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

 1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1
 2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2
 3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3
 4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4
 5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5
 6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6
 7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7
 8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8
 9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9
 10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10
 11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11
 12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12
 13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13
 14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14
 15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디자인] 다나카 잇코(田中一光)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나카 잇코의 생애

다나카 잇코 (田中一光, 1930-2002)

1) 약력

2) 수상경력

3) 개인전

4) 저서

2. 다나카 잇코의 디자인 세계관

일본적 전통성과 서구적 방법의 융화
1) 모티브나 주제에서 전통성을 추구

2) 도상에 있어서의 단순성 추구

3) 색채에 있어서의 단순성 추구

4) 일본문자에 관한 탐구

5) 일본적 지역성의 탐구와 세계로의 발신

3. 다나카 잇코의 작품

4. 다나카 잇코에 대한 평가

* 참고 자료 - 가시와기 히로시교수의 인터뷰 내용

5. 우리들의 생각

* 추가 자료 - 다나카 잇코의 작품들 *

* 자료 출처 *
본문내용
2) 도상에 있어서의 단순성 추구
일본 전통미의 근간을 단순성으로 보아, “과거에 일본예술의 근저에 있었던 ‘단순’은 일종의 정신주의 위에 서있는 무한한 것의 집약이었다. 모든 불필요한 점, 군더더기를 잘라냄으로써 단순성은 형상 안에 담을 수 없는 정신성을 함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는 이와 같은 사고를 바탕으로 수많은 작품을 제작하였다. 예를 들어 1956년부터 1983년까지 이어진 󰡔산케이간세이노우(産經觀世能)󰡕포스터 시리즈 (도판1)에서 원래부터 조형적 낭비가 없는 가면을 더욱 한계까지 단순화한 수법, 사진집󰡔분라쿠(文樂)󰡕(도판2)의 예리한 자기 억제적 조형미, 세이브극장 󰡔겟세이닌교우좌(結成人形座)󰡕(도판3)의 빨강과 흰색 막과 문양에 의한 단순한 구성 등이 그 예이다.


3) 색채에 있어서의 단순성 추구
일본 전통의 색채감각은 평면적 배색으로, 더구나 대비적으로 배색하는 전통이 있다. 다나카 잇코도 일본 전통적 색채에 관한 연구 끝에 색을 겹쳐 구축하기보다는 평면적인 색의 대비적 조합으로, 평면적이며 즉물적으로 각색의 성격을 명료화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또한 그의 색채감각은 평안왕조를 연상시키는 화려하고 부드러운 색조이다. 이 예로는 , 의 색종이를 오려붙여 구성한 듯한 배색을 들 수 있다.

4) 일본문자에 관한 탐구
다나카 잇코는 미국 타이포그래피 때로는 도판(圖版)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활판인쇄술이라 번역되듯이 ① 활자를 사용해서 조판하는 일, ② 조판을 위한 식자의 배치, ③ 활판인쇄, ④ 인쇄된 것의 체재 등을 원칙적으로 뜻하는데, 활판인쇄술 또는 그 표현을 대표하는 말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다시 활판이건 아니건 간에 문자의 배열상태를 칭하는 경우가 많고, 나아가서는 레이아웃이나 디자인 등의 동의어(同義語)로 생각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유럽에서는 비교적 좁은 뜻으로, 미국에서는 넓은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인쇄물, 특히 서적의 본래의 자세를 관찰하면 타이포그래피는 서양활판 인쇄술 이전에 이미 상당히 발달된 양식을 갖춘 원류(源流)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그 주류는 오늘날까지 서적의 표지, 속표지 ·본문 등의 조판에서 찾아볼 수 있으나, 현재는 디자인의 한 분야로서도 인정된다. 그 밖에 명함 ·안내장 ·각종 카드류 ·레터헤드 ·카탈로그 ·다이렉트 메일(직접 개인 앞으로 우송되는 상품광고) 및 문자를 중심으로 하는 포스터 ·캘린더 등에 대해서 실시되는데, 어느 것이나 활자서체의 선정이나 크기의 결정, 또 그 배열이나 의장적인 고려를 엄격히 해서 시각적인 표현을 결정한다. 근대 타이포그래피는 19세기 말에 W.리엄모리스가 그 기초를 제시하고, H.바이어 등에 의해 디자인으로 확립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에 매료되었는데, 이것으로부터의 이탈로서 일본적 문자에 의한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즉, 미국식 타이포그래피를 그대로 일본에 이식하지 않고, 일본의 ‘마이너스적 미의식’(일본 전통의 신도적 미의식으로, 간결하고 장식이 없는 것을 아름답다고 보며, 이 미의식의 정점은 아무 것도 없는 하얀 공백이다.)과 ‘間’(무언가의 사이에 끼어 있는 공간이나 시간을 뜻하며, 무를 유와 동등하게 본 일본 전통 예술에서 가장 근간이 되는 미의식)의 철학을 고려한 일본문자의 존재방식을 모색하였다.
그 성과가 문자만으로 구성된 이다. 당시 영문을 사용하는 것이 유행이었던 시절에 일본문자만으로 구성한 작품이다. 한자 명조체의 아름다움과 품격을 집약시켜, 주제인 가면의 세계를 끄집어내고 있다. 또한 한자만으로 구성되어 한시의 맛을 느끼게 한
참고문헌
박암종, 『(세상을 디자인한 디자이너 60인의) 디자인인 생각』, 인그라픽스, 2008.
신희경,「일본 그래픽디자인에서의 일본적 조형성과 그 유래인 일본적 미의식 분석
Plastic's Identity of Japanese Graphic Design and an Analysis of Japanese 
Aesthetic Senses」
윤상인 외, 『(일본 문화의 힘) 세계는 왜 J컬처에 열광하는가』, 2006.
가시와기 히로시(디자인 평론가, 일본 무사시노 미술대학교수)와 홍성표 리포터가 한 인터뷰. 2003.9.5.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