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

 1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
 2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2
 3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3
 4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4
 5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5
 6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6
 7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7
 8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8
 9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9
 10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0
 11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1
 12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2
 13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3
 14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4
 15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5
 16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6
 17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7
 18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8
 19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19
 20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지역연구]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의 발전에 관한 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 방법 및 범위



Ⅱ. 본론

1. 극동 시베리아 지역 개관

2. 러시아의 시베리아 개발

3. 대 러시아 각국별 투자

4. 시베리아와 한국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 극동ㆍ시베리아의 자원현황
극동ㆍ시베리아 지역은 지구상에 몇 안되는 미개척 지역이고 자원이 풍부한 지역으로 개발 잠재력이 매우 높다.
극동ㆍ시베리아 지역에서 러시아연방 수자원의 85.2%를 보유하고 있으며, 극동지역과 동시베리아 지역에서의 수력발전 잠재력은 각각 러시아연방 전체의 53%와 26%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극동ㆍ시베리아는 지하자원의 매장량도 풍부하다. 한종만 한 · 러 경제협력과 시베리아 · 극동 러시아 p15




표 2. 러시아 극동지역 자원 현황
구분
석유
가스
러시아 전체 매장량
99억 톤(세계 6위)
47.8조 ㎥(세계 1위)
극동지역 매장량
19억 톤
7.5조 ㎥
생산량
4.7억 톤(세계 2위)
6,410억 ㎥(세계 1위)
수출량
3.2억 톤(세계 1위)
1,940억 ㎥(세계 1위)
자료: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동북아팀


극동ㆍ시베리아는 삼림자원의 보고지역이다. 러시아 삼림면적의 추정치는 약 7억 5천만㏊로서 세계 삼림의 약 22%를 차지하고 있다. 러시아의 삼림은 세계 북쪽에 위치한 삼림의 70%를 점유하고 있다. 연해 변강주와 아무르주, 유대인 차지주, 하바로프스크 변강주의 남부 지역은 아직 개발되지 않은 넓은 경작지와 방목지를 갖고 있어 농업 잠재력이 높다. 또한 풍부한 수산자원과 생태자원을 자랑한다.

2. 러시아의 시베리아 개발
(1) 러시아의 개발 정책 변천과정
1) 재정 러시아 ~ 구 소련 초기
재정러시아 시기부터 구소련 초기 단계까지는 경제적인 개발보다는 영토확장과 식민주의적인 관점에서의 극동·시베리아 진출 및 개발이었으므로 본 보고서의 방향과 다르다. 시베리아 횡단 철도가 건설되기는 했지만 언급한대로 당시에는 경제적인 효과보다는 효과적인 물자운송과 원활한 인력운송 그 자체가 목적이었다. 즉, 정치적 목적과 태평방 연안의 군사 거점의 건설이 목표였다.
경제적인 관점에서의 극동·시베리아 개발 정책의 시작은 고르바쵸프의 1986년 7월 블라디보스토크 연설에서부터 시작된다. 이 연설에서 고르바쵸프는 구소련이 아·태지역의 일원임을 말하며 극동·시베리아 개발의 중요성을 밝혔고, 1987년 8월에는 「2000년까지 극동 경제지역 부라치야 자치공화국 및 치타주의 생산력 종합발전 장기 국가프로그램」 1987년 8월 19일자 소련공산당 중앙 위원회 및 소련 각료회의 명령 No. 958
을 발표했다. 그러나 극동·시베리아의 산업구조를 단순 자원채취에서 자원가공 부문으로 변환한다는 이 프로그램의 목적은 달성되지 못했다. 이는 연성예산제약(Soft Budget Constraint) 중앙정부가 세부사업에 필요한 예산을 모두 배정하는 체계.
시스템을 기반으로 했어도 재원부족이라는 원천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즉, 이 정책의 기본 방향은 자원배분이라는 정치군사적 합목적성의 추구였을 뿐 구소련 말기의 정치적 불안과 경제침체는 정책을 유명무실하게 만들었다. 정여천.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개발 전망과 한국의 선택. KIEP. 2008. p.26.


2) 구 소련 붕괴 이후 ~ 엘친 대통령 시기

참고문헌
극동연방지구. 권세은 외.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6
시베리아연방지구. 권세은 외. 경희대학교 출판국. 2006
러시아 극동지역의 경제개발 전망과 한국의 선택. 정여찬 외. 대외경제정책연구소. 2008
러시아 극동을 주목하라. 박정민. A.스타리치코프. 한울. 2005
러시아 에너지가 대한민국을 바꾼다. 윤성학. 뿌쉬낀하우스. 2008.
시베리아와 연해주의 정치경제학. 강성학 외. 리북. 2004.
새로운 러시아의 외교. 아고라이바노프 저 이향재 역.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3
21세기 한국, 왜 러시아인가. 홍완석. 삼성경제연구소. 2005
현대 러시아경제. 이종문. 명경사. 2007
러시아 우랄·시베리아·극동지역 이해. 한종만. 배제대학교 출판부. 2008
에너지 경제학. 박중구. 아진. 2009
시베리아극동지역의 자연인문 지리적 특성. 한종만. 1996
한·러 경제협력과 시베리아·극동러시아. 한종만.
신 자원민족주의 확산과 한국의 자원안보 현황. 현대경제연구소. 2008.
동북아지역의 로지스틱스. 송희연. 1998.
러·일 관계의 현황과 발전전망. 김덕주. 외교안보연구원. 2007.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LG경제연구소. http://www.lgeri.com
현대경제연구원. http://www.hri.co.kr
대외경제정책연구원. http://www.kiep.go.kr
동북아에너지연구센터. http://www.neasiaenergy.net
한국 수출입 은행. http://www.koreaexim.go.kr
KOTRA. http://www.kotra.or.kr
지식경제부. http://www.mk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