지절과 따뜻한 인간미를 겸비하게 되었다.
육사는 1921년 18세 때 부친의 엄명으로 영천군 오동에 사는 안용락의 딸 안일양과 결혼하였다. 신혼살림은 맏형 원기의 집에서 시작했다. 19세 때 그는 처가가 있는 영천군 화북면의 백학학교 중등부에 비정기적으로 다니며 공부했다.
1923년, 20세 되던 해에 육사는 대구시 남산동 622번지로 이사하였다. 그 해에 육사는 약 1년 여 동안 일본에 다녀왔다. 이육사가 일본에서 무엇을 공부하였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일본 대학 중퇴라는 기록이 남은 것으로 보아 이육사가 일본 대학에 재학한 것은 확실하다.
참고문헌
이육사, 『(이육사 시선) 청포도』, 태학당출판사, 1994.
조창환, 『이육사 -투사의 길과 초극의 인간상』, 건국대학교출판부, 1998.
조창환,「이육사 시의 미적구조와 정신적 저항」,『문예운동 2010년 봄호(통권105호)』
문예운동사, 2010.3, pp. 38~56
박석천, 「이육사의 시 연구」, 전남대학교, 1987.
이육사 문학관 홈페이지 http://www.264.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