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

 1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
 2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2
 3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3
 4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4
 5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5
 6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6
 7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7
 8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8
 9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9
 10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0
 11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1
 12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2
 13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3
 14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4
 15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5
 16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6
 17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7
 18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8
 19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19
 20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연구방법론]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지역의 영향과 유사사례 조사 및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연구개요]
[들어가면서]
 [문제제기: 국제분쟁, 종교분쟁은 왜 발생하는가?]
 [접근: 연구 목적과 범위와 종교 분쟁 주제 선정이유]
[본론]
 [북아일랜드의 종교분쟁 연구]
1. 소개: 북아일랜드는 어떤 지역인가?
1.1.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배경과 개괄
1.2.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시대순 경과 모습
2. 아일랜드의 종교분쟁과 민족성 – 분리와 통합이 공존하는 아일랜드
2.1. 북아일랜드와 아일랜드공화국
2.2. 분단된 아일랜드 민족 상잔
2.3. 분리와 통합의 공존하는 이중적인 민족성
2.3.1. 교육 분야에서 나타난 민족성
2.3.2. 언어 사용에서 나타난 민족성
3. 북아일랜드 종교 분쟁이 사회, 정치에 미친 영향
3.1. 역사적 배경
3.2. 정치적 관점에서의 북 아일랜드 관련 사건 일지
3.3. 1998년 성 금요일 조약
3.4. 자신감 회복과 추진력 재건
3.4.1. 정부 부처의 재건: 2007년 5월 8일
3.4.2. 범 아일랜드 파트너 십과 공조
3.4.3. 영국/아일랜드 관계와 평화 유지
3.4.4. 평화 유지를 위한 국제적 지원
부록: 뉴스 기사로 본 북아일랜드 사회적, 문화적 변화 양상
 [북아일랜드의 종교분쟁과 유사성을 지니는 사례연구]
사례1: 인도네시아 종교분쟁 사례
1.1. 뽀소(POSO)지역 종교분쟁
1.2. 말루꾸 군도의 내전
1.3. 인도네시아 종교분쟁으로부터의 연구 결과
 [대한민국, 한국사회는 종교분쟁으로부터 안전한가?]
본문내용
북아일랜드는 잉글랜드, 웨일스, 스코틀랜드와 함께 영국을 구성하는 한 지역이다. 지형상으로는 아일랜드 섬의 북동부를 차지하며 남쪽과 서쪽으로 아일랜드 공화국, 동쪽으로는 아일랜드 해와 노스 해협, 북쪽으로는 대서양과 접한다.


유서 깊은 얼스터 지방의 일부만을 포함시키지만 가끔 얼스터 지방으로 지칭된다. 면적 14,120km, 인구는 1995년 기준으로 1,649,000명이다. 수도는 벨파스트이며 이곳에 북아일랜드 인구의 1/4 가량이 모여있다. 아일랜드 섬의 4대 지역 구분의 하나인 얼스터와 거의 겹치지만 얼스터는 북 아일랜드 전 지역 외에 아일랜드 공화국의 캐번, 도니골, 모너헌의 3군을 포함하는 보다 넓은 지역을 가리킨다. 북아일랜드는 앤트림, 아마, 런던데리, 다운, 퍼매너, 더론의 6군과 벨파스트와 런던데리의 2개 특별시로 나눠진다.
17세기 초 이후 그레이트 브리튼 섬으로부터 프로테스탄트에 의한 이른바 얼스터 식민이 행해져 아일랜드 본래의 가톨릭계 주민과 대립하게 되었다. 기원적으로도 아일랜드 국민은 원주민이었던 게일족과 정복자인 켈트족의 혼혈 형태로써 북유럽 출신의 앵글로색슨으로 구성된 영국과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또한 같은 기독교라도 잉글랜드는 영국 성공회이고 아일랜드는 카톨릭이다. 나중에 스코틀랜드와 웨일스도 성공회를 받아들였는데 북아일랜드만 따르지 않고 있다. (참고로 IRA 계 반군은 1919년 아일랜드와 독립투쟁 시 전 아일랜드 통일추구 위해 결성되었으며 1969년 재조직된 PIRA 은 아일랜드 공화 군으로 현재 400명 규모이다. 1975년에 조직된 INLA 는 아일랜드 해방군으로 규모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IRA는 1800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1.1. 북아일랜드 종교분쟁 배경과 개괄]

북아일랜드 분쟁이 일어난 시기와 그 배경을 제시하기 전에 미리 염두 할 것은 분쟁의 계기가 마련되었던 1968년 이전부터 성공회와 가톨릭의 대립은 계속 되어왔다는 것이다.

1900년대에 들어 영국에서의 인종적 갈등과 긴장은 새로운 두 가지 요소 때문이었다. 그 하나는 많은 외국들로부터 영국으로 이주하는 해외이주민들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는 사실이고, 다른 하나는 북아일랜드에서 일어나는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간의 갈등이다.
북아일랜드에서의 종교 분쟁은 영국의 국가적 단결을 위협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북아일랜드는 여섯 개 주로 구성되어 있다. 1921년 남쪽에 살고 있는 가톨릭 교도들이 독립을 획득했을 때 프로테스탄트 지역인 얼스터가 강제로 영국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이 지역에 살고 있는 대부분의 주민들은 아일랜드의 분리와 북아일랜드의 영국에로의 통합을 계속 고집했다. 아이리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섬은 분할되었다.
그 결과 얼스터는 영국의 일부로 남아있게 되었고 나머지 아일랜드 지역은 독립을 얻었다. 그 후 북아일랜드 지역에서 갈등과 대립이 계속되었고 이들은 영국정치체계가 해결해야 할 주요한 과제로 등장했다. 여기서의 갈등은 인구의 3분의 2인 신교도와 3분의 1인 구교도간의 문화적, 종교적 분열에서 비롯된 것이다. 신교도들은 17, 8세기에 북아일랜드를 식민지화 했던 스코틀랜드 이민자들의 후손들이다. 반면 구교도들은 선조들이 식민지 세력들에 의해 추방된 아이리쉬들이다.

한편 스코틀랜드나 웨일즈와 달리 북아일랜드는 그 자신의 의회와 지방정부를 갖고 있으며 상당한 정도의 지방자치권을 확보하였다. 이에 따라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하고 있는 신교도들이 북아일랜드 정부를 통제할 수 있으며, 소수 구교도들에 대한 정치적, 사회 경제적 지배를 계속 유지해 나갈 수 있었다.

반면 구교도들은 신교도들의 지배에 대해 인종차별이라고 주장하고 이의 종식을 위한 저항운동을 전개했다. 1968년에는 구교도에 의한 시위와 신교도에 의한 반대시위가 폭동으로 발전되었다. 그 후 양측간의 대결은 더욱 격렬해지고 종종 폭력을 수반했다. 이런 폭력사태에 직면하여 1972년에 영국정부는 신교도가 지배하는 북아일랜드 의회를 해산하고 직접 북아일랜드를 통치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한편 영국정보는 북아일랜드 사태를 협상을 통해 해결하려고 했다. 구교와 신교의 극단주의자들은 각기 자신의 입장을 강경하게 고수했으며 때대로 서로간에 테러행위를 자행하여 수많은 희생자를 발생시켰다. 마침내 1998년 4월에 영국정부와 아일랜드 정부 그리고 여덟 대 북 아일랜드 분쟁 관련 정파들이 협상을 통해 역사적인 평화 협정 안에 합의를 보았다.

이로써 지난 30여 년간 3천 6백 여명을 희생시킨 종교적 분쟁이 끝나게 되었다. 타결된 협상안에 의하면 구교도는 역사상 처음으로 신교도와 권력을 공유하는 형태로 정권에 참여하게 된다. 그리고 영국과 아일랜드는 주
참고문헌
[서적]
 박지향(2000), [슬픈 아일랜드], 새물결
 패트리샤 레버(2005), [아일랜드], 휘슬러
 신정현(2006), [비교정치론-제3부 사례연구: 제14장 영국의 정치체계], 성지사
[논문]
 황익주(1994), [아일랜드에서의 일상적 사교활동과 사회집단 분화: 인류학적 사례연구, 지역연구]
 강순원(2000), [유럽통합의 진전과 아일랜드 민족정체성의 변화: 인류학적 사례연구, 지역연구 9권 3호]
 김형준(2001), [특집-이슬람과 동남아시아: 인도네시아의 무슬림-기독교도 관계의 변화-말루꾸 사건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동남아학회
 이한방(2002), [논문: 국제분쟁지역의 유형 및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 강인철(2002), [연구논문: 지역분쟁과 종교], 한국종교학회
 강순원(2003), [1998년 벨파스트 평화협정과 북아일랜드 평화교육의 상관성, 비교교육연구 제13권 2호]
 조현범(2005), [주제서평: 지역분쟁과 종교], 한국종교문화연구소
 박금희(2005), [인도네시아 기독교도-무슬림 종교분쟁의 원인: 중부 술라웨시의 뽀소와 말루꾸 군도를 중심으로], 한국동남아학회
 한명숙(2006), [근대 아일랜드 교육에서 민족과 종교, 1830-1850년대, 영국연구 제13호]
 이진구(2008), [특집-한국종교의 정치세력화, 그 현황과 전망, 현대 한국 종교의 정치참여 형태와 그 특성], 종교문화연구
 강원돈(2008), [특집-한국 종교의 정치세력화, 한국 개신교 정치세력화의 형성과 과제], 종교문화연구
 전재춘(2008), [연구논문: 국제지역분쟁 연구], 전북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인터넷 사이트]
 북아일랜드 정부 사이트, http://www.gov.ie/en/, 2009. 11. 14
 주한 아일랜드 외교사이트, http://irl.mofat.go.kr/kor/eu/irl/main/index.jsp, 2009. 11. 14
 네이버 www.naver.com
 구글 www.google.co.kr, www.google.com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