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

 1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1
 2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2
 3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3
 4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4
 5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5
 6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6
 7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7
 8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8
 9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9
 10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10
 11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답사 보고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살펴본 서울의 민간신앙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본 론

1. 인왕산 소개
2. 답사 안내
3. 유적지 소개
1) 국사당
2) 선바위
3) 여근바위
4) 남근바위

III. 맺음말

IV. 참고 자료

V. 첨 부
본문내용

인왕산은 한양이 도읍으로 정해지면서 주산인 북악의 서쪽에 있어 우백호에 해당함으로써 일찍부터 주목되었다. 경복궁을 짓고 도성을 수축할 당시 인왕산 능선에 따라 서쪽 성곽이 축조되었다. 그리고 좌묘우사(左廟右社)의 제도에 따라 인왕산 기슭 서부에 인왕산을 주산으로 하여 사직단을 건설한다. 또 지리도참설에 따른 이야기로 명종 때 학자 남사고(南師古)가 인왕산 아래 사직골에 왕의 기운이 있다 하였는데, 선조가 사직골에서 태어났다. 이후 광해군 때에는 인왕산 아래 새문동(塞門洞)에 왕의 기운이 어리어 있다는 소문이 퍼져서 그 기운을 누르기 위하여 인왕산을 주산으로 삼고 그 남쪽 기슭에 경덕궁을 세우기도 하였다. 1968년 북한 무장공비의 청와대 습격사건을 계기로 안보상 인왕산의 방위체제가 문제되어, 인왕산의 출입을 통제하였다. 1993년에 이르러 인왕산이 새 정부의 출범과 함께 개방된다. 이후 선바위, 금강굴 등으로 기도를 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인왕산을 찾는다.
인왕산의 맞은편에는 안산(鞍山)이 있다. 안산은 서대문구 홍제동에서 부터 독립공원을 지나 금화터널, 연세대학교, 서대문구청을 둘레로 하는데, 동네 사람이 아니라면 잘 모르는 작은 산이다. 안산의 줄기는 이화여자대학교 뒤를 지나 합정동에서 끝이 난다. 안산은 무악을 다르게 부르는 말인데, 동봉과 서봉의 두 봉우리로 이루어져, 산의 모양이 마치 말의 안장 즉 길마와 같이 생겼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다. 무악은 풍수지리상의 형세로 볼 때, 서울의 진산인 북한산의 인수봉이 어린애를 업고 나가는 모양이므로 그것을 막기 위하여 안산은 어머니 산이란 뜻으로 모악(母岳)이라 하고, 이 산 남쪽의 고개를 떡고개, 남산 동쪽 고개를 벌아령 이라고 하여 어머니가 떡을 가지고 나가려는 어린애를 꾀이고 또 때리겠다고 얼러서 나가지 못하게 한다는 뜻이라고 한다. 여기서 무악은 모악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인왕산과 안산


2. 답사 안내

우리는 서울지역의 민간신앙 유적을 인왕산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았다. 인왕산과 그 주변에는 많은 민간신앙 유적이 있는데 그 중 역사성이 있고, 민중들의 기원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국사당, 선바위, 여근바위, 남근바위를 선택하였다. 답사 경로는 다음과 같다.

참고문헌

- 김동욱 외, 『한국민속학』, 새문사, 1988.
- 이재곤, 『서울의 민간신앙』, 백산출판사, 1996
- 장주근, 『국사당 -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16호, 문화재관리국, 1965
- 서울문화사학회, 『서울문화재 나들이』, 수서원, 2002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서울의 산』, 서울특별시, 1997
- 김동복, 『서울의 해』, 이화문화, 2001
- 柳東植, 『韓國巫敎의 歷史와 構造』, 延世大學校出版部, 1978
- 李能和, 『朝鮮巫俗考』, 啓明 19, 1927

- http://racio.tistory.com/266
- http://ko.wikipedia.org/wiki
- http://www.cha.go.kr/korea
- http://www.mediamob.co.kr/tearsfor/blog.aspx?id=214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