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

 1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
 2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2
 3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3
 4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4
 5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5
 6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6
 7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7
 8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8
 9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9
 10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0
 11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1
 12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2
 13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3
 14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4
 15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5
 16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6
 17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7
 18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8
 19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19
 20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평형론] 대발생-죽음의 메뚜기 떼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사막메뚜기 떼의 생태

2. 피해사례 및 실태

3. 메뚜기떼 발생 원인

(1) 환경적인 원인

(2) 생물학적 원인

[3] 근본적인 원인

4. 메뚜기 떼 해결 방안

[1] 근본적인 해결

(1) 화학적 해결


상평형

(2) 생물학적 해결


Ⅲ결론
본문내용

암컷 한 마리는 75~100개의 알이 든 알집을 1/2인치 정도 깊이의 땅속에 낳는다. 이때 거품이 혼합된 물질을 넣어 알들이 마르는 것을 방지한다. 알은 14일에서 65일 사이에 부화하는데 이때 부화하는 알은 약 25%정도이지만 어미 세대보다 더 큰 규모를 갖게 된다. 갓 태어난 새끼는 흰색에 날개도 없다. 그러나 몸이 점점 검게 변하면서 끊임없는 식욕을 드러내게 된다. 자라가면서 몸체가 자라며 날개가 자란다. 그러다가 검은 표피를 벗고 노랗게 변한다. 노랗던 몸 색깔은 다시 분홍색이 되어가며 성충이 되어가고 이때부터 날 수 있다. 생애 마지막 주가 오면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짝짓기를 준비한다. 이때의 메뚜기 떼는 아마 세상에서 가장 파괴적인 집단일 것이다. 약 4000~5000만 마리의 벌레들은 오백 명이 일 년 동안 먹을 양을 먹어버린다. 이들의 생은 약 반년 정도이지만 그 사이에 인류에게 엄청난 피해를 끼치게 된다.

성체 메뚜기의 길이는 2와 1/2에서 3인치 사이이고 무게는 1/3에서 1/2 온스 사이이다. 이들은 바람을 타고 바람의 속도로 날아다니는데 하루에 최대 200~300킬로미터까지 날아 갈 수 있지만 고도 2000미터 이상으로는 너무 춥기 때문에 날지 못한다. 그래서 그들은 Atlas Mountains, the Hindu Kush or the Himalayas 같은 높은 곳들은 건너지 못한다. 그들은 아프리카나 중부 유럽의 열대우림으로 가지 않을 것이다. 그 대신 그들은 아프리카와 아라비안 반도 사이의 Red Sea를 건널 수 있다. 그리고 심지어 열흘 동안 대서양을 건너 아프리카에서 캐러비안까지 갔다는 기록도 있다. 하나의 메뚜기 떼는 1200 평방미터까지 덮을 수 있으며 1평방미터 안에 4000~8000만 마리의 메뚜기가 있다.
그림 4. 알을 낳고 있는 사막메뚜기










2. 메뚜기 떼 발생실태 조사(기사 발췌)

(1) 세네갈의 수도 다카르

▷ 서부 아프리카 지역에 올 여름 사상 유래 없는 대규모의 메뚜기 떼가 습격해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이 지역 사람들의 삶을 더욱 힘겹게 하고 있다. 서 아프리카 전체를 뒤덮고 있는 메뚜기 떼는 최근 15년 만에 최대 규모.
이 지역 국가들은 메뚜기 떼를 퇴치할 약품과 장비가 부족해 사람들이 속수무책으로 당하고 있다고 한다. 피해가 극심한 지역은 세네갈, 말리, 니제르, 모리타니 등이다. 하지만 국내 언론은 단편적인 기사에 가끔 사진을 한 장 소개하는 정도여서 이 지역에 어떤 피해가 있는지 사람들은 어떻게 살고 있는 지는 자세히 파악하기 힘들다.
CBS의 노컷뉴스와 연합뉴스의 기사를 종합해 보면 세네갈에서는 ▽한 라디오방송국이 메뚜기 50㎏만 잡아오면 쌀 50㎏를 공짜로 주겠다는
참고문헌
- http://radar.ndsl.kr/tre_View.do?cn=GTB2009080601
-한국바이오케이칼
-Strategies to combat the desert locust - Crop Protection, Volume 11, Issue 3, June 1992, Pages 206-212 by P. Symmons
-Reduction of feeding by the desert locust, Schistocerca gregaria, after infection with Metarhizium flavoviride
Journal of Invertebrate Pathology, Volume 60, Issue 3, November 1992, Pages 304-307
D. Moore, M. Reed, G. Le Patourel, Y. J. Abraham, C. Prior
-명품다큐 KBS 스페셜
-내셔널 지오그래픽 DVD 죽음의 메뚜기 떼 (Perfect Swarm)
-사이언스 타임즈
-http://bric.postech.ac.kr/bbs/trend/0109/010910-2.html
-http://www.creation.or.kr/library/itemview.asp?no=4534 한국창조과학회
-http://www.hani.co.kr/section-007000000/2004/12/007000000200412081029001.html 한겨례신문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1/30/2009013000589.html?Dep0=chosunmain&Dep1=news&Dep2=headline3&Dep3=h3_01 조선일보
-http://www.lgls.co.kr/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1985. Food aid in figures. FAO, Rome.
-FAO. 1995. Emergency Prevention System (EMPRES) for transboundary animal and plant pests and diseases: desert locust management in the central region. FAO, Rome, Italy.
-http://earth.kongju.ac.kr/prog/earth2/unit8/txt/8101-4.html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8080401072732060002(문화일보)
-Desert Locust Bulletin(FAO Emergency centre for Locust Operations)
-http://www.bbsrc.ac.uk/society/schools/primary/one_of_the_crowd/where_do_locusts_live.pdf (why do locust swarm?)
-http://www.pan-uk.org/Internat/IPMinDC/pmn4.pdf(Desert locust control in africa)
-Locust Control in Transition: The Loss and Reinvention of Collective Action in Post-Soviet Kazakhstan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