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古小說)

 1  고소설(古小說)-1
 2  고소설(古小說)-2
 3  고소설(古小說)-3
 4  고소설(古小說)-4
 5  고소설(古小說)-5
 6  고소설(古小說)-6
 7  고소설(古小說)-7
 8  고소설(古小說)-8
 9  고소설(古小說)-9
 10  고소설(古小說)-10
 11  고소설(古小說)-11
 12  고소설(古小說)-12
 13  고소설(古小說)-13
 14  고소설(古小說)-14
 15  고소설(古小說)-15
 16  고소설(古小說)-16
 17  고소설(古小說)-17
 18  고소설(古小說)-18
 19  고소설(古小說)-19
 20  고소설(古小說)-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소설(古小說)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나말여초 출현설
2.1. 개념
2.2. 사적전개
2.3. 유형
2.4. 특질
3.『금오신화』효시설
3.1. 개념
3.2. 인접갈래와의 관계
3.3. 사적전개
4. 고소설논의에 대한 우리의 견해
5. 나가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2. 나말여초 출현설
교재 『국문학개론』에서 김광순은 신라말․고려초에 출현한 , , , 등의 작품을 소설의 효시로 보고 고소설을 정리하였다.

2.1. 개념
고소설은 신소설이 나오기 이전까지의 소설을 지칭한다. 과거에는 고대소설이라고 일컬어 왔으나 이는 잘못도니 용어임이 밝혀졌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고대에는 소설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소설 대신 고소설이라는 용어를 통용하게 되었다.
고소설은 오랜 세월 동안 인접 갈래의 영향을 받거나 자체의 창작 경험을 시험하며 발전해 온 서사의 한 갈래이다. 따라서 고소설은 고유한 특징을 지니는 한편, 신소설이나 현대 소서로가 같이 소설로서의 기본 특징도 지니고 있다.
동양 문화권 속에서의 소설이란 용어는 처음에는 구체적인 문학 용어로 고정되지 않은 일반 관용어로서 비교적 넓은 의미로 쓰였다. 고소설의 개념을 논의하자면 장자가 말한 ‘소설’이라는 용어에서부터 출발하게 된다. 주지하다시피 ⩽장자⩾ 에서 “소설을 꾸며 높은 명성과 아름다운 명예를 구한다” 고 한 것이 소설이란 말의 첫 출전이다. 이때의 ‘소설’은 상대방의 환심을 사려는 의도 아래 꾸며진 재담의 의미이고, 허튼 수작이나 자질구레한 이야기 따위의 잡문을 포함한다. 이런 용례는 장자 이후의 논자들에게도 거듭 발견 된다. 그러나 어느 쪽이나 ⩽장자⩾ 의 차원을 벗어나지 않는다. 개념이 이러하니 그 범위가 무척이나 넓어진다. 시화나 소설뿐만 아니라 지리서, 잡록, 잡설, 재담, 일사기문 같은 것까지 두루 포함된다. 명의 가일거사가 “육경과 국사 이외의 저술 모두가 소설이다”고 했으니 소설의 범위를 얼마나 넓게 잡았는지를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김광순 외,『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김균태, 〈조선후기인물전의 야담취향적 고찰〉,《한국한문학연구》12집, 1989
김준영󰋯이월영, 《고소설론 》, 도서출판 月印, 2000
김태준, 〈중인문학과 이야기문학의 발달〉,《중인문학연구》, 민음사, 1991
곽정식, 《쉽게 읽는 고소설》, 신지서원, 2001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이복규, 《임경업전연구》, 서울집문당, 1993
이종건·이복규, 《한국한문학개론》, 서울: 보진재, 1991
임형태, 〈한문단편 형성과정에서의 강담사〉,《창작과 비평사》59호, 1978
정명기, 《야담문학의 현단계 1》, 보고사, 200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제2판, 지식산업사, 1989
한국고소설연구회, 《한국고소설론》, 아세아문화사, 1995