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

 1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1
 2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2
 3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3
 4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4
 5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5
 6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6
 7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7
 8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8
 9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9
 10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10
 11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11
 12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12
 13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개요

Ⅰ.서론
-대중예술의 특징

Ⅱ.본론
1.장난감의 대중성
-장난감에 깃든 시대성
-장난감의 문화적 파급력
2.장난감의 예술성
-장난감과 기존예술
-장난감과 기존 대중예술/미디어
-장난감 포장의 조형성

Ⅲ.결론
-대중예술로 다가가는 장난감
본문내용
Ⅱ.본론

1.장난감의 대중성

-장난감에 깃든 시대성

장난감에는 인류의 역사가 반영되어있다. 이 속성은 대중예술로서의 장난감이 갖는 중요한 의미이다. 장난감의 역사를 살펴보면 커다랗게 2가지의 요소를 가진 흐름이 있는데, 하나는 인간, 동물, 집, 자전거, 기차, 식기 등을 상징하는 미니어처이고 또 다른 하나는 볼, 후프(링), 켄다마, 구슬, 팽이, 실뜨기, 요요, 나무블록 등의 장난감 세계이다.
먼저 미니어처는 자신의 주변 생활에서 관심을 가지면 흔히 볼 수 있는 구상물이다. 그 예로서 「인형」의 오랜 역사와 발생을 보면 세계적으로 공통되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토우」나 「토룡」이 있으며, 이것들이 종교적인 의식에 사용된 후에 아이들에게 주어졌다는 것을 여러 자료를 통하여 알 수 있다. 또 고대 이집트나 북아메리카의 호피 인디언에게도 같은 의식에 사용되었던 인형을 아이들에게 주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유수연, "장난감연구소", 2006(http://www.cresumer.com/crezine/crearticle_view.asp?CodeDV=27&idx=1).
시대가 변함에 따라 주술에 사용된 인형은 더 이상 널리 통용되지 않지만, 대신 다른 인형들이 등장하였다.
그 예로 바비인형(Barbie)을 들 수 있는데, 이 바비인형은 1959년 미국회사원이었던 Ruth Handler(1916-2002)가 그의 딸 Babara가 인형놀이를 할 때, 인형에 어른의 역할을 부여하는 것에 착안하여 만든 어른의 신체를 가진 인형이었다. Wikipidia. http://en.wikipedia.org.
또 이 바비인형은 소녀들이 가지고 놀면서 미래의 자기 모습을 그려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성숙한 모습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런 바비 인형의 가장 대표적인 수식어는 ‘패션 인형’인데, 당대에 유행하는 패션을 그대로 반영하여 따라하고 싶은 본보기의 역할을 계속 수행해 왔기 때문이다. 패션뿐만 아니라 바비의 직업도 시대상을 반영한다. 초기에는 쇼핑과 파티를 좋아하는 여성이었던 바비가 1980년대에는 군인, 의사, 전문 경영인 등의 현실적이고 활동적인 여성의 모습을 하고 있다. 더 나아가 바비는 시대상을 선도하기도 하는데, 1986년에는 우주 비행사의 모습을 하고 있어 1994년 탄생한 최초의 ‘실제’ 여성 우주 비행사보다 앞서 있다. 또 인종 차별이 이슈화되었던 시기에는 흑인이나 아시아인 바비도 등장하였고, 미국에서 장애인의 인권 문제가 대두되었을 때에는 휠체어에 앉은 바비도 볼 수 있었다.
참고문헌
김정은 ․ 이재정, 「현대 패션에 표현된 키덜트적 유희성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제4권 제1호, 2004. 4, pp. 85 ~ 99.

정혜정, 「키덜트 영향에 나타난 팝아트 패션의 특성」,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제12권 2호, 2009. 8, pp. 17 ~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